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2009-10호)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사회'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0444
2014
-
370
KCI등재
학술저널
67-87(21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2009-10호)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사회' 교...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2009-10호)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가 기술하고 있는 다문화 사회 관련 내용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는 어떠한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지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5종의 다문화 관련 단원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는 첫째, 다문화주의의 필요성을 사회인구학적 변화에 대한 국가적 대응 전략의 차원에서 서술하는 경향, 둘째, 좁은 의미의 다문화교육 정의에 기초하여 서술하는 경향, 셋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사회적ㆍ교육적 부적응 현상을 결핍지향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경향,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주의의 이념에 대한 뚜렷한 언급을 회피하면서 여전히 모호한 입장을 견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근본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을 시사하고 있다. 국가 수준에서 다문화 사회의 도래를 선언하고, 다문화 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둘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이 교과 교육과정의 총론 수준에서 중요한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반영할 수 있도록 사회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야 하고, 교과서 차원에서 사회적 소수자와 다문화가정에 대한 보다 공정한 교육과정적 조명이 요청되며, 교과서가 특정 집단에 대한 새로운 고정관념을 형성하지 않도록 서술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nifested on the five high school 'Society'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Notification # 2009-1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ell that a...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nifested on the five high school 'Society'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Notification # 2009-1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ell that analyzed 'Society' textbooks tended to interpret the cause of multiculturalism in terms of the nation's strategic choice coping with socio- demographic change and global competitiveness. The textbooks also exhibited the tendency of adopting a narrow defi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the tendency of describing socia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light of the deficiency-oriented perspective. Finally, the five textbooks took an ambiguous stance towards the meaning of multiculturalism that Korean society should adopt. These findings imply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go beyond adding the bag of fragmented knowledge to the exist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but become a curricular core and principle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at high schol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embrace a broader definition of multiculturalism and be cautious of not engendering new stereotypes and prejudices against foreig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설규주, "초중고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사회.문화'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28, 2012
2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3 차경수, "사회과교육의 도전과 전망" 동문사 2012
4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2006년 4월 26일).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 지원방안""
5 구정화, "다문화교육 이해" 동문사 2009
6 최애리, "다문화 교육 관점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 : 지리 영역 중 「문화경관」 단원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이정우,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사회 관련 단원내용 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37-63, 2012
8 Kim, J. K., "The politics of culture in multicultural Korea" 37 (37): 1583-1604, 2011
9 한건수, "Multicultural Korea: Celebration or Challenge of Multiethnic Shift in Contemporary Korea?"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7 (47): 32-31, 2007
10 Sleeter, C. E.,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John Wiley & Sons 2009
1 설규주, "초중고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사회.문화'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28, 2012
2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3 차경수, "사회과교육의 도전과 전망" 동문사 2012
4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2006년 4월 26일).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 지원방안""
5 구정화, "다문화교육 이해" 동문사 2009
6 최애리, "다문화 교육 관점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 : 지리 영역 중 「문화경관」 단원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이정우,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사회 관련 단원내용 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37-63, 2012
8 Kim, J. K., "The politics of culture in multicultural Korea" 37 (37): 1583-1604, 2011
9 한건수, "Multicultural Korea: Celebration or Challenge of Multiethnic Shift in Contemporary Korea?"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7 (47): 32-31, 2007
10 Sleeter, C. E.,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John Wiley & Sons 2009
11 Rennie Moon, "Globalis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diversity in South Korean civics textbooks" Informa UK Limited 49 (49): 424-439, 2013
12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 인식 및 전략 분석
과학탐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들의 탐구계획서에 나타난 탐구문제 유형과 가설검증 방법 분석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체육 검정교과서 비만 관련 내용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2-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DUCATIONAL RESEARCH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5 | 0.972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