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 Results and Prospects of Gugok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1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구곡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제간의 협동연구가 필수적이다. 문학이나 미술사학은 텍스트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 현장과 연결된 유기적인 해석이 부족할 수 있고, 건축이나 조경학은 문헌자료의 원활한 이용을 담보하기 어렵기에 대상 구곡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놓치기 쉽다.
      구곡의 현재성에 주목하여, 그 활용가치와 보존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활용문제를 제기하면 바로 관광상품화를 거론하는데, 관광도 여러 가지 성격이 있느니만큼 생태와 문화가 결합된 관광을 지향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구곡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만들어낸 근대적인 사고를 극복하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장소, 공간을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계기를 발견했으면 한다. 구곡이 생태와 주거윤리를 건강하게 결합시켜주는 교육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거니와 이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구곡연구자들의 몫이다.
      구곡문화 학회의 결성을 통한 연구역량의 결집과 연구범위의 확대를 꾀해야 한다. 각 지역의 구곡전문가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으로 구곡현장을 답사하여 다양한 관점의 제시를 통한 비교능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구곡관련 자료집을 편찬하는 일도 중요하다. 시기별, 지역별, 자료의 성격별 등으로 현재까지 조사한 자료를 계통화 하여 해설을 붙여 책자로 발간함으로써 연구를 보다 체계화시킬 수 있다.
      번역하기

      구곡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제간의 협동연구가 필수적이다. 문학이나 미술사학은 텍스트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 현장과 연결된 유기적인 해석이 부족할 수 있고,...

      구곡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제간의 협동연구가 필수적이다. 문학이나 미술사학은 텍스트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 현장과 연결된 유기적인 해석이 부족할 수 있고, 건축이나 조경학은 문헌자료의 원활한 이용을 담보하기 어렵기에 대상 구곡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놓치기 쉽다.
      구곡의 현재성에 주목하여, 그 활용가치와 보존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활용문제를 제기하면 바로 관광상품화를 거론하는데, 관광도 여러 가지 성격이 있느니만큼 생태와 문화가 결합된 관광을 지향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구곡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만들어낸 근대적인 사고를 극복하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장소, 공간을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계기를 발견했으면 한다. 구곡이 생태와 주거윤리를 건강하게 결합시켜주는 교육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거니와 이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구곡연구자들의 몫이다.
      구곡문화 학회의 결성을 통한 연구역량의 결집과 연구범위의 확대를 꾀해야 한다. 각 지역의 구곡전문가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으로 구곡현장을 답사하여 다양한 관점의 제시를 통한 비교능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구곡관련 자료집을 편찬하는 일도 중요하다. 시기별, 지역별, 자료의 성격별 등으로 현재까지 조사한 자료를 계통화 하여 해설을 붙여 책자로 발간함으로써 연구를 보다 체계화시킬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need of cooperative study to get to total understanding of Gugok culture. Because Literature and art history have a high dependence of texts, it can be short of organic analysis in connect with the field. Also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are apt to miss a historical current because of being difficult to guarantee to make use of paper materials.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get the practical value and preservation program through taking a notice of presence of Gugok. We are apt to raise an issue of tourist development, when we call in practical program. Development of program to make tourist industry combine culture and ecology are urgently needed.
      We hope to seek for moment to get the integrating though by overcoming a paradigm of modern idea to separate human from nature through Gugok spirits. Gugok is able to act as educational field to combine ecology and ethic of residence are healthily. Drawing up a good plan to make it is a duty of Gugok researcher.
      We have to energize all one´s ability and to expand range of study by organizing a Gugok culture society, and we have to improve comparative ability by presenting multi-perspectives. Because of it, we make every effort to exchange imformations each other and to make survey of fields jointly by forming a human network connecting with regional experts.
      번역하기

      We have need of cooperative study to get to total understanding of Gugok culture. Because Literature and art history have a high dependence of texts, it can be short of organic analysis in connect with the field. Also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

      We have need of cooperative study to get to total understanding of Gugok culture. Because Literature and art history have a high dependence of texts, it can be short of organic analysis in connect with the field. Also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are apt to miss a historical current because of being difficult to guarantee to make use of paper materials.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get the practical value and preservation program through taking a notice of presence of Gugok. We are apt to raise an issue of tourist development, when we call in practical program. Development of program to make tourist industry combine culture and ecology are urgently needed.
      We hope to seek for moment to get the integrating though by overcoming a paradigm of modern idea to separate human from nature through Gugok spirits. Gugok is able to act as educational field to combine ecology and ethic of residence are healthily. Drawing up a good plan to make it is a duty of Gugok researcher.
      We have to energize all one´s ability and to expand range of study by organizing a Gugok culture society, and we have to improve comparative ability by presenting multi-perspectives. Because of it, we make every effort to exchange imformations each other and to make survey of fields jointly by forming a human network connecting with regional exper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이정, "李重慶의 노래에 대한 인식 및 시가 창작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22 (22): 139-170, 2007

      2 이민홍, "증보 사림파문학의 연구" 월인 2000

      3 이상주, "조선후기 산수평론에 대한 일고찰:화양구곡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4 : 2006

      4 강신애, "조선시대 무이구곡도의 연원과 특징" 한국미술사학회 254 (254): 5-40, 2007

      5 최재남, "이이의 석담생활과 <고산구곡가>의 서정 in : 사림의 향촌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1997

      6 김선기, "우암 송시열이 고산구곡가에 보인 향의" 3 : 1996

      7 이선옥, "식산 이만부와 누항도 서화첩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27 : 2000

      8 조성덕, "무이도가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일고찰" 성균관대학교 2004

      9 권정은, "도산과 고산의 예술적 계보와 향유- 시가와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43) : 91-114, 2007

      10 김순영, "갈은동 구곡" 푸른나라 2006

      1 박이정, "李重慶의 노래에 대한 인식 및 시가 창작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22 (22): 139-170, 2007

      2 이민홍, "증보 사림파문학의 연구" 월인 2000

      3 이상주, "조선후기 산수평론에 대한 일고찰:화양구곡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4 : 2006

      4 강신애, "조선시대 무이구곡도의 연원과 특징" 한국미술사학회 254 (254): 5-40, 2007

      5 최재남, "이이의 석담생활과 <고산구곡가>의 서정 in : 사림의 향촌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1997

      6 김선기, "우암 송시열이 고산구곡가에 보인 향의" 3 : 1996

      7 이선옥, "식산 이만부와 누항도 서화첩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27 : 2000

      8 조성덕, "무이도가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일고찰" 성균관대학교 2004

      9 권정은, "도산과 고산의 예술적 계보와 향유- 시가와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43) : 91-114, 2007

      10 김순영, "갈은동 구곡" 푸른나라 2006

      11 김학수, "鄭逑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9) : 137-178, 2008

      12 金昞國, "武夷櫂歌와 高山九曲歌의 品格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105-124, 2003

      13 고정희, "<도산십이곡>과<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회 141 : 197-228, 2005

      14 이상원, "19세기 말 화서학파의 <고산구곡가> 수용과 그 의미" 한국시조학회 (27) : 107-142, 2007

      15 변영섭, "18세기 화가 이방운과 그의 화풍" 이화사학연구소 13 : 1983

      16 조지형, "17-18세기 구곡가 계열 시가문학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7 김용철, "16세기 강호시조의 낭만적 성격" 우리어문학회 19 :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