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의 자기결정 동기유형인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영향을 주는가를...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의 자기결정 동기유형인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1,375명의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 학습유형척도,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척도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개인들의 자기조절효능감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완전 매개모형과 부분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해 모형의 양호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직접효과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을 통한 간접효과가 다 유의하여 부분 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환경의 중요한 요소인 부모의 자율성 지지 정도는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에는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통제적 조절에는 부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직접적인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통제적 조절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는 별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 효과가 학생들의 자기결정 동기유형과 효능감에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인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