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저출산 정책이 개입할 여지가 큰 자녀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남성의 관점에서 출산 연기의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96696
2015
-
332
KCI등재
학술저널
1-33(33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저출산 정책이 개입할 여지가 큰 자녀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남성의 관점에서 출산 연기의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저출산 정책이 개입할 여지가 큰 자녀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남성의 관점에서 출산 연기의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출산 결정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소외되어 온 무자녀 ‘남성’의 관점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자료는 결혼한 지 3년이 경과하였으며 자녀 갖기를 일시적으로 연기하고 있다고 보고한 만 50세 미만의 무자녀 남성 6명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출산 연기의 배경’으로는 경제적 문제, 주거 등 안정된 생활 기반 부족, 부모로서의 책임에 대한 부담감, 출산 연기에대한 배우자의 의사와 자녀 양육에 대한 배우자의 기대, 주변의 무자녀 부부를 통한 불안감의 해소가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자녀에 대한 태도’의 하위주제로는 당연히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보편적 자녀 출산관,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부모의 조부모됨과 연결된 존재로서의 자녀, 높은 출산 의향, 출산을 연기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아쉬움이 도출되었다. 셋째,
‘정책 요구도’ 관련 주제로는 사회 문제로서의 저출산에 대한 인식, 경제적 지원 및 맞벌이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의 필요성, 사회 구조의 근본적 변화에대한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녀가 출산 결정과 자녀 양육을 공유할 수 있도록하는 저출산 정책, 부모됨을 통한 행복 추구권을 지원하는 정책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childless married men who have delayed having a child.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background of postponing parenthood,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and opinions on fertility poli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childless married men who have delayed having a child.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background of postponing parenthood,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and opinions on fertility policies. Delayed parenthood in Korea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context of the extremely low birth rate. Listening to childless men’s voices is meaningful because they have been excluded in the literature on decisions about childbirth.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in-depth interviews with childless Korean men who
had been married for three years or more, who had delayed parenthood but hoped to have a child in the future, and who were younger than the age of 50.
The themes around the background of men choosing to postpon parenthood were (a) economic problems, (b) unmet living standards including insecure housing, (c) burden of parental responsibilities, (d) the wife’s opinion about childbirth and expectations for childrearing, and (e) relieving pressure of having a child due to other childless couples. As for the childless men’s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the emerged themes were (a) parenthood
as a normative and taken-for-granted life event, (b) positive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c) the importance of their parents’ becoming grandparents, (d)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and (e) regret about having delayed parenthood. The themes related to fertility policies were (a) the low fertility rate as a social problem, (b) the need for economic support and support for dual earning couples, (c) request for meeting real-life needs, and (d) the need for ultimat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We suggest that public polices should better support gender equality in caring for children and value citizens’ right to pursue happiness by having a chil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미애,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II : 자발형과 비자발형 무자녀 기혼자의 심리적 복지 예측 요인 탐색" 한국가족학회 26 (26): 72-101, 2014
2 최연실,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I : 무자녀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 부부관계 및 자녀에 대한 태도" 한국가족학회 26 (26): 40-71, 2014
3 이삼식,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심층 사례분석" 보건복지부 2012
4 성미애,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학회 27 (27): 271-303, 2015
5 염지혜,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강남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5) : 43-63, 2013
6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수립방향"
7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5년도 시행계획"
8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1
9 대한민국정부,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06
10 김민주, "저출산 유인요소와 대응정책에 관한 분석" 한국정책학회 19 (19): 105-128, 2010
1 성미애,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II : 자발형과 비자발형 무자녀 기혼자의 심리적 복지 예측 요인 탐색" 한국가족학회 26 (26): 72-101, 2014
2 최연실,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I : 무자녀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 부부관계 및 자녀에 대한 태도" 한국가족학회 26 (26): 40-71, 2014
3 이삼식,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심층 사례분석" 보건복지부 2012
4 성미애,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한국가족학회 27 (27): 271-303, 2015
5 염지혜,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강남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5) : 43-63, 2013
6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수립방향"
7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5년도 시행계획"
8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1
9 대한민국정부,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06
10 김민주, "저출산 유인요소와 대응정책에 관한 분석" 한국정책학회 19 (19): 105-128, 2010
11 김정미, "자발적 무자녀가족의 선택 동기와사회적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79-95, 2013
12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2013
13 강희선, "여성의 불임 경험 -체외수정 실패 경험자를 중심으로" 10 (10): 119-127, 2004
14 김주희,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 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 (19): 27-49, 2015
15 권윤진, "삶의 기획 과정으로서의 '아이없음(childlessness)'에 관한 연구 : 아이없는 기혼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6 배경의, "불임여성의 인공수정 경험" 8 (8): 23-35, 2007
17 김경열, "불임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2002
18 김주희, "불임 여성의 삶의 질 모형 구축" 한국간호과학회 43 (43): 312-320, 2013
19 권영인, "미혼 및 기혼 무자녀 남성과 여성의 출산 의사 고찰과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 23 (23): 251-268, 2014
20 이수연, "무자녀 부부의 결혼생활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23-44, 2012
21 우원규, "기혼여성이 자녀출산시기결정시 고려하는 연령:고학력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6 (36): 25-49, 2013
22 신인철, "기혼여성의 자녀출산계획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한국인구학회 32 (32): 59-85, 2009
23 김한곤, "기혼여성의 무자녀지향과 그 결정인자에 관한 연구: 1966-1985" 11 : 219-233, 1985
24 송유미, "가족의 실패" 형설출판사 2015
25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014
26 Braun.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3 (3): 77-101, 2006
27 Geary, D. C., "Male, Female: The Evolution of Human Sex Differenc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8
28 Buss, D. M., "Evolutionary Psychology: The New Science of the Mind" Allyn & Bacon 1999
29 Thomson, E, "Couple Childbearing Desire, Intentions, and Birth" 34 : 343-354, 1997
30 조준영,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2007
학령기 자녀와 함께 사는 분거 가족 기혼 여성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고찰
초등학교 고학년용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및 검증을 위한 연구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차별 경험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주변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 | 1.41 | 1.78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