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박정희 이후 새마을운동의 정치적 재구성과 사회적 재생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그 이후의 새마을운동은 이름은 같지만 같은 운동이라고 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기억하지만 그 이후 새마을운동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박정희 정권 이후 새마을운동은 정치적·사회적 격변과 부침(浮沈)을 겪었고, 대중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져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운동은 여전히 현실 운동으로 존재하고 전국적인 거대 조직으로 성장했다. 이 글은 박정희 이후 새마을운동을 후기 새마을운동으로 구분하고, 운동의 변화와 재생산 과정을 살펴봤다. 이를 위해 첫째, 박정희 정권 이후 각 정권과 새마을운동의 관계를 운동에 대한 호명(呼名)과 동원이라는 기준으로 분류했다. 둘째,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재생산을 지역말단 단위의 새마을 조직과 지역정치의 특성을 통해 설명했다. 새마을운동의 현재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획하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정치적 상황에 수동적으로 끌려온 결과도, 탈정치적 순수 민간운동의 결과도 아니다. 새마을운동의 현재는 새마을 조직의 형성, 정치적 여건의 변화에 대한 새마을 조직의 대응, 중앙 조직과 구분되는 회원 조직의 일상적 활동과 운동의 재생산, 지역·지방정치와 운동의 접합 등, 위와 아래에서의 운동의 변화와 재생산을 포괄하는 복합적 과정의 산물이다.
      번역하기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그 이후의 새마을운동은 이름은 같지만 같은 운동이라고 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기억하지만 그 이후 새마을운동에 대해서는 큰 관심...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그 이후의 새마을운동은 이름은 같지만 같은 운동이라고 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기억하지만 그 이후 새마을운동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박정희 정권 이후 새마을운동은 정치적·사회적 격변과 부침(浮沈)을 겪었고, 대중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져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운동은 여전히 현실 운동으로 존재하고 전국적인 거대 조직으로 성장했다. 이 글은 박정희 이후 새마을운동을 후기 새마을운동으로 구분하고, 운동의 변화와 재생산 과정을 살펴봤다. 이를 위해 첫째, 박정희 정권 이후 각 정권과 새마을운동의 관계를 운동에 대한 호명(呼名)과 동원이라는 기준으로 분류했다. 둘째,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재생산을 지역말단 단위의 새마을 조직과 지역정치의 특성을 통해 설명했다. 새마을운동의 현재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획하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정치적 상황에 수동적으로 끌려온 결과도, 탈정치적 순수 민간운동의 결과도 아니다. 새마을운동의 현재는 새마을 조직의 형성, 정치적 여건의 변화에 대한 새마을 조직의 대응, 중앙 조직과 구분되는 회원 조직의 일상적 활동과 운동의 재생산, 지역·지방정치와 운동의 접합 등, 위와 아래에서의 운동의 변화와 재생산을 포괄하는 복합적 과정의 산물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aemaeul Movement of the 1970s and that of since then have the same name, but are different character. Most people remember the Movement of the 1970s, but do not have much interest in that of since then.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have experienced the indif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radical changes in its character, and up and downs in its political and social status, However, the Saemaeul Movement has grown into a big national organization and is a current social movement as before.
      This article studies the process of its change and reproduction and classifies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as a ‘Post Movement’ different form that of the 1970s. For this study, the article class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nd each government after park Chung-he with the criteria of the government’s recalling and mobilization of the Movement. And the article explains the social reproduction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ts local organizations and the local politics of Korea.
      The current Movement is not produced by a consistent systemic planning. Also, the Movement is not a result that has been passively dragg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or that has been nonpolitical pure civil movement. The Movement is produced by the complex processes including the changes and reproduction by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local movements and politics, the reproduction of the daily activities and movements in the provinces different from the central organization, correspondence by the organization of movement against the political changes,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in the movement.
      번역하기

      The Saemaeul Movement of the 1970s and that of since then have the same name, but are different character. Most people remember the Movement of the 1970s, but do not have much interest in that of since then.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have exper...

      The Saemaeul Movement of the 1970s and that of since then have the same name, but are different character. Most people remember the Movement of the 1970s, but do not have much interest in that of since then.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have experienced the indif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radical changes in its character, and up and downs in its political and social status, However, the Saemaeul Movement has grown into a big national organization and is a current social movement as before.
      This article studies the process of its change and reproduction and classifies the Movement after Park Chung-he as a ‘Post Movement’ different form that of the 1970s. For this study, the article class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nd each government after park Chung-he with the criteria of the government’s recalling and mobilization of the Movement. And the article explains the social reproduction of the Move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ts local organizations and the local politics of Korea.
      The current Movement is not produced by a consistent systemic planning. Also, the Movement is not a result that has been passively dragg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or that has been nonpolitical pure civil movement. The Movement is produced by the complex processes including the changes and reproduction by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local movements and politics, the reproduction of the daily activities and movements in the provinces different from the central organization, correspondence by the organization of movement against the political changes,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in the m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연구 접근 방향과 내용
      • 3. 새마을운동의 호명(呼名)과 정치적 재구성
      • 4.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재생산과 아래에서의 정치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연구 접근 방향과 내용
      • 3. 새마을운동의 호명(呼名)과 정치적 재구성
      • 4. 새마을운동의 사회적 재생산과 아래에서의 정치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일요시사, "행자부-새마을운동 커넥션 의혹"

