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보형, "한국전통음악논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81-112, 1990
2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론" 한국학술정보 1-492, 2010
3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551, 1961
4 전상진, "한국 가 ·무·악 선구자, 한성준 선생의 예술혼, 홍주문화연구회·홍성군, 중고제(내포제)와 한성준, 소리와 가락을 찾아서, 제1회 중고제(내포제)전통문화육성사업결과보고서" 62-70, 2016
5 사재동, "판소리의 전통과 실상 · 위상" 2017
6 서대석, "판소리의 전승론적 연구(서사무가와의 대비에서)" 한국인문사회과학원 3 : 122-142, 1979
7 판소리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1-374, 2000
8 정병헌, "판소리의 발생과 전승 기반"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7 : 191-224, 1995
9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330, 1996
10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 家의 소리" 1-479, 2009
1 이보형, "한국전통음악논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81-112, 1990
2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론" 한국학술정보 1-492, 2010
3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551, 1961
4 전상진, "한국 가 ·무·악 선구자, 한성준 선생의 예술혼, 홍주문화연구회·홍성군, 중고제(내포제)와 한성준, 소리와 가락을 찾아서, 제1회 중고제(내포제)전통문화육성사업결과보고서" 62-70, 2016
5 사재동, "판소리의 전통과 실상 · 위상" 2017
6 서대석, "판소리의 전승론적 연구(서사무가와의 대비에서)" 한국인문사회과학원 3 : 122-142, 1979
7 판소리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1-374, 2000
8 정병헌, "판소리의 발생과 전승 기반"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7 : 191-224, 1995
9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330, 1996
10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 家의 소리" 1-479, 2009
11 박황, "판소리 이백년사" 사사연 1-353, 1987
12 인권환, "토끼전의 근원설화 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5 : 87-108, 1967
13 최혜진,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 유적 현황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48) : 331-363, 2018
14 김정헌, "최선달의 흔적이 결성농요로 다시 살아나- 우리지역의 숨겨진이야기/판소리를 개척한 명창 ‘최선달(崔先達)’"
15 김학주, "중국의 강창문학과 판소리"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6 : 208-210, 1966
16 정병헌, "조선창극사" 태학사 1-298, 2015
17 문성렵, "조선음악사" 민속원 1-363, 2013
18 손태도, "조선시대의 ‘광대’와 ‘판소리’에 대한 몇 가지 논의들" 판소리학회 (36) : 211-266, 2013
19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 "전주대사습사" 도서출판 탐진 1-588, 1992
20 김정헌, "삶과 상상력이 녹아있는 우리 동네" 홍성문화원 1-661, 2010
21 사재동, "백제권 충남지방의 민속과 문학" 중앙인문사 460-461, 2006
22 최혜진, "계우사/이춘풍전, 지만지고전선집" 1-136, 2009
23 배동순, "결성농요" 결성농요보존회 1-369, 2000
24 "石北集 권3, 崧文聯芳集" 탐구당 1975
25 "海州崔氏大同譜 4권(전8권)" 해주최씨대종회, 회상사 1990
26 김흥규, "19세기 전기 판소리의 연행환경과 사회적 기반" 안암어문학회 30 : 1-42, 1991
27 송지원, "18세기 음악의 ‘멋’ 추구 향방" 한국실학학회 (33) : 317-346, 2017
28 백대웅, "18세기 음악사에 나타난 음악 양식의 변화"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7 : 67-83,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