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진해, "歷史資料 형태분석 프로그램 개발의 國語學的 意義와 活用 硏究 -活字本 古小說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37-162, 2009
2 김진해, "활자본 고소설 말뭉치 구축의 국어정보학적 의의 - 형태 분석 및 통합 검색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9) : 69-107, 2008
3 강승식,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 흥릉과학출판사 2002
4 강미영, "한국어 형태·통사적 특징을 고려한 범주 기반 가변 n-gram 품사 태깅 모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5 목정수,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 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국어국문학회 (170) : 71-116, 2015
6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7 이희자, "텍스트 분석적 국어 어미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9
8 박용찬, "중세국어 연결어미와 보조사의 통합형" 태학사 2008
9 고창수, "자질연산문법이론" 월인 2002
10 노강호, "음소의 분류 체계를 이용한 한글 편집 거리 알고리즘" 한국정보과학회 37 (37): 323-329, 2010
1 김진해, "歷史資料 형태분석 프로그램 개발의 國語學的 意義와 活用 硏究 -活字本 古小說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37-162, 2009
2 김진해, "활자본 고소설 말뭉치 구축의 국어정보학적 의의 - 형태 분석 및 통합 검색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9) : 69-107, 2008
3 강승식,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 흥릉과학출판사 2002
4 강미영, "한국어 형태·통사적 특징을 고려한 범주 기반 가변 n-gram 품사 태깅 모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5 목정수,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 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국어국문학회 (170) : 71-116, 2015
6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7 이희자, "텍스트 분석적 국어 어미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9
8 박용찬, "중세국어 연결어미와 보조사의 통합형" 태학사 2008
9 고창수, "자질연산문법이론" 월인 2002
10 노강호, "음소의 분류 체계를 이용한 한글 편집 거리 알고리즘" 한국정보과학회 37 (37): 323-329, 2010
11 김진규, "어절 형성 전이도와 HMM을 이용한 북한 문화어 품사 태깅 시스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2 조은경, "세종전자사전 활용을 위한 자연어 생성적 접근 - 어휘문법적 미시 구조의 격자 형식화를 통해 -" 한글학회 (311) : 197-226, 2016
13 국립국어연구원, "세종 역사자료 말뭉치 구축 지침"
14 박진영, "번안 소설어 사전" 현실문화 2008
15 李相浩, "미등록어를 고려한 한국어 품사 태깅 시스템 구현" 韓國科學技術院 1995
16 홍윤표, "근대국어의 국어사적 성격" 국어사학회 (9) : 153-172, 2009
17 홍윤표, "국어정보학" 태학사 2012
18 김승곤, "국어 조사의 어원과 변천 연구" 글모아편찬 2014
19 신중진, "개화기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태학사 2007
20 신중진, "개화기 한글자료 말뭉치의 구축 방안" 29 : 261-283, 2004
21 Koskenniemi, K., "Two-Level Model for Morphological Analysis" 83 : 683-685, 1983
22 Jurafsky, D.,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Pearson Education 2009
23 Sweetnam, M. 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early-modern dirty data : applying IBM Languageware to the 1641 depositions" 27 (27): 39-54, 2011
24 Piotrowski, 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Historical Texts" Morgan & Claypool 2012
25 Sproat, R. W., "Morphology and Computation" MIT Press 1992
26 Frank Van Eynde, "Lexicon Development for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27 Karttunen, L., "KIMMO : a general morphological processor" 22 : 163-186, 1983
28 김성규, "15세기 국어와 표준어의 음운론적 유사도 측정 시론" 국어학회 (75) : 3-3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