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졸업예정자들의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among College Senio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among college seniors based on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self-clarity, decisiveness, lack of necessity recognition, external Barrier).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successes(number of application, number of interview, number of job offer) in longitudinal method. In result, career indecision had negative effect on job search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level is, the less job search behavior is performed. Especially, career indecision is connected with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 and informal job search behavior. Another finding is that job search behavior in time 1 (first semester of college senior) had a strong effect on all of employment success variables in time 2(second semester of college senior).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among college seniors based on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self-clarity, decisiveness, lack of necessity recogni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among college seniors based on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self-clarity, decisiveness, lack of necessity recognition, external Barrier).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successes(number of application, number of interview, number of job offer) in longitudinal method. In result, career indecision had negative effect on job search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level is, the less job search behavior is performed. Especially, career indecision is connected with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 and informal job search behavior. Another finding is that job search behavior in time 1 (first semester of college senior) had a strong effect on all of employment success variables in time 2(second semester of college senior).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대학의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그리고 구직성과변인들 간의 관계를 4학년 1학기와 2학기의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4학년 1학기 때의 진로미결정의 인지적 상태와 직업탐색행동의 행동적 측면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과 6개월 뒤인 4학년 2학기 때의 구직성과변인들(서류통과, 면접통보, 최종합격)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미결정은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과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가졌으며, 또한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은 4학년 2학기 때의 구직성과변인들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직업탐색행동이 진로미결정과 구직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대학의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그리고 구직성과변인들 간의 관계를 4학년 1학기와 2학기의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대학의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그리고 구직성과변인들 간의 관계를 4학년 1학기와 2학기의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4학년 1학기 때의 진로미결정의 인지적 상태와 직업탐색행동의 행동적 측면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과 6개월 뒤인 4학년 2학기 때의 구직성과변인들(서류통과, 면접통보, 최종합격)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미결정은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과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가졌으며, 또한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은 4학년 2학기 때의 구직성과변인들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직업탐색행동이 진로미결정과 구직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 "청년층의 노동시장이행과 경력형성" 한국노동연구원 2001

      3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121-144, 2004

      4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10 : 143-166, 1998

      5 "직업결정척도 개발" 483-488, 2001

      6 "실직자의 정서적 인지적신체화 반응 및 대처활동" 115-137, 1998

      7 "성취 프로그램의 효과 구직 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2003

      8 "대학졸업자의 구직활동과 노동 시장에서의 성공" 145-162, 1997

      9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1997

      10 "노동시장 환경변화와 노동시장의 구조변동" 50 (50): 243-274, 2002

      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 "청년층의 노동시장이행과 경력형성" 한국노동연구원 2001

      3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121-144, 2004

      4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10 : 143-166, 1998

      5 "직업결정척도 개발" 483-488, 2001

      6 "실직자의 정서적 인지적신체화 반응 및 대처활동" 115-137, 1998

      7 "성취 프로그램의 효과 구직 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2003

      8 "대학졸업자의 구직활동과 노동 시장에서의 성공" 145-162, 1997

      9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1997

      10 "노동시장 환경변화와 노동시장의 구조변동" 50 (50): 243-274, 2002

      11 "국제금융위기 후 실직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 양식, 자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481-496, 2001

      12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고방식 유형과 진로미결정 유형간 관계" 3 (3): 143-163, 2000

      13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 실업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87-101, 2000

      14 "경제불황의 심리적 영향 실직이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 67-96, 1998

      15 "강박성향과 우유부단성의 관계" 2001

      16 "job-search constraints as predictors of job seeking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7-910, 1999

      17 "Vocational indecision and interest development in college freshmen" 9 : 393-396, 1968

      18 "Theories and research on job search and choice" 5 : 129-166, 1987

      19 "The study of voca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McGraw-Hill 1969

      20 "The relationship of problem-solving appraisal to career decision and indecision" 26 : 55-65, 1985

      21 "The predictive potential of the career decision scale in identifying chronic indecision" 31 : 103-108, 1983

      22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73-1182, 1986

      23 "The impact of career exploration and interview readiness on interview performance and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235, 1984

      24 "Testing a two-dimension measure of job search behavior" 59 : 288-312, 1994

      25 "Search method used by unemployed youth" 6 (6): 1-20, 1988

      26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9-394, 2000

      27 "Readiness for career choices" 63-73, 1994

      28 "Predictors and outcomes of networking intensity among unemployed job seek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91-503, 2000

      29 "Predicting Change in career indecision from a self-psychology perspective" 35 : 288-296, 1987

      30 "Long-term follow-up and benefit-cost analysis of the JOBS program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the unemploy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i (vi): 213-219, 1991

      31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4-110, 1977

      32 "Journal of Counselling and Development" 426-437, 1995

      33 "Job search and job mobility:Sex and race differences" 3 : 147-174, 1985

      34 "Is job search related to employment quality? It all depends on the fit" 87 : 646-654, 2002

      35 "Investigating multiple subtype of career indecision through cluster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9-446, 1988

      36 "Individual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 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87, 1996

      37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es following lay-off" 835-847, 1985

      38 "Implications for cognition" 224-253, 1991

      39 "Goal concepts 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9

      40 "Furthe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and voluntary individual turnover" 46 : 213-330, 1993

      41 "Formality of recruitment to 229 jobs Variations by race" 1992190-196

      42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job search behaviors on the employment status of recent university graduates" 54 : 335-349, 1999

      43 "Do people make the place? An examination of the attraction-selection-attrition hypothesis" 42 : 561-581, 1989

      44 "Counseling for indecisive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9-347, 1976

      45 "Consequences of women's formal and informal job search methods for employment in female-dominated jobs" 12 : 321-338, 1998

      46 "Change in job search behaviors and employment outcomes" 56 : 277-287, 2000

      47 "Assessing career indecision" 55 : 147-154, 1999

      48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Brooks Cole 1990

      49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739-766, 1994

      50 "An analysis of career decision ma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theory" 16 : 320-346, 1980

      51 "A validation of types of career indecision at a counseling cente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0-446, 1993

      5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71-80, 1992

      53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0-526, 1996

      54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Harvard Univ Press gra (gra): 1974

      55 "A scale of educational vocational undecidedn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33-243, 1976

      56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in coping with job lo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i (vi): 759-769, 1989

      57 "A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career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