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의 질적인 관리의 한 방법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윤리강령의 제정이 시급히 요청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강령 제정의 사전연구로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대한 인식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21278
임승렬 (덕성여자대학교)
2002
Korean
교직윤리 ; 교사교육 ; 전문직 윤리 ; 윤리강령 ; teaching ethics ; teacher education ; professional ethics ; ethical codes
370
KCI등재
학술저널
157-173(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아교육의 질적인 관리의 한 방법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윤리강령의 제정이 시급히 요청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강령 제정의 사전연구로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대한 인식과 ...
유아교육의 질적인 관리의 한 방법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윤리강령의 제정이 시급히 요청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강령 제정의 사전연구로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 수준, 인식과 실천수준의 차이가 학력과 경력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402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직윤리 검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교직윤리의 하위영역 중 전문성과 직무, 지역사회/사회에 대한 윤리의 인식과 실천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이 높은 교사들과 경력이 적은 교사들이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에 관한 윤리를 인식하고 실천하는 정도가 높았다. 유아에 대한 윤리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명확히 인식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가정에 대한 윤리는 교육경력에 따라 인식, 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와 기관에 대한 윤리는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했으며, 지역사회/사회에 대한 윤리는 학력과 경력에 따라 인식과 실천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인식한 것을 실천하는 데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유아교사를 위한 윤리 강령의 내용에 전문성과 직무, 지역사회/사회에 대한 윤리 항목이 강화되어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 Study of Reorganizing Teacher Licens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