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군 임시병참사령부’의 부산 숙영 시행과 지역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6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산은 일본 군사수송의 중계지였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2개월간 3차례에 걸쳐 병력 20.9만명, 말 4.5만필, 후방부대, 물자 등을 긴급수송 했다. 부산에서 수송을 총괄한 것은 조선군 임시병참사령부 부산지부였다. 부산병참지부는 부산 내 각 단체들과 숙영 전반의 지원을 협의했고, 부산부의 전 일본인 가옥을 대상으로 군인들을 숙영시켰다. 급히 마계장도 설치하여 군마 숙영도 시행했다.
      이 글은 군의 숙영지가 없는 지역에 어떻게 군인과 군마가 숙영하고, 군사수송은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부산병참지부의 보고서를 토대로 군사수송과 지역의 관계에 대해 몇 가지 사안을 주목했다.
      첫째는 대규모의 부대가 부산에 숙영하면서 이들을 통제할 장치가 갖추어지지 않았고, 이것은 지역의 사회적 문제로 내재되어 있었다. 둘째는 소비가 확대되면서 물가가 급등했고, 부산병참지부는 부산부청과 함께 물가를 통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했다. 셋째는 부산병참지부의 대규모 예산이 부산부민과 부산 지역에 직접 지출되면서 지역 경제의 순환으로 이어졌다. 넷째는 군사수송을 우선하여 보통열차의 운행 횟수 감소, 철도 화물취급 제한, 선박의 부두 사용 통제 등의 일련의 제제는 상업 도시인 부산의 경제에 악영향을 끼쳤다. 다섯째는 부산병참지부에서 향후 숙영지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고, 이것은 1937년 부산시가지계획 시행과 1940년대 부산에 들어선 군사시설과 무관하지 않다. 여섯째는 민가숙영지 설정시 제외된 조선인들에게는 지역의 경제 활성화의 영향이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부산은 일본 군사수송의 중계지였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2개월간 3차례에 걸쳐 병력 20.9만명, 말 4.5만필, 후방부대, 물자 등을 긴급수송 했다. 부산에서 수송을 총괄한 것은 ...

      부산은 일본 군사수송의 중계지였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2개월간 3차례에 걸쳐 병력 20.9만명, 말 4.5만필, 후방부대, 물자 등을 긴급수송 했다. 부산에서 수송을 총괄한 것은 조선군 임시병참사령부 부산지부였다. 부산병참지부는 부산 내 각 단체들과 숙영 전반의 지원을 협의했고, 부산부의 전 일본인 가옥을 대상으로 군인들을 숙영시켰다. 급히 마계장도 설치하여 군마 숙영도 시행했다.
      이 글은 군의 숙영지가 없는 지역에 어떻게 군인과 군마가 숙영하고, 군사수송은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부산병참지부의 보고서를 토대로 군사수송과 지역의 관계에 대해 몇 가지 사안을 주목했다.
      첫째는 대규모의 부대가 부산에 숙영하면서 이들을 통제할 장치가 갖추어지지 않았고, 이것은 지역의 사회적 문제로 내재되어 있었다. 둘째는 소비가 확대되면서 물가가 급등했고, 부산병참지부는 부산부청과 함께 물가를 통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했다. 셋째는 부산병참지부의 대규모 예산이 부산부민과 부산 지역에 직접 지출되면서 지역 경제의 순환으로 이어졌다. 넷째는 군사수송을 우선하여 보통열차의 운행 횟수 감소, 철도 화물취급 제한, 선박의 부두 사용 통제 등의 일련의 제제는 상업 도시인 부산의 경제에 악영향을 끼쳤다. 다섯째는 부산병참지부에서 향후 숙영지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고, 이것은 1937년 부산시가지계획 시행과 1940년대 부산에 들어선 군사시설과 무관하지 않다. 여섯째는 민가숙영지 설정시 제외된 조선인들에게는 지역의 경제 활성화의 영향이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was a period of war. The war did not take place direct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it played a role in the rear for the Japanese war. How did this affect the Korean Peninsula? The answers under the subjects of Japanese army and logistics, military and region, war and transportation will be discovered.
      This thesis determined the area of Busan in the perspective of war and army. Japan opened Gyeongbu Line and Gyeongui Line in 1905, and used the railroad of Joseon as a means of military transport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scale and means, the military transportation continued until 1945. Busan also served as military camps. Camp is a place where the troop takes a rest or gathers in the rear to prepare for future movement. Japan started the dispatch of Siberian troops in 1918, Manchurian Incident in 1931,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Asia-Pacific War in 1941, and implemented a massive emergency transportation. All the soldiers of considerable size passed through Busan.
      As it was unable to find any data from the 1940s, the military transportation immediate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as considered the research period and subject. This is because transportation reports are still remaining that recorded the Japanese army"s military quarters, food service, hygiene, military horse, and support of local people in September 1937. As a result, many influences to the region by the army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social economy of Busan, lifestyles of residents and urban planning.
      번역하기

      The modern history of Korea was a period of war. The war did not take place direct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it played a role in the rear for the Japanese war. How did this affect the Korean Peninsula? The answers under the subjects of Japanese a...

