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溪西雜錄』의 轉移樣相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spect of the Gye-seo-jab-rok(溪西雜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8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완질 『溪西雜錄』 4책 소재의 야담이 後代 野談集에 轉移된 樣相에 대한 文獻學的 고찰의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溪西雜錄系 野談이 『紀聞叢話』와 『溪西野譚』에 전이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4책본 『기문총화』를 기준으로 제2책과 제3책의 경우 상당부분의 일화들이 『계서잡록』에서 전이된 것임을 재확인하였고, 『계서야담』 소재 야담 역시 대부분 『계서잡록』에서 전이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래에 공개된 河合本 『溪西野譚』를 奎章閣本, 延世大本 등과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河合本이 延世大本 『계서야담』과 동일 계열의 이본임을 밝히게 되었다. 또한 河合本 上冊이, 그동안 5책 중 4책만 남아 零本으로 여겨졌던 延世大本의 일실된 金冊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5책의 『계서야담』을 再構해볼 수 있었다. 18세기 편찬된 『東稗洛誦』, 『鶴山閑言』, 『雜記古談』 등은 著者의 이름이 밝혀진 記名의 野談集으로 독자적 著作物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19세기 중ㆍ후반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紀聞叢話』, 『溪西野譚』, 『靑邱野談』은 編者의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匿名의 野談集으로 前代의 野談集을 刪削한 編輯物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계서잡록』은 19세기 초반 편찬된 記名의 著作物로 저작과 편집의 중간 단계에 놓인 野談集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완질 『溪西雜錄』 4책 소재의 야담이 後代 野談集에 轉移된 樣相에 대한 文獻學的 고찰의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溪西雜錄系 野談이 『紀聞叢話』와 『溪西野譚』에 전이된 양상...

      본 연구는 완질 『溪西雜錄』 4책 소재의 야담이 後代 野談集에 轉移된 樣相에 대한 文獻學的 고찰의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溪西雜錄系 野談이 『紀聞叢話』와 『溪西野譚』에 전이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4책본 『기문총화』를 기준으로 제2책과 제3책의 경우 상당부분의 일화들이 『계서잡록』에서 전이된 것임을 재확인하였고, 『계서야담』 소재 야담 역시 대부분 『계서잡록』에서 전이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래에 공개된 河合本 『溪西野譚』를 奎章閣本, 延世大本 등과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河合本이 延世大本 『계서야담』과 동일 계열의 이본임을 밝히게 되었다. 또한 河合本 上冊이, 그동안 5책 중 4책만 남아 零本으로 여겨졌던 延世大本의 일실된 金冊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5책의 『계서야담』을 再構해볼 수 있었다. 18세기 편찬된 『東稗洛誦』, 『鶴山閑言』, 『雜記古談』 등은 著者의 이름이 밝혀진 記名의 野談集으로 독자적 著作物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19세기 중ㆍ후반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紀聞叢話』, 『溪西野譚』, 『靑邱野談』은 編者의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匿名의 野談集으로 前代의 野談集을 刪削한 編輯物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계서잡록』은 19세기 초반 편찬된 記名의 著作物로 저작과 편집의 중간 단계에 놓인 野談集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attern of the reproduction in the later collection of the Yadam of the Gye-seo-jab-rok(溪西雜錄). The Yadam texts of the Gye-seo-ya-dam(溪西野譚) were compiled by compiling the aspects of each pieces in the Gye-seo-jab-rok and the another compilation of Yadam texts, Gi-mun-chong-hwa(紀聞叢話). As a result, it was reaffirmed that many of the Yadam texts in the Gye-seojab- rok were republished in the Gi-mun-chong-hwa and Gye-seo-ya-dam.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summarize the aspects of Yadam texts in the Gye-seo-jab-rok, Gye-seo-ya-dam and Gi-mun-chong-hwa in a comprehensive tables. In the process, the recently released Kawai edition's Gye-seo-ya-dam was compared to Kyujanggak's and Yonsei University'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Kawai edition was not a Kyujang's, but a copy of the Yonsei University's. It was also revealed that Yonsei University's version matched Kawai edition's. Dong-nak-pae-s ong, Hak-san-han-eon, and Jab-gi-go-dam, which were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can be regarded as independent works by the author. On the other hand, Gi-mun-chong-hwa, Gye-seo-ya-dam, and Cheong-gu-yadam,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compiled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can be regarded as a scattering compilation of previous generations' stories. Gye-seo-jab-rok is a collection of works is that in the middle of writing and editing, compiled in the early 19th centur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attern of the reproduction in the later collection of the Yadam of the Gye-seo-jab-rok(溪西雜錄). The Yadam texts of the Gye-seo-ya-dam(溪西野譚) were compiled by compiling the aspects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attern of the reproduction in the later collection of the Yadam of the Gye-seo-jab-rok(溪西雜錄). The Yadam texts of the Gye-seo-ya-dam(溪西野譚) were compiled by compiling the aspects of each pieces in the Gye-seo-jab-rok and the another compilation of Yadam texts, Gi-mun-chong-hwa(紀聞叢話). As a result, it was reaffirmed that many of the Yadam texts in the Gye-seojab- rok were republished in the Gi-mun-chong-hwa and Gye-seo-ya-dam.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summarize the aspects of Yadam texts in the Gye-seo-jab-rok, Gye-seo-ya-dam and Gi-mun-chong-hwa in a comprehensive tables. In the process, the recently released Kawai edition's Gye-seo-ya-dam was compared to Kyujanggak's and Yonsei University'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Kawai edition was not a Kyujang's, but a copy of the Yonsei University's. It was also revealed that Yonsei University's version matched Kawai edition's. Dong-nak-pae-s ong, Hak-san-han-eon, and Jab-gi-go-dam, which were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can be regarded as independent works by the author. On the other hand, Gi-mun-chong-hwa, Gye-seo-ya-dam, and Cheong-gu-yadam,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compiled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can be regarded as a scattering compilation of previous generations' stories. Gye-seo-jab-rok is a collection of works is that in the middle of writing and editing, compiled in the early 19th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일본 천리대학 천리도서관 소장 한국본"

