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재인정부 초·중등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72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5 year tasks and issues of K-12 education finance for Moon Jae-in Government which was established via by-election without the transition committee.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s, as
      an analysis method, various literature such as symposium and conference proceedings an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since local educational autonomous system (1991) era have examined to explore several problems and solutions. Specifically, 71st conference topics and papers of the Korean society fro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policy research papers of the KEDI, journal articles from Riss4U database, 5 year plan of Moon Jae-in Government released on July 19th in 2017 have utilized for selecting improvement plans in each field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with a macroscopic viewpoin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Moon jae-in Government has set up three reform principles for K-12 education finance as follows: (1) Enlargement of nation responsibility by investment expansion of K-12 education, (2) Investment priority to elementary school’s caring system establishment for reduction of childcare burden, (3) financial expense reform and revenue expansion for securing K-12 education finance. Based on the reform directions of K-12 education finance, this study discussed the specific and prior reform tasks and solutions in each area of K-12 education finance security-distribution-expense-feedback. Final suggestions were provided in three aspects : (1) Strong reform drive in K-12 education finance should be demonstrated in the beginning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2) Not only financial expense efficiency but also additional revenue expansion is very crucial for succeeding in K-12 education finance reform, (3) Reasonable finance prediction should be scrutinized in each improvement pl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5 year tasks and issues of K-12 education finance for Moon Jae-in Government which was established via by-election without the transition committee.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s, as an analysis method, v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5 year tasks and issues of K-12 education finance for Moon Jae-in Government which was established via by-election without the transition committee.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s, as
      an analysis method, various literature such as symposium and conference proceedings an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since local educational autonomous system (1991) era have examined to explore several problems and solutions. Specifically, 71st conference topics and papers of the Korean society fro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policy research papers of the KEDI, journal articles from Riss4U database, 5 year plan of Moon Jae-in Government released on July 19th in 2017 have utilized for selecting improvement plans in each field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with a macroscopic viewpoin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Moon jae-in Government has set up three reform principles for K-12 education finance as follows: (1) Enlargement of nation responsibility by investment expansion of K-12 education, (2) Investment priority to elementary school’s caring system establishment for reduction of childcare burden, (3) financial expense reform and revenue expansion for securing K-12 education finance. Based on the reform directions of K-12 education finance, this study discussed the specific and prior reform tasks and solutions in each area of K-12 education finance security-distribution-expense-feedback. Final suggestions were provided in three aspects : (1) Strong reform drive in K-12 education finance should be demonstrated in the beginning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2) Not only financial expense efficiency but also additional revenue expansion is very crucial for succeeding in K-12 education finance reform, (3) Reasonable finance prediction should be scrutinized in each improvement pl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은배, "한국 교육재정 구조개편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2 반상진,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교육재정 압박, 정책적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22 (22): 109-133, 2015

      3 송기창, "참여정부의 교육행·재정 개혁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59-389, 2003

      4 이광현, "지방재정과 지방교육재정의 통합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66-192, 2016

      5 남수경, "지방교육채 제도의 운용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89-212, 2006

      6 송기창, "지방교육채 발행 및 상환제도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27-47, 2011

      7 공은배, "지방교육재정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8 임성일, "지방교육재정의 책임성 강화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적 재정관계 구축" 한국교육개발원 2016

      9 최영출, "지방교육재정의 주요쟁점과 향후 방안" 338-377, 2014

      10 송기창, "지방교육재정의 위기: 실상과 대책" 5-22, 2014

      1 공은배, "한국 교육재정 구조개편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2 반상진,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교육재정 압박, 정책적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22 (22): 109-133, 2015

      3 송기창, "참여정부의 교육행·재정 개혁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59-389, 2003

      4 이광현, "지방재정과 지방교육재정의 통합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66-192, 2016

      5 남수경, "지방교육채 제도의 운용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89-212, 2006

      6 송기창, "지방교육채 발행 및 상환제도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27-47, 2011

      7 공은배, "지방교육재정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8 임성일, "지방교육재정의 책임성 강화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적 재정관계 구축" 한국교육개발원 2016

      9 최영출, "지방교육재정의 주요쟁점과 향후 방안" 338-377, 2014

      10 송기창, "지방교육재정의 위기: 실상과 대책" 5-22, 2014

      11 한국교육개발원, "지방교육재정분석 종합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6

      12 하봉운, "지방교육재정과 지방재정의 관계 재정립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13 공은배, "지방교육재정 확충을 위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14 한재명, "지방교육재정 운용 분석-학생수 감소를 중심으로-"

      15 김민희, "지방교육재정 분석과 운용 성과평가 지표 연계성 강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16 엄문영, "지방교육재정 분석 및 진단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97-127, 2015

      17 오범호, "지방교육재정 배분 제도의 실태 및 개선 방안" 31-54, 2016

      18 김혜자, "지방교육재정 관련 법령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9 양승실, "지방교육 행·재정체제 선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0 윤홍주, "전라남도교육청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모형"

      21 NABO, "재정동향 & 이슈, 창간호"

      22 송기창, "이명박정부 초, 중등교육재정정책의 성과와 과제" 47-90, 2013

      23 송기창, "시・도교육비특별회계 이월・불용액 발생실태와 개선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115-138, 2015

      24 송기창, "박근혜정부 고등교육재정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55-279, 2013

      25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26 김지하, "교육환경변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제도 재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27 전북도민일보, "교육부-전북교육청 갈등에 인센티브 날아갈 처지"

      28 "교육부 보도자료. 교육자치와 학교자율화를 위한 첫걸음 내딛다"

      29 엄문영, "교육복지투자 방향 재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39-64, 2015

      30 백성준, "교육개혁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방교육 재정제도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98

      31 강영혜, "고교 무상교육 실행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32 교육부, "2016 간추린 교육통계(국문)"

      33 김지하, "2015년 유, 초, 중, 고, 특수학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2016

      34 송기창, "2012 교육재정백서" 한국교육개발원 2012

      35 송기창, "2006 교육재정백서" 교육인적자원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 1.11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