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교수효능감, 태도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36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에 있는 4년제 W대학의 ‘유아와 정보공학’ 수강생인 예비유아교사 45명과 K시의 4년제 H대학에서 아직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심지은 (2001)의 「컴퓨터에 관한 교수효능감」도구와 Landerholm(1995)의 「컴퓨터에 관한 태도 검사」, Spodek(1987)의 「컴퓨터에 관한 불안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Espinosa와 Chen(1996), Epstein (1993), Ainsa(1992), 김영실과 김나림(2003), 이현옥(2000)의 교육과정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고안한 14주간의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며, 컴퓨터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에 있는 4년...

      본 연구는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에 있는 4년제 W대학의 ‘유아와 정보공학’ 수강생인 예비유아교사 45명과 K시의 4년제 H대학에서 아직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심지은 (2001)의 「컴퓨터에 관한 교수효능감」도구와 Landerholm(1995)의 「컴퓨터에 관한 태도 검사」, Spodek(1987)의 「컴퓨터에 관한 불안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Espinosa와 Chen(1996), Epstein (1993), Ainsa(1992), 김영실과 김나림(2003), 이현옥(2000)의 교육과정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고안한 14주간의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컴퓨터 교사교육과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컴퓨터에 관한 교수효능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며, 컴퓨터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2)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computer? 3)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anxiety toward comput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sophomore at W University in I city and H University in K city. The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Espinosa & Chen(1996), Epstein(1993), Ainsa(1992), Kim & Kim(2003), Lee(2000)'s study. It was used over a 16-week period. An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instrument was used Sim(2001), Landerholm(1995) and Spodek(1987). The date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d by M, SD, two independent t-tests with spss/pc program.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mputer course increased positively teacher's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and it increased positively teacher's individual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The educational computer course increased positively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 and professional attitudes toward computer and it decrease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toward computer.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2)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computer? 3) What is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anxiety toward comput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sophomore at W University in I city and H University in K city. The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Espinosa & Chen(1996), Epstein(1993), Ainsa(1992), Kim & Kim(2003), Lee(2000)'s study. It was used over a 16-week period. An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ttitude and anxiety toward computer instrument was used Sim(2001), Landerholm(1995) and Spodek(1987). The date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d by M, SD, two independent t-tests with spss/pc program.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mputer course increased positively teacher's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and it increased positively teacher's individual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toward computer. The educational computer course increased positively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 and professional attitudes toward computer and it decrease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toward compu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