      2 정명기, "한국 야담의 자료와 전승" 보고사 116-150, 2019

      3 정명기, "한국 야담의 자료와 전승" 보고사 81-115, 2019

      4 이강옥, "한국 야담의 서사세계" 돌베개 447-485, 2018

      5 정명기, "야담연구의 새로운 시각과 해석" 보고사 13-45, 2019

      6 유화수, "계서야담" 국학자료원 2003

      7 박양신, "가와이 히로타미(河合弘民)의 식민지 조선에서의 행적과 조선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39) : 175-205, 2016

      8 김준형, "紀聞叢話의 前代文獻 受容樣相- 『紀聞叢話』 1권 筆記·稗說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26 : 57-83, 2000

      9 金埈亨, "紀聞叢話系 野譚集의 文獻學的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10 이현택, "溪西野譚硏究(下)" 한국어교육학회 51 : 229-249, 1985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일본 천리대학 천리도서관 소장 한국본"

      2 정명기, "한국 야담의 자료와 전승" 보고사 116-150, 2019

      3 정명기, "한국 야담의 자료와 전승" 보고사 81-115, 2019

      4 이강옥, "한국 야담의 서사세계" 돌베개 447-485, 2018

      5 정명기, "야담연구의 새로운 시각과 해석" 보고사 13-45, 2019

      6 유화수, "계서야담" 국학자료원 2003

      7 박양신, "가와이 히로타미(河合弘民)의 식민지 조선에서의 행적과 조선 연구" 역사교육연구회 (139) : 175-205, 2016

      8 김준형, "紀聞叢話의 前代文獻 受容樣相- 『紀聞叢話』 1권 筆記·稗說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26 : 57-83, 2000

      9 金埈亨, "紀聞叢話系 野譚集의 文獻學的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10 이현택, "溪西野譚硏究(下)" 한국어교육학회 51 : 229-249, 1985

      11 이현택, "溪西野譚硏究(上)" 한국어교육학회 46 : 163-180, 1983

      12 서대석, "朝鮮朝文獻說話輯要(1)ㆍ(2)" 집문당 1991

      13 김동욱, "國譯 紀聞叢話 새벽강가에 해오라기 우는 소리 上ㆍ中ㆍ下" 아세아문화사 2008

      14 정명기, "『溪西雜錄』 卷之利(연민본)" 열상고전연구회 10 : 337-410, 1997

      15 김상조, "『溪西野譚』의 書誌的 硏究- 『溪西雜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32 (32): 41-55, 1991

      16 나종면, "『溪西野譚』 편찬자의 現實認識에 관한 考察" 동양고전학회 4 (4): 105-131, 1995

      17 임완혁, "『溪西野談』의 敍述方式에 대한 一考察-『東稗洛誦』 受容 過程에서 나타난 文章 記述의 變化를 中心으로" 한국한문학회 19 : 401-440, 1996

      18 김상조, "<溪西野談>의 筆記受容硏究" 제주대학교 28 (28): 17-32, 1989

      19 김준형, "19세기 야담 작가의 존재 양상 - 계서(溪西) 이희평론(李羲平論)" 민족문학사연구소 15 (15): 65-10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