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 Inquiring the Diection of research for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3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in specific area,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 Students have informal knowledg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refore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understand per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at student had take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history. But, There were no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findings on misconception in Other subject education, especially Science education & Mathematics education. On the base of the result of this review,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s of research in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cessity, domain & object, procedure & method of research in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in specific area,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 Students have informal knowledg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ref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in specific area,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 Students have informal knowledg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refore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understand per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at student had taken in Korean language learning history. But, There were no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findings on misconception in Other subject education, especially Science education & Mathematics education. On the base of the result of this review,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s of research in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cessity, domain & object, procedure & method of research in 'misconcep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국어교육적 맥락에서 여타 교과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오개념을 재개념화하고, 내용 및 방법적 측면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주의적 관점 하에 국어 학습자의 사전 지식 및 신념을 의미 있게 조망할 수 있으며, 가르치고 배워야 할 국어과 지식 내용을 확립하고 명세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를 의미를 지닌다. 이에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범주화하고, 연구의 실질적인 절차 및 방법을 구안하였다. 국어 교과의 중핵을 이루는 개념이 존재하는 한, 이들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작업은 체계적인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기획과 실천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오개념 연구는 교수ㆍ학습의 주체와 환경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인 동시에 ‘내용 중심적’ 연구라는 점에서, 국어과 오개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국어교육적 맥락에서 여타 교과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오개념을 재개념화하고, 내용 및 방법적 측면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주의적 관...

      본고는 국어교육적 맥락에서 여타 교과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오개념을 재개념화하고, 내용 및 방법적 측면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주의적 관점 하에 국어 학습자의 사전 지식 및 신념을 의미 있게 조망할 수 있으며, 가르치고 배워야 할 국어과 지식 내용을 확립하고 명세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과 오개념 연구를 의미를 지닌다. 이에 국어과 오개념 연구의 범위와 내용을 범주화하고, 연구의 실질적인 절차 및 방법을 구안하였다. 국어 교과의 중핵을 이루는 개념이 존재하는 한, 이들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작업은 체계적인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기획과 실천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오개념 연구는 교수ㆍ학습의 주체와 환경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인 동시에 ‘내용 중심적’ 연구라는 점에서, 국어과 오개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본격화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성혜, "화학 변화 개념에 대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및 선개념 갈등상황 제시를 통한 개념변화 학습이론의 효과 분석" 대한화학회 43 (43): 213-224, 1999

      2 김수미,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 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의 분석" 17 (17): 261-271, 1997

      3 정원호, "한국 고등학생의 생물 오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3

      4 송진웅, "학생의 물리 오개념지도" 북스힐 2004

      5 장병기, "학생의 물리 개념, 물리학습연구자료" 서울대학교 물리학습연구실 2000

      6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홍승호,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 및 유전 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2 (22): 288-296, 2003

      8 허경철, "지식 생성(生成)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19 (19): 231-250, 2001

      9 강인숙, "지구의 모양, 색깔, 중력에 대한 3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31-41, 2008

      10 최지선,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의 양상" 서울대학교 2003

      1 백성혜, "화학 변화 개념에 대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및 선개념 갈등상황 제시를 통한 개념변화 학습이론의 효과 분석" 대한화학회 43 (43): 213-224, 1999

      2 김수미,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 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의 분석" 17 (17): 261-271, 1997

      3 정원호, "한국 고등학생의 생물 오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3

      4 송진웅, "학생의 물리 오개념지도" 북스힐 2004

      5 장병기, "학생의 물리 개념, 물리학습연구자료" 서울대학교 물리학습연구실 2000

      6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홍승호,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 및 유전 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2 (22): 288-296, 2003

      8 허경철, "지식 생성(生成)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19 (19): 231-250, 2001

      9 강인숙, "지구의 모양, 색깔, 중력에 대한 3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31-41, 2008

      10 최지선,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의 양상" 서울대학교 2003

      11 이춘승, "중고등학생들의 진화에 관한 오개념 유형과 유형별 원인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611-621, 2007

      12 한인수, "인지갈등 유발 수업에서 오개념에 대한 확신도가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21 (21): 689-696, 2001

      13 국동식, "온실효과 개념에 대한 오개념 원인으로서의 10학년 과학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92-598, 2003

      14 김주한, "영화 활용 수업을 통한 중2학생들의 과학 오개념과 과학 태도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06

      15 허신혜, "역사학습에서 오개념의 인식론적 검토" 호서사학회 30 : 1-26, 2001

      16 김용진, "식물의 생활사와 생식방법에 대한 오개념" 한국생물교육학회 30 (30): 265-273, 2002

      17 신경희, "선형대수에서의 학생들의 오개념 -일차변환을 중심으로 -" 19 (19): 379-388, 2005

      18 윤성규, "생물 오개념 연구와 지도" 월드 사이언스 2007

      19 김민경, "미분 단원에서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8

      20 이인호, "물리 예비 교사들의 빛의 간섭과 회절 현상에 대한 오개념과 원인 분석" 서울대학교 2006

      21 정경수, "물관과 체관 개념 정의에서 생기는 교과서 및 중등 생물 교사들의 오개념 조사 연구" 27 (27): 185-193, 1999

      22 남가영, "문법용어를 통한 문법지식의 구조 체계화 연구(2):형태" 우리말학회 (21) : 177-210, 2007

      23 김호정, "문법 용어를 통한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Ⅰ):음운" 국어교육학회 (28) : 275-300, 2007

      24 국동식, "대기압, 조석, 계절변화에 대한 학생의 개념과 학년간 이해의 차이" 서울대학교 1991

      25 장경숙,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영어과 내용 교수 지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6 최승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7 강대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사회과 내용 교수 지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8 곽영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과 내용 교수 지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9 김용대, "교사의 수학적 관념과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30 권재술, "과학 오개념 편람"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1993

      31 박지영, "고등학생의 생태계에 대한 오개념 유형" 한국생물교육학회 31 (31): 203-213, 2003

      32 배원자, "개념학습에 관한 전형모형 , 고전모형 및 사례모형을 사회과에 적용한 학습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4 (4): 33-54, 1990

      33 배원자, "개념학습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교육학회 30 (30): 123-134, 1992

      34 노태희, "개념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586-594, 2002

      35 Skemp, R. R.,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in: 수학학습심리학" 민음사 1987

      36 Glynn, S.M., "The 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in: 구성주의적 과학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0

      37 Black, P.J., "Childrens' informal ideas in science" Routldege 1993

      38 김호정, "<문법> 교과서 ‘의미’ 단원의 교육내용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89-10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