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 사회통합을 위한 통합체육 교육과정 개발 = A Curriculum Development 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Integrated Future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3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정치적·사회적 주요사안은 사회대통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요구에 따라 성, 장애, 체형, 문화 영역에서 비롯되는 갈등요소들을 학교체육교육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사회통합 실현 가능성 제고에 그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체육 교육과정을 활용한 사회통합이라는 거시적 과제 해결을 위해 구조기능주의 관점으로 스포츠 및 체육교육이 생산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래사회통합에 기여하는 바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첫째, 미래지향적 사회통합에 적합한 통합체육 교육과정의 세부 영역별 성취목표 설정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둘째, 영역별 성취목표 달성을 위해 세부적 내용 체계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 구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개발 된 통합체육 교육과정이 미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 어야 할 실질적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현재 우리나라 정치적·사회적 주요사안은 사회대통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요구에 따라 성, 장애, 체형, 문화 영역에서 비롯되는 갈등요소들을 학교체육교육을 통해 해소할 수 있�...

      현재 우리나라 정치적·사회적 주요사안은 사회대통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요구에 따라 성, 장애, 체형, 문화 영역에서 비롯되는 갈등요소들을 학교체육교육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사회통합 실현 가능성 제고에 그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체육 교육과정을 활용한 사회통합이라는 거시적 과제 해결을 위해 구조기능주의 관점으로 스포츠 및 체육교육이 생산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미래사회통합에 기여하는 바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첫째, 미래지향적 사회통합에 적합한 통합체육 교육과정의 세부 영역별 성취목표 설정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둘째, 영역별 성취목표 달성을 위해 세부적 내용 체계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 구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개발 된 통합체육 교육과정이 미래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 어야 할 실질적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significant political plans in order to draw social and educational outcom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is developed based on content system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we suggest theoretical foundations that play a decisive role in constructing significant ideas on each factor(gender, body shape, impairment, and cultur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Second, we suggest the composition plans and the framework of instructive module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developments outcomes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proposing political pla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practically utilize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pose significant political plans in order to draw social and educational outcom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is developed based on content system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

      This study aims to propose significant political plans in order to draw social and educational outcom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is developed based on content system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we suggest theoretical foundations that play a decisive role in constructing significant ideas on each factor(gender, body shape, impairment, and culture)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Second, we suggest the composition plans and the framework of instructive module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developments outcomes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proposing political pla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practically utilize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스포츠 및 체육분야에서의 사회통합의 이론적 고찰
      • Ⅲ. 사회통합기반 통합체육 교육과정 영역 설계
      • Ⅲ. 미래사회통합형 통합체육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 및 구조화
      • Ⅳ.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 론
      • Ⅱ. 스포츠 및 체육분야에서의 사회통합의 이론적 고찰
      • Ⅲ. 사회통합기반 통합체육 교육과정 영역 설계
      • Ⅲ. 미래사회통합형 통합체육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 및 구조화
      • Ⅳ. 결론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정애,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91-514, 2015

      2 유정애, "통합체육교육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개발" 한국체육과학회 25 (25): 869-882, 2016

      3 오원석, "통합체육교사의 통합체육 태도와 수업 실행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5-57, 2015

      4 조한무,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 성 고정관념의 전이 및 재생산, 그리고 교사의 딜레마"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14, 2012

      5 고문수, "체육현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사회 체육의 역할"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9-57, 2012

      6 오수학, "체육수업에서 학생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이창섭, "청소년이 인식하는 비만의 사회적 표상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53 (53): 53-64, 2014

      8 이규일, "중학생 신체적 라이프스타일의 실태파악과 젠더 차이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53-70, 2015

      9 오광진, "정상화 원리에 기반한 일반학교 통합체육문화의 문제점과 장애학생의 실존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63-80, 2010

      10 황미라, "장애인 스포츠 활동을 통한 일반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1 (11): 26-43, 2007

      1 유정애,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91-514, 2015

      2 유정애, "통합체육교육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개발" 한국체육과학회 25 (25): 869-882, 2016

      3 오원석, "통합체육교사의 통합체육 태도와 수업 실행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5-57, 2015

      4 조한무,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 성 고정관념의 전이 및 재생산, 그리고 교사의 딜레마"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14, 2012

      5 고문수, "체육현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사회 체육의 역할"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9-57, 2012

      6 오수학, "체육수업에서 학생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이창섭, "청소년이 인식하는 비만의 사회적 표상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53 (53): 53-64, 2014

      8 이규일, "중학생 신체적 라이프스타일의 실태파악과 젠더 차이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53-70, 2015

      9 오광진, "정상화 원리에 기반한 일반학교 통합체육문화의 문제점과 장애학생의 실존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63-80, 2010

      10 황미라, "장애인 스포츠 활동을 통한 일반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1 (11): 26-43, 2007

      11 남상우, "운동장에서의 젠더 중심화와 주변화: 중학생들의 체화된 젠더 질서 사고방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9 (29): 133-151, 2016

      12 이창섭, "스포츠사회학" 궁미디어 2013

      13 한태룡, "스포츠사회학" 레인보우북스 2010

      14 정성민, "소아, 청소년 비만의 위험성과 비만클리닉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 : 31-37, 2014

      15 고병구, "비만 예방을 위한 중학생 유산소능력 기준치 설정"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69-82, 2015

      16 이기용, "문재인 정부, 사회통합을 위한 첫 과제는 빈부격차 해소"

      17 유정애, "대안적 통합체육을 위한 교육모델 개발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73-990, 2016

      18 김영갑,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체육의 역할과 정책방향 제고" 한국체육철학회 22 (22): 19-30, 2014

      19 김도연,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과 소통을 위한스포츠교육의 역할과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93-109, 2013

      20 권민혁, "다문화 사회에서의 초등체육교육의 방향 및 과제" 한국초등체육학회 14 (14): 165-174, 2009

      21 유정애, "교육복지 관점에서의 ‘통합체육교육’ 실현을 위한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09-1123, 2015

      22 Walker, R., "To be real: Telling the truth and changing the face of feminism" Anchor 1995

      23 Parsons, T.,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Free Press 1967

      24 Coakley, J., "Sports in Society: Issues and Controversies" McGraw-Hill, Education 2008

      25 Stevenson, C., "Sport: Approaches to the study of sport" Routledge 1972

      26 Ritzer, G.,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Inc 1992

      27 Merton, R. K.,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Free Press 1968

      28 Thorpe, H., "Snowboarding bodies in theory and practice" Palgrave Macmillan 2011

      29 Bickenbach, J., "Models of disablement, universalism a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48 : 1173-1187, 1999

      30 Baumgardner, J., "Manifesta: Young women, weminism and the future" Farra, Straus and Giroux 2000

      31 Heywood, L., "Introduction. Third-wave agend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32 최윤소, "Disciplinary Strategies of the Korean Female body in a Consumer Capitalistic Society" 한국여성체육학회 31 (31): 103-120, 2017

      33 Baumgardner, J., "All about the girl: Culture, power and identity" Routledge 59-6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