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성악전공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a/ 연장발성 시 음성특성 비교 = Voic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Singing Students and Ordinary College Students on / a/ Prolon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2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5명의 성악전공 대학생(남자 27명, 여자 38명)과 80명의 일반 대학생(남자 3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Dr.
      speech(version 4.0)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에 음향학적 측정치(Jitter, Shimmer, HNR, NNE)와 EGG 측정치(EGG Jitter, EGG Shimmer , EGG HNR, EEG NNE)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악전공 대학생들의 음향학적 측정치에서 Jitter치는 0.18 %, Shimmer치는 0.28 ± 0.66 %,
      HNR치는 27.05 ± 2.70 dB, NNE치는 - 15.51 ± 3.18 dB로 나타났고, EGG 측정에서는 EGG Jitter치는 0.19 %, EGG Shimmer치는 1.23 ± 0.78 %, EGG HNR치는 27.04 ± 2.68 dB, EGG NNE치는 - 24.17 ± 2.63 dB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대학생들의 음향학적 측정치에서 Jitter치는 0.31 ± 0.11%, Shimmer치는 2.09 ± 0.74 %, HNR치는 28.81 ± 2.67 dB, NNE치는 - 11.73 ± 3.94 dB로 나타났고 EGG 측정에서는 EGG Jitter치는 0.37 ± 0.18 %, EGG Shimmer치는 1.32± 1.0 %, EGG HNR치는 32.87 ± 4.56 dB, EGG NNE치는 - 30.28 ± 4.62 dB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에 Jitter , Shimmer , HNR, NNE, EGG Jitter , EGG HNR, EGG NNE 등에서 유의한 차이(p < .001)가 나타난 반면에, EGG Shimmer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전문적으로 발성(가창) 훈련을 받아 온 성악 전공학생
      들의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음질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을 나타내며, 더 나아가 직업적 음성 사용자 중 성악을 전공하는 사람들의 음성에 대한 규준치 확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65명의 성악전공 대학생(남자 27명, 여자 38명)과 80명의 일반 대학생(남자 3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Dr. speech(version 4.0)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에 음향학적 측정치(Jitter, Shimmer, HNR, ...

      본 연구는 65명의 성악전공 대학생(남자 27명, 여자 38명)과 80명의 일반 대학생(남자 3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Dr.
      speech(version 4.0)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에 음향학적 측정치(Jitter, Shimmer, HNR, NNE)와 EGG 측정치(EGG Jitter, EGG Shimmer , EGG HNR, EEG NNE)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악전공 대학생들의 음향학적 측정치에서 Jitter치는 0.18 %, Shimmer치는 0.28 ± 0.66 %,
      HNR치는 27.05 ± 2.70 dB, NNE치는 - 15.51 ± 3.18 dB로 나타났고, EGG 측정에서는 EGG Jitter치는 0.19 %, EGG Shimmer치는 1.23 ± 0.78 %, EGG HNR치는 27.04 ± 2.68 dB, EGG NNE치는 - 24.17 ± 2.63 dB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대학생들의 음향학적 측정치에서 Jitter치는 0.31 ± 0.11%, Shimmer치는 2.09 ± 0.74 %, HNR치는 28.81 ± 2.67 dB, NNE치는 - 11.73 ± 3.94 dB로 나타났고 EGG 측정에서는 EGG Jitter치는 0.37 ± 0.18 %, EGG Shimmer치는 1.32± 1.0 %, EGG HNR치는 32.87 ± 4.56 dB, EGG NNE치는 - 30.28 ± 4.62 dB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에 Jitter , Shimmer , HNR, NNE, EGG Jitter , EGG HNR, EGG NNE 등에서 유의한 차이(p < .001)가 나타난 반면에, EGG Shimmer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전문적으로 발성(가창) 훈련을 받아 온 성악 전공학생
      들의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음질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을 나타내며, 더 나아가 직업적 음성 사용자 중 성악을 전공하는 사람들의 음성에 대한 규준치 확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obtain acoustic measurement s (Jitter , Shimmer, HNR, and NNE) and EGG measurement s (EGG Jitter , EGG Shimmer , EGG HNR, and EGG NNE) of 65 classical singing student s (27 males and 38 females ) and 80 ordinary college student s (30 males and 50 females ) and (2) to compare acou stic and EGG parameter s between the two groups. Dr . Speech was need to obtain acou stic measurement s and EGG measurement s, simultaneously . T he subject s sustained / a/ and acou stic and EGG measurement s were taken. T he result s were as follows : fir stly, the mean value of Jitter of clas sical singing student s was 0.18 %, that of Shimmer 1.28 ± 0.66 %, that of HNR 27.05 ± 2.70 dB, and that of NNE - 15.51 ± 3.18 dB. Secondly , the mean value of EGG Jitter of clas sical singing student s was 0.19 %, that of EGG Shimmer 1.23 ± 0.78 %, that of EGG
      HNR 27.04 ± 2.68 dB, and that of EGG NNE - 24.17 ± 2.63 dB. T hirdly , the mean value of Jitter of ordinary college student s was 0.31 ± 0.11 %, that of Shimmer 2.09 ± 0.74 %, that of HNR 28.81 ± 2.67 dB, and that of NNE - 11.73 ± 3.94 dB. Fourthly , the mean value of EGG Jitter of ordinary college student s was 0.37 ± 0.18 %, that of EGG Shimmer 1.32 ± 1.0 %, that of EGG HNR 32.87 ± 4.56 dB, and that of EGG NNE - 30.28 ± 4.62 dB. Finally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Jitter , Shimmer , HNR, NNE, EGG Jitter , EGG HNR, EGG NNE (p < .00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GG Shimmer.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obtain acoustic measurement s (Jitter , Shimmer, HNR, and NNE) and EGG measurement s (EGG Jitter , EGG Shimmer , EGG HNR, and EGG NNE) of 65 classical singing student s (27 males and 38 females ) and 80 ordinary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obtain acoustic measurement s (Jitter , Shimmer, HNR, and NNE) and EGG measurement s (EGG Jitter , EGG Shimmer , EGG HNR, and EGG NNE) of 65 classical singing student s (27 males and 38 females ) and 80 ordinary college student s (30 males and 50 females ) and (2) to compare acou stic and EGG parameter s between the two groups. Dr . Speech was need to obtain acou stic measurement s and EGG measurement s, simultaneously . T he subject s sustained / a/ and acou stic and EGG measurement s were taken. T he result s were as follows : fir stly, the mean value of Jitter of clas sical singing student s was 0.18 %, that of Shimmer 1.28 ± 0.66 %, that of HNR 27.05 ± 2.70 dB, and that of NNE - 15.51 ± 3.18 dB. Secondly , the mean value of EGG Jitter of clas sical singing student s was 0.19 %, that of EGG Shimmer 1.23 ± 0.78 %, that of EGG
      HNR 27.04 ± 2.68 dB, and that of EGG NNE - 24.17 ± 2.63 dB. T hirdly , the mean value of Jitter of ordinary college student s was 0.31 ± 0.11 %, that of Shimmer 2.09 ± 0.74 %, that of HNR 28.81 ± 2.67 dB, and that of NNE - 11.73 ± 3.94 dB. Fourthly , the mean value of EGG Jitter of ordinary college student s was 0.37 ± 0.18 %, that of EGG Shimmer 1.32 ± 1.0 %, that of EGG HNR 32.87 ± 4.56 dB, and that of EGG NNE - 30.28 ± 4.62 dB. Finally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Jitter , Shimmer , HNR, NNE, EGG Jitter , EGG HNR, EGG NNE (p < .00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GG Shimm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