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BAR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n Nursing Student s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Self-efficacy Following SBAR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1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BAR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사의 의사소통의 명확성은 간호의 가...

      본 연구는 SBAR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사의 의사소통의 명확성은 간호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핵심역량이며, 임상 간호 업무에서 안전사고를 줄이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의 실험 연구로, SBAR 프로그램은 4개 부분(강의, 토론, 역할극, 피드백)으로 3시간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D 광역시 소재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생 21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2월 6일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를 이용하여 빈도, paried t-test로 분석하였다. SBAR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t=-4.49, p<.001), 의사소통 자신감(t=-6.83 p<.001) 및 자기효능감(t=-6.17, p<.001)이 SBAR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SBAR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명확성, 보고자신감,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간호교육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강화를 위한 SBAR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BAR (Situation-Background- Assessment-Recommendation)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ommunication clarity, report confidence, and self-efficacy for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l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BAR (Situation-Background- Assessment-Recommendation)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ommunication clarity, report confidence, and self-efficacy for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larity of nurse is core competence to enhance quality of nursing and is needed to reduce safety accident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SBAR program consisted of 4 parts (lecture, discussion, roll play, feedback) and applied for 3 hours in the intervention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D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by self - reported questionnaires at February 6, 2019.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aired t-test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After SBAR program, communication clarity (t=-4.49, p<.001), report confidence (t=-6.83, p<.001) and self-efficacy (t=-6.17,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AR Program may improve the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utilize SBAR program in undergraduate program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가연,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인슐린 피하주사 실습교육의 효과" 을지대학교 대학원 2008

      2 민은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85, 2019

      3 권인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간호학생의 요구"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5-33, 2012

      4 李珍熙, "일 의료원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5 김은정, "시뮬레이션기반 상황별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임상판단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8

      6 하은호, "시뮬레이션 후 구조화된 자가 디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445-454, 2015

      7 노기옥, "시뮬레이션 실습 기반의 SBAR 보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보고 명확성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 (11): 145-153, 2016

      8 박진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69-786, 2017

      9 강영아, "병원간호사의 프리셉터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연구" 10 (10): 77-86, 2013

      10 이현숙,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6 (16): 488-496, 2010

      1 성가연,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인슐린 피하주사 실습교육의 효과" 을지대학교 대학원 2008

      2 민은실, "팀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85, 2019

      3 권인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간호학생의 요구"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5-33, 2012

      4 李珍熙, "일 의료원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5 김은정, "시뮬레이션기반 상황별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임상판단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8

      6 하은호, "시뮬레이션 후 구조화된 자가 디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445-454, 2015

      7 노기옥, "시뮬레이션 실습 기반의 SBAR 보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보고 명확성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 (11): 145-153, 2016

      8 박진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69-786, 2017

      9 강영아, "병원간호사의 프리셉터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연구" 10 (10): 77-86, 2013

      10 이현숙,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6 (16): 488-496, 2010

      11 정연옥, "대화 분석적 인수인계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이 임상간호사의 인수인계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정신간호학회 25 (25): 176-186, 2016

      12 유문숙,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있어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효과" 7 (7): 94-112, 2001

      13 김선호, "군병원 인수인계 실태 및 간호사의 인수인계에 대한 인식" 군건강정책연구소 32 (32): 1-13, 2014

      14 정애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15 김화영, "간호사의 SBAR 환자보고가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일군 전후실험 설계"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3 (23): 105-113, 2016

      16 정명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 교수 효율성과 임상실습 적절성"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550-560, 2015

      17 박광옥,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시 겪는 무례함 경험" 간호행정학회 23 (23): 524-534, 2017

      18 박정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698-7707, 2015

      19 한정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2

      20 Marshall, S.,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18 (18): 137-140, 2009

      21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cons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22 Bandura, E.,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37): 122-147, 1982

      23 김월주, "SBAR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표현성,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57-472, 2016

      24 김윤화, "SBAR 프로그램이 암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간호학회 19 (19): 20-29, 2016

      25 조혜진, "SBAR 프로그램 교육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과 자기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3

      26 이해영, "SBAR 적용이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27 하이경, "SBAR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의료팀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407-419, 2017

      28 이외선, "SBAR 보고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성인간호학 실습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53-260, 2018

      29 Compton, J., "Implementing SBAR across a large multihospital health system" 36 (36): 261-268, 2012

      30 Nahas, V. L., "Hong K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clinical teachers" 40 (40): 233-237, 2001

      31 Rubin, R. B., "Communication competenc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94-129, 1990

      32 O'Rourke, J., "A Delphi study to identify the core components of nurse to nurse hand off" 74 (74): 1-13,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