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정당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3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데 있다. 기존의 한국 정당연구는 서구 중심적인 접근에 의존하여 한국의 역사적·정치적 상황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후발 민주주의 국가의 정당정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이론 개발에 주목한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민주주의 제도화 수준에 따라 세 가지 차원의 사례 분석을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민주주의 제도화 수준이 낮은 동유럽의 신생 민주주의 국가, 제도화 수준이 중간이지만 정당정치 정착을 시도하는 유럽연합을 포함하여, 민주주의가 정착되어 정당의 선거경쟁력이 쇠퇴하고 있는 미국에 이르기까지 정당정치의 사례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대안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선행조건을 제시하는데, 첫째는 거시적·미시적 접근의 융합과 한국 정치의 역사적·맥락적 접근의 보완이다. 둘째는 정당-유권자 연계를 위한 철저한 고민이고, 셋째는 선거공영제의 범위에 대한 논의이며, 마지막으로 넷째는 중앙당과 지구당의 역학관계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논의이다. 이러한 접근들은 한국 정당연구의 주제를 확장하고 현실적인 적실성을 높여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데 있다. 기존의 한국 정당연구는 서구 중심적인 접근에 의존하여 한국의 역사적·정치적 상황을 간...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데 있다. 기존의 한국 정당연구는 서구 중심적인 접근에 의존하여 한국의 역사적·정치적 상황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후발 민주주의 국가의 정당정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이론 개발에 주목한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민주주의 제도화 수준에 따라 세 가지 차원의 사례 분석을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민주주의 제도화 수준이 낮은 동유럽의 신생 민주주의 국가, 제도화 수준이 중간이지만 정당정치 정착을 시도하는 유럽연합을 포함하여, 민주주의가 정착되어 정당의 선거경쟁력이 쇠퇴하고 있는 미국에 이르기까지 정당정치의 사례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대안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선행조건을 제시하는데, 첫째는 거시적·미시적 접근의 융합과 한국 정치의 역사적·맥락적 접근의 보완이다. 둘째는 정당-유권자 연계를 위한 철저한 고민이고, 셋째는 선거공영제의 범위에 대한 논의이며, 마지막으로 넷째는 중앙당과 지구당의 역학관계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논의이다. 이러한 접근들은 한국 정당연구의 주제를 확장하고 현실적인 적실성을 높여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w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lternatives of party studies in Korea. The existing approaches overlook Korean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s by only depending on Westerncentric approach. But this study tries to develop new theories for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Also methodologically, this study suggests three levels of case studie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level of democrac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preconditions for the alternative approaches. The first one is the fusion of macro-micro approaches with th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and contextual analysis. The second precondition is deep concern on a linkage between the party and voter. Thirdly, it requires serious discussions on the expansion of government funded elec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micro-leve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party and local parties.
      번역하기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w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lternatives of party studies in Korea. The existing approaches overlook Korean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s by only depending on Westerncentric approach. But this stud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w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lternatives of party studies in Korea. The existing approaches overlook Korean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s by only depending on Westerncentric approach. But this study tries to develop new theories for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Also methodologically, this study suggests three levels of case studie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level of democrac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preconditions for the alternative approaches. The first one is the fusion of macro-micro approaches with th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and contextual analysis. The second precondition is deep concern on a linkage between the party and voter. Thirdly, it requires serious discussions on the expansion of government funded elec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micro-leve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party and local par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정당연구방법론의 기존 접근법
      • Ⅲ. 정당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
      • Ⅳ. 대안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조건
      • 논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정당연구방법론의 기존 접근법
      • Ⅲ. 정당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
      • Ⅳ. 대안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조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호, "한국정당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성찰" 한국정당학회 7 (7): 65-82, 2008

      2 윤종빈, "한국 정당정치의 현실과 정당개혁의 과제" 국립외교원 2012

      3 장훈, "한국 정당정치 연구방법론" 나남 2012

      4 박경미,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1-57, 2012

      5 강원택, "한국 정당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당 조직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119-141, 2009

      6 김용호, "최근 한국 정당의 개혁조치에 대한 평가" 한국정당학회 7 (7): 195-210, 2008

      7 윤종빈, "지구당 폐지와 한국정당의 민주성" 한국정당학회 10 (10): 67-92, 2011

      8 임성호, "원내정당화와 정치개혁 : 의회민주주의 적실성의 회복을 위한 소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9 (9): 133-166, 2003

      9 Biezen, "Political Parties in New Democracies: Party Organization in Southern and East-Central Europe" Palgrave and Macmillan 2003

      10 장훈, "20년의 실험: 한국 정치개혁의 이론과 역사" 나남 2010

      1 김용호, "한국정당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성찰" 한국정당학회 7 (7): 65-82, 2008

      2 윤종빈, "한국 정당정치의 현실과 정당개혁의 과제" 국립외교원 2012

      3 장훈, "한국 정당정치 연구방법론" 나남 2012

      4 박경미,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1 (11): 31-57, 2012

      5 강원택, "한국 정당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당 조직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119-141, 2009

      6 김용호, "최근 한국 정당의 개혁조치에 대한 평가" 한국정당학회 7 (7): 195-210, 2008

      7 윤종빈, "지구당 폐지와 한국정당의 민주성" 한국정당학회 10 (10): 67-92, 2011

      8 임성호, "원내정당화와 정치개혁 : 의회민주주의 적실성의 회복을 위한 소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9 (9): 133-166, 2003

      9 Biezen, "Political Parties in New Democracies: Party Organization in Southern and East-Central Europe" Palgrave and Macmillan 2003

      10 장훈, "20년의 실험: 한국 정치개혁의 이론과 역사" 나남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