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아동 온라인 프라이버시보호법」 최근동향과 시사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6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은 1998년 「아동 온라인 프라이버시보호법」 (COPPA)을 제정하여 13세 미만의 아동을 주요 대상으로 하거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는 상업상 웹사이트나 온라인 서비스 운영자는 아동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특별한 조치를 취할 것을 명령했다. FTC는 COPPA의 이행을 위하여 규칙(COPPA Rule)을 채택하였다. 법 제정 후 10여년이 경과하자 SNS, 스마트폰과 앱의 등장, 위치정보 및 사진정보 활용의 비약적 확대로 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논의끝에 FTC는 2012, 12 COPPA Rule을 개정하여 개인정보의 범위를 위치정보, 사진, 비디오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였으며; 인터넷프로토콜주소, 모바일기기번호 등 “지속적 식별자” 도 보호대상에 포함하고; 플러그인이나 광고네트워크를 통하여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사업자도 적용대상임을 명시하고; 사업자가 부모의 동의를 받는 방법의 승인절차를 간편화하였다. 또한, 2013. 11 미국 의회에는 “아동추적금지법(안)” (Do Not Track Kids Act)이라 불리는 COPPA 개정안이 제출되었다. 이 법안은 COPPA 의 적용대상 연령을 확대하여 13-15세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광고정보를 보내는 경우 아동 본인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아동이 자신이 제공한 개인정보를 추후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버튼”을 만들 것을 규정하였다.
      미국은 민간부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법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COPPA가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고 그 골격은 한국의 정보통신망법 등 개인정보보호 관련법이 이미 규정하고 있는 것이고 그 골격은 한국의 정보통신망법 등 개인정보보호 관련법이 이미 규정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의 일반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COPPA가 개인정보보호 관련 개념, 원칙, 절차에 관하여 상론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한국법은 14세 미만의 아동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할 뿐 이를 시행하는 구체적 방법에 대하여 사업자나 개발자에게 충분히 안내되지도 않아서 규범적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이용자편의에 맞추어 아동 온라인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만들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미국은 1998년 「아동 온라인 프라이버시보호법」 (COPPA)을 제정하여 13세 미만의 아동을 주요 대상으로 하거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음을 인식하...

      미국은 1998년 「아동 온라인 프라이버시보호법」 (COPPA)을 제정하여 13세 미만의 아동을 주요 대상으로 하거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는 상업상 웹사이트나 온라인 서비스 운영자는 아동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특별한 조치를 취할 것을 명령했다. FTC는 COPPA의 이행을 위하여 규칙(COPPA Rule)을 채택하였다. 법 제정 후 10여년이 경과하자 SNS, 스마트폰과 앱의 등장, 위치정보 및 사진정보 활용의 비약적 확대로 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논의끝에 FTC는 2012, 12 COPPA Rule을 개정하여 개인정보의 범위를 위치정보, 사진, 비디오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였으며; 인터넷프로토콜주소, 모바일기기번호 등 “지속적 식별자” 도 보호대상에 포함하고; 플러그인이나 광고네트워크를 통하여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사업자도 적용대상임을 명시하고; 사업자가 부모의 동의를 받는 방법의 승인절차를 간편화하였다. 또한, 2013. 11 미국 의회에는 “아동추적금지법(안)” (Do Not Track Kids Act)이라 불리는 COPPA 개정안이 제출되었다. 이 법안은 COPPA 의 적용대상 연령을 확대하여 13-15세 아동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광고정보를 보내는 경우 아동 본인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아동이 자신이 제공한 개인정보를 추후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버튼”을 만들 것을 규정하였다.
      미국은 민간부문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법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COPPA가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고 그 골격은 한국의 정보통신망법 등 개인정보보호 관련법이 이미 규정하고 있는 것이고 그 골격은 한국의 정보통신망법 등 개인정보보호 관련법이 이미 규정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의 일반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COPPA가 개인정보보호 관련 개념, 원칙, 절차에 관하여 상론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한국법은 14세 미만의 아동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할 뿐 이를 시행하는 구체적 방법에 대하여 사업자나 개발자에게 충분히 안내되지도 않아서 규범적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이용자편의에 맞추어 아동 온라인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만들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enactment of the Children’s Online Pirvacy Protection Act (COPPA) in 1998,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of the United States has made periodic review of the enforcement of the Act. Against the background of expansion of new usages of the Internet such as SNS, apps,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of photos and videos, the FTC adopted a revised COPPA Rule in order to, among others, extend the scope of protected information and cover indirect collection by way of plug-ins and advertisement networks.
      In addition, a bill called “Do Not Track Kids Act” was introduced to the Congress in November, 2013. This bill would require operators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online from minors aged 13 to 15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and to provide “eraser button” that would allow minors to remove their own information.
      It is submitted that the United States needs COPPA and COPPA Rule as it does not have a general personal data protectin act covering the whole private sector. This article notes that the substantive principles of the COPPA and COPPA Rule do not differ from those of Korean personal data protection acts which already cover the whole private sector. The relevant Korean regulations, however, lack the details of the COPPA Rule. It is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prepare customized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online privacy.
      번역하기

      Since the enactment of the Children’s Online Pirvacy Protection Act (COPPA) in 1998,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of the United States has made periodic review of the enforcement of the Act. Against the background of expansion of new usages of the I...

