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 송도해수욕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ngdo Beach of Busan during Japanese Occu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9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ngdo Beach of Busan(SBB)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facilities, various events and several stories, this study could fou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ongdo Beach and examined what this means to Korean modern sports histo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SB is the first beach in Korea and has the best conditions for its reputation. Songdo Beach was fully equipped so it could held various events. Also, transportations of ship, car and bus were prepared so vacationers came from not just Busan but also from all across the country such as Daegu, Gimcheon. It made Songdo Beach achieved great success every year. Literally, Songdo Beach was as good as any other places over the world today. Although BSB was made by Japanese, it was Korea’s first and best leisure facilities that many people us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ngdo Beach of Busan(SBB)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facilities, various events and several stories, this study could fou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ongdo Beach and examined what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ngdo Beach of Busan(SBB)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facilities, various events and several stories, this study could fou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ongdo Beach and examined what this means to Korean modern sports histo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SB is the first beach in Korea and has the best conditions for its reputation. Songdo Beach was fully equipped so it could held various events. Also, transportations of ship, car and bus were prepared so vacationers came from not just Busan but also from all across the country such as Daegu, Gimcheon. It made Songdo Beach achieved great success every year. Literally, Songdo Beach was as good as any other places over the world today. Although BSB was made by Japanese, it was Korea’s first and best leisure facilities that many people u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부산 송도해수욕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건설, 시설, 각종 행사, 각종 이야기들에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근대스포츠사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부산 송도해수욕장은 한국 최초의 해수욕장으로서 그 명승에 맞게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곳이었다. 그리고 해수욕장으로서각종 시설을 완비해 각종 행사를 개최했다. 또한 배, 자동차, 버스 등의 교통이 준비되어 있어 부산뿐만 아니라 대구, 김천등 전국 각지에서 피서객이 찾아와 매년 대성황을 이룬 최고의 해수욕장이었다. 말 그대로 부산 송도해수욕장은 오늘날국내는 물론 외국의 어떤 곳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해수욕장이었다. 비록 일본인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 한국 최초이면서 최고의 여가시설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부산 송도해수욕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건설, 시설, 각종 행사, 각종 이야기들에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근대스포츠사에 어떤 의미...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부산 송도해수욕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건설, 시설, 각종 행사, 각종 이야기들에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근대스포츠사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부산 송도해수욕장은 한국 최초의 해수욕장으로서 그 명승에 맞게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곳이었다. 그리고 해수욕장으로서각종 시설을 완비해 각종 행사를 개최했다. 또한 배, 자동차, 버스 등의 교통이 준비되어 있어 부산뿐만 아니라 대구, 김천등 전국 각지에서 피서객이 찾아와 매년 대성황을 이룬 최고의 해수욕장이었다. 말 그대로 부산 송도해수욕장은 오늘날국내는 물론 외국의 어떤 곳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해수욕장이었다. 비록 일본인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 한국 최초이면서 최고의 여가시설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재 부사 송도해수욕장 모습"

      2 강만길, "한국사 26 연표(2)" 한길사 1995

      3 손환, "일제하 한국근대스포츠시설에 관한 연구- 京城運動場을 중심으로 -" 한국체육학회 42 (42): 33-44, 2003

      4 손환, "일제하 인천월미도의 여가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4 (44): 3-10, 2005

      5 하정희, "일제강점기 조선의 스키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20 (20): 45-56, 2015

      6 조정규,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덕진공설운동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58) : 133-142, 2014

      7 손환, "일제강점기 원산송도원의 여가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7 (47): 1-9, 2008

      8 손환, "일제강점기 부산공설운동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54 (54): 25-36, 2015

      9 손환, "일제강점기 대구공설운동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9 (49): 13-19, 2010

      10 박상석, "일제강점기 대구공설수영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8 (18): 31-40, 2013

      1 "현재 부사 송도해수욕장 모습"

      2 강만길, "한국사 26 연표(2)" 한길사 1995

      3 손환, "일제하 한국근대스포츠시설에 관한 연구- 京城運動場을 중심으로 -" 한국체육학회 42 (42): 33-44, 2003

      4 손환, "일제하 인천월미도의 여가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4 (44): 3-10, 2005

      5 하정희, "일제강점기 조선의 스키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20 (20): 45-56, 2015

      6 조정규,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덕진공설운동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58) : 133-142, 2014

      7 손환, "일제강점기 원산송도원의 여가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7 (47): 1-9, 2008

      8 손환, "일제강점기 부산공설운동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54 (54): 25-36, 2015

      9 손환, "일제강점기 대구공설운동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9 (49): 13-19, 2010

      10 박상석, "일제강점기 대구공설수영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8 (18): 31-40, 2013

      11 손환, "일제강점기 경성운동장 수영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24 (24): 15-29, 2019

      12 유모토 고이치, "일본 근대의 풍경" 그린비 2004

      13 김승, "신편 부산대관" 도서출판 선인 2010

      14 "매일일보. 1937년 6월 14일"

