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에서 종양표지물질 SCCA, CEA, CA-125의 효용성 = The Efficacy of Tumor Markers SCCA, CEA and CA-125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59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들은 1992년 3월 1일부터 1993년 7월말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병리조직검사결과 자궁경부상피내암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197명을 대상군...

      저자들은 1992년 3월 1일부터 1993년 7월말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병리조직검사결과 자궁경부상피내암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197명을 대상군으로 양성 부인과질환 환자 6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SCC항원, CEA, CA-125 등 3가지 종양표지물의 치료전 진단적 의의와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병기결정은 FIGO(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기별분류체계를 따랐다. 197명의 치료전 환자에서 병기별 분포는 0기 40명, I기 65명, II기 71명, III기 9명, IV기 3명 그리고 재발이 확인된 환자 9명이었다. 이들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암 177명, 선암 13명과 선편평상피암 7명이었다. 197명의 대상환자중 140명에서 치료전 3가지 종양표지물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SCC항원은 2.5 ng/ml이하, CEA는 4.0 ng/ml이하, CA-125는 35.0 U/ml이하를 정상치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군의 혈중 SCCA의 평균치는 6.72 ng/ml로 대조군의 혈중 SCC항원의 평균치인 0.98 ng/ml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혈중 CEA의 평균치는 대상군에서 6.59 ng/ml이고 대조군에서는 1.29 ng/ml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lt;0.01). 혈중 CA-125의 평균치는 대상군에서는 31.87 U/ml이고 대조군에서는 31.34 U/ml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전체 대상환자 197명중 SCC항원을 측정한 181명중 66명에서 2.5 ng/ml이상을 보여 36.5%의 양성율을 보였으며 이를 병기별로 보면 0기에서 7.7%, I기에서 20.7%, II기에서 56.1%, III기에서 100%, IV기에서 100%이었고 재발한 환자에서는 50%이었다. 평균치는 0기에서 1.49 ng/ml, I기에서 3.44 ng/ml, II기에서 7.14 ng/ml, III기에서 24.48 ng/ml, IV기에서 11.43 ng/ml으로서 I기에서 III기까지는 병기별 진행에 따라 양성율과 평균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p$lt;0.05).
      3. CEA를 측정한 170명중 46명에서 4.0 ng/ml이상을 보여 27.1%의 양성율을 보였고 이를 병기별로 보면 0기에서 11.4%, I기에서 10.0%, II기에서 50.0%, III기에선 33.3%, IV기에서 66.7%, 재발한 환자에서는 40.0%이었다. 평균치는 0기에서 4.301 ng/ml, I기에서 5.47 ng/ml, II기에서 8.24 ng/ml, III기에서 8.23 ng/ml, IV기에서 6.05 ng/ml, 재발한 환자에서는 14.41 ng/ml이었다.
      4. CA-125를 측정한 160명중 31명에서 35.0 U/ml이상을 보여 19.4%의 양성율을 보였으며, 이를 병기별로 보면 0기에서 3.1%, I기에서 16.9%, II기에서 19.3%, III기에서 33.3%, IV기에서 100%로서 병기별 진행에 따라 양성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p$lt;0.01), 재발한 환자에서는 71.4%이었다. 평균치는 0기에서 16.27 U/ml, I기에서 25.57 U/ml, II기에서 30.24 U/ml, III기에서 34.70 U/ml, IV기에서 260.95 U/ml이었으며 재발한 환자에서 14.41 U/ml이었다.
      5. 침윤전암군과 침윤암군사이에 SCC항원은 각각 7.7%와 44.4%의 양성율을 나타냈고, 평균치는 1.49 ng/ml와 8.24 ng/ml을 보여 두군사이의 SCC항원의 양성율과 평균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lt;0.05). CEA는 두군사이에 양성율이 11.4%와 31.1%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lt;0.05) 평균치는 4.30 ng/ml와 7.19 ng/ml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고, CA-125의 경우 두 군사이의 양성율은 각각 01.%와 23.4%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lt;0.05) 평균치는 16.27 U/ml, 35.77 U/ml로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침윤전암과 침윤암의 두 군사이에 SCC항원, CEA, CA-125 등 3가지 종양표지물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지, 음성예측치 그리고 진단적 유효도는 SCC항원의 경우 각각 36.5%, 96.4%, 98.5%, 81.0%, 44.5%이고, CEA는 각각 27.1%, 97.7%, 97.9%, 74.3%, 41.6%였고, CA-125는 각각 19.4%, 82.6%, 79.5%, 77.2%, 33.%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혈중 SCC항원과 CEA, CA-125의 측정은 초기 자궁경부암에서의 낮은 양성율 때문에 진단수단으로서의 효용성은 낮으나 예후판정, 치료효과 판정 및 재발암의 조기에측 등에 많은 도움이 되며 SCC항원 단독측정보다는 CEA, CA-125를 동시에 측정할 경우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diagnostic significance of tumor markers SCCA, CEA and CA-125 in patient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we studied 197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in situ and cervical cancer from March 1992 to July 1993. Three tumo...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diagnostic significance of tumor markers SCCA, CEA and CA-125 in patient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we studied 197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in situ and cervical cancer from March 1992 to July 1993.
      Three tumor markers were measured coincidently in 140 cases preoperatively.
      Serum SCCA level of 2.5 ng/ml, CEA level of 4.0 ng/ml and CA-125 level of 35.0 U/ml were determined as cut-off lev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 of CEA of control group was 1.29+-1.15 ng/ml and that of study group was 6.59 +- 12.64 ng/ml (p$lt;0.01).
      2. In 181 of 197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e pretreatment positive rate of SCCA was 36.5%(66/181). The mean values and positive rates of SCCA by stae were 1.49 +-3.51ng/ml (7.7%) for stage 0, 3.44 +-9.14ng/ml (20.7%) for stage I, 7.14 +-11.12ng/ml (56.1%) for stage II, 24.48 +-39.13ng/ml (100%) for stage III, 11.43+-2.36 ng/ml (100%) for stage IV, 35.04+-61.01 ng/ml (50%) for recurrent cancer. The mean SCCA value and positive rat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tepwise by clinical stage from stage I to stage III(p$lt;0.05).
      3. In 170 of 197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e pretreatment positive rate of CEA was 27.1% (46/170).
      4. In 160 of 197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e pretreatment positive rate of CA-125 was 19.4% (31/160).
      5. In preinvasive and invasive groups, the mean value and positive rate of SCCA were 1.49+-3.51 ng/ml (7.7%), 8.24+-20.44 (44.4%), respectively,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p$lt;0.05). The positive rate of CEA was 11.4%, 31.1%, respectivel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lt;0.05). The positive rate of CA-125 was 0.1%, 23.4%, respectivel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lt;0.05).
      6. Between preinvasive and invasive groups, the result of preoperative serum levels of SCCA can be characterized by 36.5% sensitivity, 96.4% specificity, 98.5% positive predictive value, 81.0% negative predictive value, 44.5% diagnostic efficiency, with 27.1%, 97.7%, 97.9%, 74.3%, 41.6% respectively for CEA, and 19.4%, 82.6%, 79.5%, 77.2%, 33.5% respectively for CA-125. Among the three tumor markers, the result of SCCA was more valuable than other tumor markers in sensitiv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effici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asurement of SCCA and/or CEA, and/or CA-125, have little efficacy in the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considering its low rate of positivity in early cervical cancer. However, in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concomitent measurements of SCCA, CEA and CA-125 may be more useful in determining prognosis, therapeutic response and early detection of resurrence than measurement of SCCA alon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