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문학 연구(1) : 작가 연구를 위한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설계 = Digital Humanities and Study of Korean Literature(1): Semantic Database Design for Author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1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first achievement of a series of studies that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introduces the process. This paper based o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focused on a method of reconstructing literary research, tries to break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dividing humanities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into separate ones. In the process, poet Yun Dong-ju was specifically targeted. In addition, a long-term database construction plan was established, and as the first step, ontology design and raw data input were performed. Then, the input data was implemented as a graph database (Neo4j™), reviewed, and presented. Along with this, the contents of future research were introduced.
      번역하기

      This paper is the first achievement of a series of studies that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introduces the process. This paper based o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digital environm...

      This paper is the first achievement of a series of studies that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introduces the process. This paper based o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focused on a method of reconstructing literary research, tries to break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dividing humanities research and digital technology into separate ones. In the process, poet Yun Dong-ju was specifically targeted. In addition, a long-term database construction plan was established, and as the first step, ontology design and raw data input were performed. Then, the input data was implemented as a graph database (Neo4j™), reviewed, and presented. Along with this, the contents of future research were introduc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무라 마스오,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소명출판 2017

      2 이재연,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상허학회 46 : 277-334, 2016

      3 최운호,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 디지털콘텐츠의 유사도에 따른 이본 계통 분류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01-110, 2014

      4 권기성,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심청전> 계통 분류 연구" 판소리학회 (47) : 167-205, 2019

      5 허경진,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연구일지" 보고사 2016

      6 이재연, "작가, 매체, 네트워크-1920년대 소설계의 거시적 조망을 위한 시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257-301, 2014

      7 "인문정보학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

      8 "윤동주와 그의 시대Wiki"

      9 여신, "우리는 서발턴의 목소리를 들을 준비가 되었는가?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영화 <82년생 김지영> 리뷰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58) : 77-103, 2020

      10 도윤정, "알베르 카뮈의 디지털 문학관-인포그래픽 요소를 활용한 문학작품 세계의시각화 연구" 교육과학사 2016

      1 오무라 마스오,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소명출판 2017

      2 이재연,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상허학회 46 : 277-334, 2016

      3 최운호,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 디지털콘텐츠의 유사도에 따른 이본 계통 분류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2 (12): 101-110, 2014

      4 권기성,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심청전> 계통 분류 연구" 판소리학회 (47) : 167-205, 2019

      5 허경진,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연구일지" 보고사 2016

      6 이재연, "작가, 매체, 네트워크-1920년대 소설계의 거시적 조망을 위한 시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257-301, 2014

      7 "인문정보학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

      8 "윤동주와 그의 시대Wiki"

      9 여신, "우리는 서발턴의 목소리를 들을 준비가 되었는가?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영화 <82년생 김지영> 리뷰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58) : 77-103, 2020

      10 도윤정, "알베르 카뮈의 디지털 문학관-인포그래픽 요소를 활용한 문학작품 세계의시각화 연구" 교육과학사 2016

      11 이재연, "시상(詩想)의 나무 -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와 『봄의 노래』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72) : 125-170, 2017

      12 이재연,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13 신정엽,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한 인터넷 기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 한국지도학회 17 (17): 103-120, 2017

      14 김병준, "박사학위 논문(2000∼2019)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변화와 전망" 상허학회 60 : 443-517, 2020

      15 유인혁, "문학의 디지털 지도그리기- 전자문화지도의 작성과 문학의 시각화 -" 한국문학연구소 (54) : 87-116, 2017

      16 정과리, "문명의 배꼽" 문학과지성사 1998

      17 김현, "디지털인문학입문" HUEBOOKs 2016

      18 전성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한림과학원 (23) : 141-188, 2019

      19 홍정욱, "디지털기술 전환 시대의 인문학 - 디지털인문학 선언문을 통한 고찰 -" 인문콘텐츠학회 (38) : 41-74, 2015

      20 유인태,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이다" 인문학연구원 77 (77): 365-407, 2020

      21 장문석, "디지털 인문학과 지식의 공동생산 — 위키 플랫폼과 <한국 근대 지식인 아카이브> 편찬" 인문학연구원 78 (78): 75-124, 2021

      22 김현, "디지털 인문학과 고문헌 자료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50) : 13-38, 2016

      23 이시다 히데타카,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 플랫폼과 알고리즘의 시대 읽기" 사회평론 2017

      24 강우규, "디지털 맵핑(Mapping)을 통한<구운몽> 연구 및 교육적 활용" 열상고전연구회 (69) : 217-247, 2019

      25 류인태,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26 유인태, "데이터 기반의 고전 읽기 교육 — 논어 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8 (78): 43-73, 2021

      27 Franco Moretti, "그래프, 나무, 지도" 문학동네 2020

      28 진관타오, "관념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10

      29 김지선,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소 (60) : 371-419, 2021

      30 "Google Arts & Culture 윤동주기념관"

      31 Franco Moretti, "Distant Reading" Verso 2013

      32 "A DIGITAL HUMANITIES MANIFEST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7 1.72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