      15 "매일신보. 1936년 6월 3일"

      16 "매일신보. 1929년 7월 5일"

      17 "매일신보. 1926년 1월 12일"

      18 "매일신보. 1924년 7월 12일"

      19 김승, "동양의 나폴리, 송도해수욕장의 형성과 변천과정" 국제해양문제연구소 (8) : 119-158, 2013

      20 "동아일보. 1940년 6월 9일"

      21 "동아일보. 1939년 8월 2일"

      22 "동아일보. 1939년 6월 20일"

      23 "동아일보. 1936년 1월 12일"

      24 "동아일보. 1935년 9월 4일"

      25 "동아일보. 1935년 10월 8일"

      26 "동아일보. 1928년 9월 5일"

      27 "동아일보. 1927년 6월 2일"

      28 "그림엽서(1920년대).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모습과휴게소"

      29 "그림엽서(1920년대).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다이빙대 모습"

      30 "그림엽서(1910년대). 송도해안의 모습"

      31 손환, "광복이전 한국골프코스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5 (45): 1-12, 2006

      32 조준호, "광복이전 인천공설운동장 변천과정" 한국체육사학회 15 (15): 17-38, 2010

      33 近代記釜山觀光協會, "釜山觀光案內圖"

      34 "釜山日報. 1941년 8월 20일"

      35 "釜山日報. 1941년 10월 15일"

      36 "釜山日報. 1939년 9월 7일"

      37 "釜山日報. 1936년 7월 29일"

      38 "釜山日報. 1936년 7월 22일"

      39 "釜山日報. 1936년 6월 13일"

      40 "釜山日報. 1935년 8월 5일"

      41 "釜山日報. 1935년 6월 30일"

      42 "釜山日報. 1934년 8월 5일"

      43 "釜山日報. 1934년 8월 3일"

      44 "釜山日報. 1934년 8월 22일"

      45 "釜山日報. 1933년 7월 9일"

      46 "釜山日報. 1933년 7월 24일"

      47 "釜山日報. 1933년 7월 22일"

      48 "釜山日報. 1932년 7월 23일"

      49 "釜山日報. 1932년 7월 21일"

      50 "釜山日報. 1932년 7월 20일"

      51 "釜山日報. 1932년 7월 14일"

      52 "釜山日報. 1932년 7월 10일"

      53 "釜山日報. 1931년 9월 3일"

      54 "釜山日報. 1930년 7월 5일"

      55 "釜山日報. 1930년 7월 27일"

      56 "釜山日報. 1930년 7월 25일"

      57 "釜山日報. 1930년 7월 17일"

      58 "釜山日報. 1929년 7월 21일"

      59 "釜山日報. 1929년 7월 13일"

      60 "釜山日報. 1927년 6월 21일"

      61 "釜山日報. 1927년 6월 19일"

      62 "釜山日報. 1927년 6월 16일"

      63 "釜山日報. 1926년 7월 21일"

      64 "釜山日報. 1926년 7월 15일"

      65 "釜山日報. 1926년 7월 11일"

      66 "釜山日報. 1925년 7월 4일"

      67 "釜山日報. 1925년 7월 27일"

      68 "釜山日報. 1925년 7월 26일"

      69 "釜山日報. 1925년 7월 25일"

      70 "釜山日報. 1925년 7월 18일"

      71 "釜山日報. 1925년 7월 16일"

      72 "釜山日報. 1925년 7월 11일"

      73 "釜山日報. 1925년 6월 4일"

      74 "釜山日報. 1925년 6월 23일"

      75 "釜山日報. 1925년 6월 11일"

      76 "釜山日報. 1925년 5월 25일"

      77 "釜山日報. 1915년 8월 1일"

      78 "釜山日報. 1915년 10월 16일"

      79 釜山府, "釜山府社會施設槪要"

      80 釜山府, "釜山府勢要覽"

      81 森口生, "松島海水浴場行" 釜山府 4 (4): 1929

      82 "朝鮮時報. 1923년 8월 4일"

      83 "朝鮮時報. 1922년 11월 17일"

      84 "朝鮮新聞. 1927년 7월 2일"

      85 釜山甲寅會, "日鮮交通史-附 釜山史" 1916

      86 慶尙南道, "慶尙南道社會事業施設槪要"

      87 帝國興信所釜山支所, "實業要覽" 釜山之部 1935

      88 "京城日報. 1927년 7월 20일"

      89 "京城日報. 1922년 9월 29일"

      90 "京城日報. 1922년 7월 23일"

      91 "京城日報. 1921년 8월 2일"

      92 "京城日報. 1921년 7월 24일"

      93 "京城日報. 1921년 7월 17일"

      94 "京城日報. 1921년 7월 15일"

      95 "中外日報. 1927년 7월 6일"

      96 "KNN. 2013년 5월 27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K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1-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d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8 0.73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