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세창, "한국잔디식재 경량박층형 옥상녹화의 열수지 해석" 한국조경학회 40 (40): 190-197, 2012
2 윤준노, "폐활성탄을 사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성질" 한국농공학회 51 (51): 21-27, 2009
3 조홍하,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한 세덤류의 내서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40 (40): 180-189, 2012
4 이춘우, "옥상녹화의 녹화유형별 기온저감효과" 한국주거학회 22 (22): 25-33, 2011
5 안근영, "옥상녹화용 초본식물의 순간 CO_2 흡수 및 증발산량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5 (25): 91-101, 2011
6 성찬용, "식생을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중성화 처리 및 양생방법에 따른 pH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농공학회 44 (44): 99-106, 2002
7 성찬용, "볏짚재를 활용한 식생콘크리트 블록 개발 및 사면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농공학회 45 (45): 107-114, 2003
8 김황희,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한 다공성 황토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한국농공학회 52 (52): 9-17, 2010
9 이진형, "고로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황토 및 보강섬유의 효과" 한국농공학회 52 (52): 53-60, 2010
10 Lee, S. T., "Temperature changes of indoor and outdoor by grass planting block in planting of roof area" 7 (7): 54-60, 2004
1 김세창, "한국잔디식재 경량박층형 옥상녹화의 열수지 해석" 한국조경학회 40 (40): 190-197, 2012
2 윤준노, "폐활성탄을 사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성질" 한국농공학회 51 (51): 21-27, 2009
3 조홍하,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한 세덤류의 내서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40 (40): 180-189, 2012
4 이춘우, "옥상녹화의 녹화유형별 기온저감효과" 한국주거학회 22 (22): 25-33, 2011
5 안근영, "옥상녹화용 초본식물의 순간 CO_2 흡수 및 증발산량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5 (25): 91-101, 2011
6 성찬용, "식생을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중성화 처리 및 양생방법에 따른 pH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농공학회 44 (44): 99-106, 2002
7 성찬용, "볏짚재를 활용한 식생콘크리트 블록 개발 및 사면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농공학회 45 (45): 107-114, 2003
8 김황희,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한 다공성 황토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한국농공학회 52 (52): 9-17, 2010
9 이진형, "고로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황토 및 보강섬유의 효과" 한국농공학회 52 (52): 53-60, 2010
10 Lee, S. T., "Temperature changes of indoor and outdoor by grass planting block in planting of roof area" 7 (7): 54-60, 2004
1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nual of management and construction green roof system(in Korean)"
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mpacts of green spaces on air quality(in Korean)"
13 Yang, B. E., "Green roof technology of korea" 7 (7): 1-7, 2004
14 Choi, H. Y.,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by the kinds of admixture and the replacement ratios of activated hwang toh" 13 (13): 123-129,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