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을 활용하여 백석 시집『사슴』의 시어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사슴』시어의 총량, 품사별 비율, 출현빈도, 반복지수 등을 현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91655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1-226(2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을 활용하여 백석 시집『사슴』의 시어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사슴』시어의 총량, 품사별 비율, 출현빈도, 반복지수 등을 현대...
이 연구는『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을 활용하여 백석 시집『사슴』의 시어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사슴』시어의 총량, 품사별 비율, 출현빈도, 반복지수 등을 현대시 코퍼스와 대조하여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은 한국현대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한국현대시 코퍼스(Korean Moderen Poetry Corpus : 약칭 KoPoCo)의 시어 빈도에 관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정보를 모은 것이다.
『사슴』시어의 양상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일반명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과 반복지수가 현저히 낮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반복지수는 1.58로 매우 낮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어휘에 대한 출현빈도가 2회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고, 사슴이 그 시어 총량에 비해 매우 다채로운 언어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1회 출현빈도 어휘를 조사한 결과 어휘 종수 대비 75%, 출현빈도 대비 45%의 높은 비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슴에만 쓰인 시어, 즉 백석의 개인 시어라 할 수 있는 어휘도 적지 않은데, 그 중 대부분은 일반명사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일반명사 목록을 통해 백석이 그의 초기시에 해당되는 사슴만으로도 우리 현대시어의 확장에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사슴』의 시어를『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에서 대조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단순 오타의 문제, 의미 해석의 문제 등과 더불어 누락되어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고, 그 외에도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제어를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문제가 될 만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처 발견되지 못한 문제가 더 있을 수도 있겠으나, 현재 발견된 어휘 수로는 통계 값 전반을 무의미하게 만들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수정,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ppearance of poetic words in Deer by using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 The main content is the total amount, parts of speech rate and frequency of appearance of Deer"s p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ppearance of poetic words in Deer by using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 The main content is the total amount, parts of speech rate and frequency of appearance of Deer"s poetic words, through contrast with Korean modern poetry poetic words corpus.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 is a collection of various information, which is important for the frequency of Korean modern poetry poetic words.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poetic words in Deer is that the common noun occupies a large proportion and that the number of the words are repeated significantly lower. The number of the words are repeated is 1.58. This is evidence that Deer consists of a wide variety of poetic words. Researching poetic words appeared once,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taking a very high proportion. Poetic words used only in Deer is also very much. And most of them are occupied common noun.
Through the course of the study progress, it revealed several problems of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 The problem is just misprints and words missing ect. Although minor problems, The wrong part of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 must be correc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수, "현대조선문학전집 2" 조선일보사 1938
2 김병선, "현대시인의 문체적 지문을 찾아서" 국어국문학회 (143) : 153-188, 2006
3 김병선,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 한국문화사 2007
4 김병선, "한국 현대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그 활용방안" 한국언어문학회 (53) : 513-535, 2004
5 "표준국어대사전"
6 샤를르 뮐레, "통계언어학" 태학사 2000
7 최동호, "정지용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8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9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10 조재수, "윤동주시어사전"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1 이광수, "현대조선문학전집 2" 조선일보사 1938
2 김병선, "현대시인의 문체적 지문을 찾아서" 국어국문학회 (143) : 153-188, 2006
3 김병선,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 한국문화사 2007
4 김병선, "한국 현대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그 활용방안" 한국언어문학회 (53) : 513-535, 2004
5 "표준국어대사전"
6 샤를르 뮐레, "통계언어학" 태학사 2000
7 최동호, "정지용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8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9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10 조재수, "윤동주시어사전"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11 이숭원, "원본 백석 시집" 깊은샘 2006
12 이희자,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3 강범모, "언어, 컴퓨터, 코퍼스 언어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14 김재홍, "시어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1997
15 김병선, "소월 시어와 그 쓰임새 3(시어목록)" 한국문화사 1994
16 김병선, "소월 시어와 그 쓰임새 1, 2" 한국문화사 1994
17 박순원, "백석 시의 시어 연구 : 시어 목록의 고빈도 어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7
18 고형진, "백석 시의 물명고" 고려대학교출판부 2015
19 성백효,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990
20 고려대학교 현대시 연구회, "김수영사전" 서정시학 2012
21 서상규, "국어정보학입문" 태학사 1999
22 이상섭, "『님의 침묵』의 어휘와 그 활용구조" 탐구당 1983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1 | 1.36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