      Since the enactment of the Children’s Online Pirvacy Protection Act (COPPA) in 1998,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of the United States has made periodic review of the enforcement of the Act. Against the background of expansion of new usages of the Internet such as SNS, apps,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of photos and videos, the FTC adopted a revised COPPA Rule in order to, among others, extend the scope of protected information and cover indirect collection by way of plug-ins and advertisement networks.
      In addition, a bill called “Do Not Track Kids Act” was introduced to the Congress in November, 2013. This bill would require operators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online from minors aged 13 to 15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and to provide “eraser button” that would allow minors to remove their own information.
      It is submitted that the United States needs COPPA and COPPA Rule as it does not have a general personal data protectin act covering the whole private sector. This article notes that the substantive principles of the COPPA and COPPA Rule do not differ from those of Korean personal data protection acts which already cover the whole private sector. The relevant Korean regulations, however, lack the details of the COPPA Rule. It is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prepare customized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online priv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2012년 개정 COPPA Rule의 내용
      • Ⅲ. COPPA의 집행
      • Ⅳ. 기타 쟁점에 대한 검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2012년 개정 COPPA Rule의 내용
      • Ⅲ. COPPA의 집행
      • Ⅳ. 기타 쟁점에 대한 검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선, "온라인에서의 아동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미국 및 EU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동향을 중심으로-" 유럽헌법학회 (13) : 221-262, 2013

      2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온라인 아동 개인정보보호 개선방안 연구" 2013

      3 유지연, "아동의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재고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5 (25): 2013

      4 이인호, "아동온라인개인정보보호법과 그 효율적 집행방안" 법과사회이론학회 (20) : 2001

      5 김소라, "아동 대상 인터넷 사이트의 개인정보보호 실태와 개선 방향" 대한가정학회 45 (45): 127-142, 2007

      6 이우석, "미국의 온라인상 아동개인정보법에 관한 연구" 2 (2): 2003

      7 Lauren A. Matecki, "Update : COPPA is Ineffective Legislation! Next Steps for Protecting Youth Privacy Rights in the Social Networking Era" 5 (5): 2010

      8 OECD, "The Protection of Children Online : Risks Faced by Children Online and Policies to Protect Them" OECD 2011

      9 "The Implications of the FTC's New COPPA Rule"

      10 Ben Sperry, "Senator Markey’s Do Not Track Kids Act of 2013 Raises the Question:What’s the Point of COPPA?"

      1 최혜선, "온라인에서의 아동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미국 및 EU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동향을 중심으로-" 유럽헌법학회 (13) : 221-262, 2013

      2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온라인 아동 개인정보보호 개선방안 연구" 2013

      3 유지연, "아동의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재고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5 (25): 2013

      4 이인호, "아동온라인개인정보보호법과 그 효율적 집행방안" 법과사회이론학회 (20) : 2001

      5 김소라, "아동 대상 인터넷 사이트의 개인정보보호 실태와 개선 방향" 대한가정학회 45 (45): 127-142, 2007

      6 이우석, "미국의 온라인상 아동개인정보법에 관한 연구" 2 (2): 2003

      7 Lauren A. Matecki, "Update : COPPA is Ineffective Legislation! Next Steps for Protecting Youth Privacy Rights in the Social Networking Era" 5 (5): 2010

      8 OECD, "The Protection of Children Online : Risks Faced by Children Online and Policies to Protect Them" OECD 2011

      9 "The Implications of the FTC's New COPPA Rule"

      10 Ben Sperry, "Senator Markey’s Do Not Track Kids Act of 2013 Raises the Question:What’s the Point of COPPA?"

      11 Howard K, "Protection of Children in the Virtual World" 2 (2): 2005

      12 Office of Privacy Commissioner of Canada, "Policy Position on Online Behavioural Advertising"

      13 Australian Law Reform Commission, "Online consumers and direct marketing issues in 「For Your Information: Australian Privacy Law and Practice」" 2013

      14 Danah Boyd, "How COPPA Fails Parents, Educators, Youth"

      15 "FTC Staff Report, Mobile Apps for Kids: Disclosures Still Not Making the Grade" 2012

      16 "EU Article 29 Data Protection Working Party" 2009

      17 Emma Llansó, "Do Not Track Kids Bill Revives Minors’ Online Privacy Debate"

      18 FTC, "Complying with COPPA: Frequently Asked Questions"

      19 FTC, "16 CFR Part 312 [RIN 3084-AB20] 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Rule" 78 (7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12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