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AI)의 창작물과 미술가의 창작물에서 나타나는 심미적 요소에 관한 식별연구 = a Discrimination Study on Aesthetic Element of AI Creation and Artist Cr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1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컴퓨터가 학습하고 스스로 제작하는 인공신경망, 즉 딥러닝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nece: AI)이 인간 삶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예술분야 역시 그 예외는 아니...

      최근 컴퓨터가 학습하고 스스로 제작하는 인공신경망, 즉 딥러닝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nece: AI)이 인간 삶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예술분야 역시 그 예외는 아니다. 연산능력이 필요한 분야와는 달리 예술분야는 순수한 인간의 분야라고 여겨진다는 점에서, 예술분야와 AI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높다. 본 연구는 현재의 딥러닝 AI 기술 및 향후 예상되는 기술적 진보를 고려하였을 때, 심미성이 주요한 창작활동의 기반이 되는 시각예술가가 최종적으로 딥러닝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제 국내 작가의 그림과 구글이 제작한 인공지능 크리에이터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그림의 심미성 요소를 다음의 두 단계로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질적 비교분석을 위해 예술 전문가 30명에게 두 이미지를 보여준 후 AI가 그린 것으로 판단되는 그림을 선택, 각 이미지의 심미성 요소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둘째, 정량적 비교분석을 위해 전국 16~60세의 남녀 340명을 임의선택 표본 선정한 후 Ellis(1993)의 심미성 요소 평가 척도(a scale for the evaluation of the aesthetic element:SEAE)를 배포, 회수한 후 SPSS 22.0을 이용해 하위분류 별 평균 차이를 증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 결과 30명중 27명이 AI가 그린 그림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비전문가의 중 48.53%가 AI의 창작물과 미술가의 창작물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비전문가 집단이 심미성 요소 평가 척도의 결과 작가의 그림은 AI의 그림보다 게슈탈트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major part of human part by a computer based learning and self-produc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introduced, and the field of art is no exception. The field of art is conside...

      Recently,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major part of human part by a computer based learning and self-produc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introduced, and the field of art is no exception. The field of art is considered to be a pure human field, unlike fields that require computation abil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the visual artists, who use aesthetic impression as a main foundation of creative activities, would be finally replaced by the deep learning AI, considering the present deep learning AI technology and the anticipated technological progr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image created by the Korean artist and the image created by “Deep Dream Generator” made by Google, in following two stages: First, for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this study showed aforementioned two images to 30 artistic experts, let them select one of the images that considered as AI creation,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selected image. Second, for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340 people aged between 16 and 60 years, conducted a survey(a scale for the evaluation of the aesthetic element:SEAE(Ellis,1993)), and proved the mean difference for each subclass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fter in-depth interview, it turns out that 27 out of 30 artistic experts selected the right answer. However, 48.53% of non-experts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AI creation and artist’s creation. According to the SEAE score of the non-expert group, the real image hit higher score in all the sub elements except for Gestalt element than the AI image,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경, "저작권 귀속법리와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원 29 (29): 331-374, 2017

      2 이임수, "인공지능과 현대미술에 관한 소고: 사이버네틱스에서 신경망까지" 한국예술연구소 (15) : 5-28, 2017

      3 최효승, "인공지능과 예술창작 활동의 융복합 사례분석 및 특성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8 : 289-299, 2017

      4 이상미,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과학기술법연구원 22 (22): 241-294, 2016

      5 국형준, "인공지능 : 공식 원리에 기반한 대화식 문제해결 학습을 지원하는 수학교수 모형" 8 (8): 429-440, 2001

      6 "문화뉴스"

      7 "뉴스1"

      8 Adorno, W. T., "Theory and history of literatu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8

      9 Hadot, P., "Philosophy as a way of life: spiritual exercises from Socrates to Foucault" Blackwell 1995

      10 Nagel, T., "Mortal Ques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7-222, 1979

      1 김현경, "저작권 귀속법리와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원 29 (29): 331-374, 2017

      2 이임수, "인공지능과 현대미술에 관한 소고: 사이버네틱스에서 신경망까지" 한국예술연구소 (15) : 5-28, 2017

      3 최효승, "인공지능과 예술창작 활동의 융복합 사례분석 및 특성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8 : 289-299, 2017

      4 이상미,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과학기술법연구원 22 (22): 241-294, 2016

      5 국형준, "인공지능 : 공식 원리에 기반한 대화식 문제해결 학습을 지원하는 수학교수 모형" 8 (8): 429-440, 2001

      6 "문화뉴스"

      7 "뉴스1"

      8 Adorno, W. T., "Theory and history of literatu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8

      9 Hadot, P., "Philosophy as a way of life: spiritual exercises from Socrates to Foucault" Blackwell 1995

      10 Nagel, T., "Mortal Ques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7-222, 1979

      11 Hinton, E. G., "Learning multiple layers of representation" 11 : 428-434, 2007

      12 Dahl, E. G., "Improving deep neural networks for LVCSR using rectified linear units and dropout" 26 : 8609-8613, 2013

      13 Hegel, W. F. G., "Hegel's aesthetics: lectures on fine art, vol. I"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4 Goodfellow, L., "Deep learning(Adaptive computation and learning series)" The MIT Press 2016

      15 Glow J. M., "Charlse A. Csuri" Ohio State University 2006

      16 LeCun, Y., "Backpropagation applied to handwritten zip code recognition" 1 (1): 541-551, 1989

      17 Wessell, P. L., "Alexander Baumgarten'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esthetics" 30 (30): 333-342, 1972

      18 Beardsley, C. M., "Aesthetics" Harcourt 1958

      19 Ellis, S. R.,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of s scale for the evaluation of the aesthetic element in consumer durable goods" The university of Arizona 1993

      20 Hochreiter, S., "A field guide to dynamical recurrent neural networks" IEEE Press 237-243, 2001

      21 Tatarkiewicz, W., "A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미술문화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