      2 정갑진, "한국의 새마을운동" 케이빌더 2008

      3 박진환, "한국경제의 근대화와 새마을운동" 2005

      4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 편 1" 인물과사상사 2009

      5 "한겨레"

      6 김○○, "충북 음성군 새마을지도자 1970년대~1980년대 초"

      7 최○○, "충남 연기군 새마을지도자 1970년대 초~1996년 중반 새마을운동 관련 활동"

      8 전◯◯, "충남 공주군 새마을지도자 1970~1980년대 중반"

      9 오마이뉴스, "지역발전 위해 새마을운동 조직 육성해야 한다고"

      10 박근영, "지역민주주의와 관변단체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5

      1 일요시사, "행자부-새마을운동 커넥션 의혹"

      2 정갑진, "한국의 새마을운동" 케이빌더 2008

      3 박진환, "한국경제의 근대화와 새마을운동" 2005

      4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 편 1" 인물과사상사 2009

      5 "한겨레"

      6 김○○, "충북 음성군 새마을지도자 1970년대~1980년대 초"

      7 최○○, "충남 연기군 새마을지도자 1970년대 초~1996년 중반 새마을운동 관련 활동"

      8 전◯◯, "충남 공주군 새마을지도자 1970~1980년대 중반"

      9 오마이뉴스, "지역발전 위해 새마을운동 조직 육성해야 한다고"

      10 박근영, "지역민주주의와 관변단체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5

      11 행정자치부, "지구촌 새마을 추진단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행정자치부훈령 제69호, 2016.4.16)"

      12 정예슬, "중앙・지방정부 민간단체 지원제도에 대한 논의 : 관변단체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6 (26): 217-249, 2012

      13 "중앙일보"

      14 "조선일보"

      15 "제143회 국회 민주발전을 위한 법률 개폐 특별위원회 회의록 제5호. 1988.8.18"

      16 "제125회 국회 내무위원회회의록 제8호. 1985.6.21"

      17 미디어오늘, "정부 새마을운동 지원예산 30배 폭증"

      18 조○○, "전북 정읍, 서울 새마을지도자 1970년대~1990년대에 걸쳐 활동"

      19 뤼시마이어, 디트리히, "자본주의 발전과 민주주의" 나남출판 1992

      20 이용기, "유신이념의 실천도장’ 1970년대 새마을운동" (48) : 67-91, 2012

      21 이와부치 고이치,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 또 하나의 문화 2004

      22 박상필, "시민단체의 자주성과 공익활동능력"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8

      23 "세계일보"

      24 이정주, "새마을학 교과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탐색적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7 (17): 199-220, 2013

      25 유○○, "새마을운동중앙회 관계자 1984년 입사~2013년까지 관련 업무수행"

      26 "새마을운동중앙회"

      27 안윤식, "새마을운동의 역사와 세계화" 밝은사람들 2016

      28 정우열, "새마을운동의 국제화 추진 실태와 정책과제" 5 (5): 1-19, 2014

      29 박진도,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 (47) : 37-80, 1999

      30 이정주,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한 국민인식과 과제에 관한 연구" 대한정치학회 21 (21): 147-170, 2013

      31 윤충로, "새마을운동 이후의 새마을운동— 19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09) : 193-228, 2016

      32 최외출, "새마을운동 연구경향과 ‘새마을학’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61-93, 2013

      33 이정주, "새마을운동 발전단계 구분과 구분유형에 관한 연구: 새마을운동의 추진체제의 변화와 지리・공간적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139-166, 2016

      34 박정희, "새마을운동 :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 선집" 대통령비서실 1978

      35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 40년(자료편)" 새마을운동중앙회 2010

      36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 30년 자료집" 새마을운동중앙회 2000

      37 정○○, "새마을연수원 교관 1970년대~1980년대 중반"

      38 시사저널, "새마을 프로젝트에 나랏돈 퍼붓기 시작됐다"

      39 시사IN,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끝발 좋은 이유 있네"

      40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2003

      41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연구단, "박진환 구술 자료"

      42 오마이뉴스, "박근혜 대통령의 새마을 외교, 최선이었나"

      43 "매일경제"

      44 "동아일보"

      45 안윤식, "도전의 시작은 열정이다" 동아문화사 2011

      46 오마이뉴스, "대한민국 정부에는 돈 먹는 괴물이 산다"

      47 황병주, "대중독재" 책세상 469-507, 2004

      48 오유석, "남북한의 국가 주도 발전 전략과 대중동원: 새마을 운동과 천리마 운동비교"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4) : 185-220, 2005

      49 박계동, "관변단체백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50 이대수, "관변단체 육성 및 특혜 폐지와 대안 운동 방안" 2005

      51 "경향신문"

      52 장○○, "경기도 연천군 새마을지도자 2004~2013년"

      53 정책뉴스, "개도국 맞춤형 새마을운동 ODA 본격 추진"

      54 이○○, "강원도 횡성군 새마을지도자 1970년대"

      55 "1999년도 국정감사 행정자치위원회회의록(1999.10.12)"

      56 "1998년도 국정감사 행정자치위원회회의록(1998.1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56 1.76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