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격성을 보이는 지역아동 센터의 아동들에게 미술치료와 놀이 치료를 통합한 예술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 하여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1499
2019
Korean
학술저널
119-12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격성을 보이는 지역아동 센터의 아동들에게 미술치료와 놀이 치료를 통합한 예술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 하여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
본 연구는 공격성을 보이는 지역아동 센터의 아동들에게 미술치료와 놀이 치료를 통합한 예술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적용 하여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S 지역아동센터 담 당자와 부모님 동의를 얻어 공격행동을 보이 는 아동5명울 선정한 후 공격행동 행동관찰 척도지를 통해 공격행동정도를 확인 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공격 성척도와 인물화 검사를 사전 실시하였고, 통 합예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변화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회기별 사건기록법을 활용한 행동관찰을 통 해 질적 변화 정도를 기록하였다. 행동관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센터의 담당 사회복 지사와 연구자는 대상 아동들의 공격행동을 정의하고 관찰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 리는 공격성 척도 점수와 인물화 채점 결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고, 회기 내에 관찰한 공 격행동의 빈도를 분석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 술치료프로그램 실시 후 공격성 척도의 점수 가 35점에서 53점의 감소를 보이고 있는 것으 로 보아 공격성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물화 점수는 사전에 6.33점이었고 사후에 2.5점으로 3.83점이 감소되었으며 이는 공격 성 척도 점수가 감소된결과와 일치함을 볼 수 있다. 내용적인 면에서도 주제가 싸움, 왕따에서 놀 이하는 것으로 변화되고 인물의 크기가 커지 고 신체의 구성이 세밀해 지는 것과 음영이 밝 아지거나 소거된 것은 긍정적 변화로 보여진 다. 셋째, 회기별 행동관찰에서 빈도를 기록하 여 비교하였을 때 아동 5명이 모두 공격행동 이 소거되거나 줄어드는 것을 볼 때 유의미한 변화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