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남학 : 연지사(蓮池寺)터의 위치 추정 =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Yonjisa(蓮池寺) S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8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루가시(敦賀市) 죠구(常宮)神社의 한 창고에 보관 되어 있는 蓮池寺鍾은 우리나라의 종이라는 것은 일본 현지에서도 인정되고 있지만, 연지사가 구체적으로 어느 지점에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은 시원하게 풀리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상의 기록이나 명문(銘文)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종의 명문에 나오는 ‘청주(菁州)’라는 지역 명칭으로 미루어, 사찰이 진주(晉州) 부근의 어디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되기는 하지만, 연지사가 위치했던 구체적 지점은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지사의 위치를 밝히는 데는 간접적인 추적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필자는 우선 ‘연지사’라는 사찰 이름에서 이 사찰이 연못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아, 사찰 근처에 연못이 있는 곳을 추적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동시에 연지사종 명문 앞에 붙어 있는 ‘청주’라는 지역의 의미를 분석하여 연지사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추정하였다. 연지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될 수 있는 지점은 여러 곳이 있지만, 필자는 이들을 살펴보면서 최종적으로 이 사찰이 진주 시가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연못의 위치나 문헌 자료를 토대로 검토해 보면, 이 사찰은 진주 시가지 내에서도 진주의료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번역하기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루가시(敦賀市) 죠구(常宮)神社의 한 창고에 보관 되어 있는 蓮池寺鍾은 우리나라의 종이라는 것은 일본 현지에서도 인정되고 있지만, 연지사가 구체적으로 어느 ...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쓰루가시(敦賀市) 죠구(常宮)神社의 한 창고에 보관 되어 있는 蓮池寺鍾은 우리나라의 종이라는 것은 일본 현지에서도 인정되고 있지만, 연지사가 구체적으로 어느 지점에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은 시원하게 풀리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상의 기록이나 명문(銘文)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종의 명문에 나오는 ‘청주(菁州)’라는 지역 명칭으로 미루어, 사찰이 진주(晉州) 부근의 어디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되기는 하지만, 연지사가 위치했던 구체적 지점은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지사의 위치를 밝히는 데는 간접적인 추적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필자는 우선 ‘연지사’라는 사찰 이름에서 이 사찰이 연못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아, 사찰 근처에 연못이 있는 곳을 추적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동시에 연지사종 명문 앞에 붙어 있는 ‘청주’라는 지역의 의미를 분석하여 연지사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추정하였다. 연지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될 수 있는 지점은 여러 곳이 있지만, 필자는 이들을 살펴보면서 최종적으로 이 사찰이 진주 시가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연못의 위치나 문헌 자료를 토대로 검토해 보면, 이 사찰은 진주 시가지 내에서도 진주의료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onjisa Bell(蓮池寺鍾) kept in Thurugashi Jokusinsa(敦賀市常宮神社) in Hugui hyun(福井縣), Japan, is recognized as Korean bell in Japan, but where Yonjisa was has been a mystery. It`s because the literature in books or document relic on stones or metals related to it has not been discovered yet. Guessing from the name of the location, ‘Chungju(菁州)’ in documents written in the Bell, the location of the temple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晉州), but the specific location where Yonjisa was has not been found yet. Therefore, indirect tracing method was required to discover the location of Yonjisa. I used the method to trace the place where there was a pond around the temple. At the same time, analyzing the meaning of ‘Chungju’ written in the front of the document in the Bell, I guessed the possibl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There are several points guessed as th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but I finally assumed Yonjisa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 investigating these places. Examining the location of the pond or literatures, the temple must have been around JInju Medical center in the downtown of Jinsu.
      번역하기

      The Yonjisa Bell(蓮池寺鍾) kept in Thurugashi Jokusinsa(敦賀市常宮神社) in Hugui hyun(福井縣), Japan, is recognized as Korean bell in Japan, but where Yonjisa was has been a mystery. It`s because the literature in books or document relic...

      The Yonjisa Bell(蓮池寺鍾) kept in Thurugashi Jokusinsa(敦賀市常宮神社) in Hugui hyun(福井縣), Japan, is recognized as Korean bell in Japan, but where Yonjisa was has been a mystery. It`s because the literature in books or document relic on stones or metals related to it has not been discovered yet. Guessing from the name of the location, ‘Chungju(菁州)’ in documents written in the Bell, the location of the temple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晉州), but the specific location where Yonjisa was has not been found yet. Therefore, indirect tracing method was required to discover the location of Yonjisa. I used the method to trace the place where there was a pond around the temple. At the same time, analyzing the meaning of ‘Chungju’ written in the front of the document in the Bell, I guessed the possibl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There are several points guessed as the place where Yonjisa might have been, but I finally assumed Yonjisa might have been in the area of Jinju, investigating these places. Examining the location of the pond or literatures, the temple must have been around JInju Medical center in the downtown of Jinsu.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