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기성장 집단상담 진행단계에 따른 수료자집단과 미수료자집단간의 비교분석 = A Comparison of the Finished and the Non-finished Participants of Self-growth Group during the Group Process based upon Group Cohesiveness, Leader Evaluation, and Session Eval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1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more than 7 sessions of self-growth group out of 10 sessions (the finished group) and the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less than 7 sessions (the unfinished group) in their perceptions of group cohesiveness, leader evaluation, and session evaluation. A total of 107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fifty five participants were in the finished group, and 51 in the unfinished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56 participants successfully completed the group and 51 participants did not. And 44 participants out of 51 were classified as the drop-outs (41.1% of the total participant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cohesiveness throughout the initial, middle, and later group process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der evaluation was found. With respect to session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out the sessions except the first one.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drop-out is mostly occurring during the early group processes, particularly during the first two sessions, which appear to be related with participants' session evaluation and perceptions of group cohesiveness. A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the group leader's intervention for increasing the group cohesiveness and session evaluation in the early stage was mad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more than 7 sessions of self-growth group out of 10 sessions (the finished group) and the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less than 7 sessions (the unfinish...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more than 7 sessions of self-growth group out of 10 sessions (the finished group) and the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less than 7 sessions (the unfinished group) in their perceptions of group cohesiveness, leader evaluation, and session evaluation. A total of 107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fifty five participants were in the finished group, and 51 in the unfinished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56 participants successfully completed the group and 51 participants did not. And 44 participants out of 51 were classified as the drop-outs (41.1% of the total participant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cohesiveness throughout the initial, middle, and later group process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der evaluation was found. With respect to session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out the sessions except the first one.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drop-out is mostly occurring during the early group processes, particularly during the first two sessions, which appear to be related with participants' session evaluation and perceptions of group cohesiveness. A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the group leader's intervention for increasing the group cohesiveness and session evaluation in the early stage was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에서 수료자집단과 미수료자집단이 지각한 집단응집력, 상담회기평가, 상담자평가를 집단상담의 진행단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중도탈락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K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에서 실시되고 있는 12개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활동 (총 10회기)에 참여한 107명이었다(남자 41명, 여자 66명; 수료자 56명, 미수료자 51명). 집단응집력과 상담자평가는 집단상담의 초기와 중기, 후기의 진행단계로 살펴보았으며, 상담회기평가는 1회기에서 10회기까지 각 회기별로 검토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집단응집력은 초기와 중기, 후기 모두에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상담회기평가에서는 1회기에서만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상담자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볼 때, 상담회기평가와 상담자평가는 집단상담의 미수료자 집단에 대체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집단응집력은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에서 수료자집단과 미수료자집단이 지각한 집단응집력, 상담회기평가, 상담자평가를 집단상담의 진행단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중도탈락의 원인을 탐색하고...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에서 수료자집단과 미수료자집단이 지각한 집단응집력, 상담회기평가, 상담자평가를 집단상담의 진행단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중도탈락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K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에서 실시되고 있는 12개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활동 (총 10회기)에 참여한 107명이었다(남자 41명, 여자 66명; 수료자 56명, 미수료자 51명). 집단응집력과 상담자평가는 집단상담의 초기와 중기, 후기의 진행단계로 살펴보았으며, 상담회기평가는 1회기에서 10회기까지 각 회기별로 검토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집단응집력은 초기와 중기, 후기 모두에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상담회기평가에서는 1회기에서만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상담자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볼 때, 상담회기평가와 상담자평가는 집단상담의 미수료자 집단에 대체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집단응집력은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카운슬링의 실제" 성원사 1995

      2 "집단상담의 초기단계에서 지도자의 자기효능감과 집단내의 구조화가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1997

      3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법문사 1992

      4 "집단상담의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79

      5 "집단상담의 성과증진과 부정적 변화 감소를 위한 사전훈련효과" 충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2 : 33-67, 1997

      6 "집단상담에서의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에 관한 일 연구 - 상담자 교육을 위한 마 톤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30 : 111-154, 1994

      7 "집단상담에서의 응집력과 신뢰도는 어떻게 발달하는가?" 2 (2): 75-, 1999

      8 "집단상담에서 상담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6 (6): 131-154, 1995

      9 "집단상담과정에서의 대인관계 태도와 자기검색수준이 성장촉진 요인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1997

      10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0

      1 "카운슬링의 실제" 성원사 1995

      2 "집단상담의 초기단계에서 지도자의 자기효능감과 집단내의 구조화가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1997

      3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법문사 1992

      4 "집단상담의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79

      5 "집단상담의 성과증진과 부정적 변화 감소를 위한 사전훈련효과" 충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2 : 33-67, 1997

      6 "집단상담에서의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에 관한 일 연구 - 상담자 교육을 위한 마 톤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30 : 111-154, 1994

      7 "집단상담에서의 응집력과 신뢰도는 어떻게 발달하는가?" 2 (2): 75-, 1999

      8 "집단상담에서 상담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6 (6): 131-154, 1995

      9 "집단상담과정에서의 대인관계 태도와 자기검색수준이 성장촉진 요인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1997

      10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0

      11 "자기통합집단의 치료효과 및 치료요인에 관한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1995

      12 "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태도에 따른 치료요인의 효과 비교(감수성훈련집단상담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1997

      13 "자기성장집단의 발달단계에 따라 집단지도자 리더십 특성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17 : 107-125, 2003

      14 "자기성장 프로그램"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89

      15 "자기성장 집단상담초기에 집단원이 지각한 집단지도자의 특성과 집단응집력과 의 관계" 계명대학교 2002

      16 "심리척도 핸드북 Ⅱ" 학지사 2000

      17 "심리극에서의 상담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1995

      18 "성장을 위한 집단훈련의 추후효과 및 참가자 특성과의 관계 심리적 장애를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충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1-46, 1989

      19 "상담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특징들" 가톨릭대학교 1998

      20 "상담심리학 입문" 박영사 1986

      21 "상담 회기 평가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3

      22 "문제유형에 따른 내담자들의 집단 및 개인상담에 대한 기대" 계명대학교 1996

      23 "dynamic possibilities of small groups" Pilgrim Press 1969

      24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4th ed.)" Basic Books 1995

      2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Basic Books 1985

      26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5th ed.)" Brooks/Cole 2000

      27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4th ed.)" California: Brooks/ Cole Publishing Company. 1995

      28 "Measurement of the impact of psychotherapy sessions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176-185, 1980

      29 "Interpersonal variables in behavioral group therapy" 133-141, 1981

      30 ".집단상담에서 중도탈락과 관련된 집단원 변인분석:자기성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