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형도, 〈여성성〉에 대한 죄의식의 심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5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형도의시는비애의지점에있다. 그비애는통상의가난과아버지의부 재로 설명할 수 없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본고는 그 비애가 기형도가 유년을 함께했던 누이의 비통한 죽음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슬픔의근저에 대한프로이드 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이상심리학등을중심으 로하는정신분석학적고찰을통하여비극적인세계관과부정성, 남성으로특정 되어나타나는시적대상등기형도시가가지고있는독특한양상을규명하였 다. 시인기형도는 누이의 비통한죽음과 관련하여〈여성성〉에 대한도저한 죄의식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여성에 대한 죄의식은 여성을 성적인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것은 기형도의 시들이 취하고 있는 대상들이 사물을제외하면남성으로특정되어나타난다는점에서확인할수있었다. 동시 에초자아에의해의도된대상으로서의〈남성성〉은결과적으로자아-이질적 성적지향(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의 양상과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며 필연적으로 혼란스러운 부정적 세계관과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난에기초를둔기존의연구경향이기형도에앞서 시대를읽은것이라 면본고는 기형도그자체의의미구조를읽었다는점에서의미가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기형도의시는비애의지점에있다. 그비애는통상의가난과아버지의부 재로 설명할 수 없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본고는 그 비애가 기형도가 유년을 함께했던 누이의 비통한 죽음과 연계되어 있...

      기형도의시는비애의지점에있다. 그비애는통상의가난과아버지의부 재로 설명할 수 없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본고는 그 비애가 기형도가 유년을 함께했던 누이의 비통한 죽음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슬픔의근저에 대한프로이드 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이상심리학등을중심으 로하는정신분석학적고찰을통하여비극적인세계관과부정성, 남성으로특정 되어나타나는시적대상등기형도시가가지고있는독특한양상을규명하였 다. 시인기형도는 누이의 비통한죽음과 관련하여〈여성성〉에 대한도저한 죄의식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여성에 대한 죄의식은 여성을 성적인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것은 기형도의 시들이 취하고 있는 대상들이 사물을제외하면남성으로특정되어나타난다는점에서확인할수있었다. 동시 에초자아에의해의도된대상으로서의〈남성성〉은결과적으로자아-이질적 성적지향(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의 양상과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며 필연적으로 혼란스러운 부정적 세계관과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난에기초를둔기존의연구경향이기형도에앞서 시대를읽은것이라 면본고는 기형도그자체의의미구조를읽었다는점에서의미가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i Hyeong-do’s poems is at the point of grief, which is revealed as an aspect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normal poverty and absence of father. This paper take notice that the sadness is linked to the bitter death of the sister who had been with her childhood. And through psychoanalytic considerations about the basis of the sadness centering on Freud psychology, object relation theory, and ideal psychology , the tragic worldview, negativity, and poetic objects identified as men also identified the unique aspects of the poem. He formed a sense of guilt for "femininity" in relation to the sister's bitter death, and guilt for women resulted in the exclusion of women from sexual objects, which could be confirmed in that the objects taken by deformed poets were identified as men except for objects. The existing tendency of poverty-based research is not a study of Gi Hyeong-do, but a study of the time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Gi Hyeong-do itself.
      번역하기

      Gi Hyeong-do’s poems is at the point of grief, which is revealed as an aspect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normal poverty and absence of father. This paper take notice that the sadness is linked to the bitter death of the sister who had been with he...

      Gi Hyeong-do’s poems is at the point of grief, which is revealed as an aspect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normal poverty and absence of father. This paper take notice that the sadness is linked to the bitter death of the sister who had been with her childhood. And through psychoanalytic considerations about the basis of the sadness centering on Freud psychology, object relation theory, and ideal psychology , the tragic worldview, negativity, and poetic objects identified as men also identified the unique aspects of the poem. He formed a sense of guilt for "femininity" in relation to the sister's bitter death, and guilt for women resulted in the exclusion of women from sexual objects, which could be confirmed in that the objects taken by deformed poets were identified as men except for objects. The existing tendency of poverty-based research is not a study of Gi Hyeong-do, but a study of the time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Gi Hyeong-do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구겨진 슬픔의 근저
      • Ⅱ. 〈여성성〉에 대한 슬픈 죄의식
      • Ⅲ. 〈남성성〉, 의도된 대상의 어둠
      • Ⅳ. 〈물〉, 재생되는 누이의 이미지
      • Ⅴ. 누이를 잃고 쓰는 상실의 변주곡
      • Ⅰ. 구겨진 슬픔의 근저
      • Ⅱ. 〈여성성〉에 대한 슬픈 죄의식
      • Ⅲ. 〈남성성〉, 의도된 대상의 어둠
      • Ⅳ. 〈물〉, 재생되는 누이의 이미지
      • Ⅴ. 누이를 잃고 쓰는 상실의 변주곡
      • 참고 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