      The modern history of Korea was a period of war. The war did not take place direct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it played a role in the rear for the Japanese war. How did this affect the Korean Peninsula? The answers under the subjects of Japanese army and logistics, military and region, war and transportation will be discovered.
      This thesis determined the area of Busan in the perspective of war and army. Japan opened Gyeongbu Line and Gyeongui Line in 1905, and used the railroad of Joseon as a means of military transport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scale and means, the military transportation continued until 1945. Busan also served as military camps. Camp is a place where the troop takes a rest or gathers in the rear to prepare for future movement. Japan started the dispatch of Siberian troops in 1918, Manchurian Incident in 1931,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Asia-Pacific War in 1941, and implemented a massive emergency transportation. All the soldiers of considerable size passed through Busan.
      As it was unable to find any data from the 1940s, the military transportation immediately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as considered the research period and subject. This is because transportation reports are still remaining that recorded the Japanese army"s military quarters, food service, hygiene, military horse, and support of local people in September 1937. As a result, many influences to the region by the army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social economy of Busan, lifestyles of residents and urban plan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군사수송을 위한 부산 숙영
      • Ⅲ. 人馬숙영 배치와 관리
      • Ⅳ. 군의 숙영과 지역의 관계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군사수송을 위한 부산 숙영
      • Ⅲ. 人馬숙영 배치와 관리
      • Ⅳ. 군의 숙영과 지역의 관계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대륙침략 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부경대학교 2015

      2 전성현, "일제말기 경남지역 근로보국대와 국내노무동원" 부산경남사학회 (95) : 169-206, 2015

      3 김경남, "일제말 전시체제기 부산 시가지계획의 전개와 그 특질" 부경역사연구소 (20) : 81-122, 2007

      4 노기영, "일제말 부산 적기만의 매립과 임항철도 건설사업" 22 : 2006

      5 김윤미, "일본군의 군사수송과 한반도 해안요새" 역사실학회 (59) : 135-164, 2016

      6 사카모토유이치, "식민지기 조선철도에 있어서 군사수송-시베리아 출병, 만주사변과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 137-166, 2006

      7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9)"

      8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8)"

      9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7)"

      10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6)"

      1 김윤미, "일제시기 일본군의 대륙침략 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부경대학교 2015

      2 전성현, "일제말기 경남지역 근로보국대와 국내노무동원" 부산경남사학회 (95) : 169-206, 2015

      3 김경남, "일제말 전시체제기 부산 시가지계획의 전개와 그 특질" 부경역사연구소 (20) : 81-122, 2007

      4 노기영, "일제말 부산 적기만의 매립과 임항철도 건설사업" 22 : 2006

      5 김윤미, "일본군의 군사수송과 한반도 해안요새" 역사실학회 (59) : 135-164, 2016

      6 사카모토유이치, "식민지기 조선철도에 있어서 군사수송-시베리아 출병, 만주사변과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 137-166, 2006

      7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9)"

      8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8)"

      9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7)"

      10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6)"

      11 "鮮内輸送部隊鉄道輸送間に於ける兵站並給養業務詳報の件(2)"

      12 "鮮内輸送部隊鉄道輸送間に於ける兵站並給養業務詳報の件(1)"

      13 "陣中日誌送付の件(17)"

      14 "陣中日誌送付の件(13)"

      15 "陣中日誌送付の件(11)"

      16 "陣中日誌提出の件"

      17 荒川章二, "軍隊と地域" 靑木書店 2001

      18 林采成, "戰時下朝鮮國鐵の組織的對應 : 「植民地」から「分斷」への歷史的經路を探って" 東京大學 2002

      19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戰史叢書8, 大本營陸軍部(1)" 朝雲新聞社 1974

      20 坂本悠一 編, "地域のなかの軍隊 7-帝國支配の最前線 : 植民地" 吉川弘文館 2015

      21 "内地動員部隊第3次鮮内鉄道輸送に伴う兵站業務実施詳報の件"

      22 "内地動員部隊第3次鮮内鉄道輸送に伴う兵站業務実施詳報の件"

      23 "内地動員部隊第1次鮮内鉄道輸送並兵站業務実施祥報の件"

      24 "兵站病院業務詳報の件(2)"

      25 배석만, "1930년대 부산 赤崎灣 매축 연구" 28 : 2012

      26 김경남,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부산 시가지계획의 군사적 성격" 한일관계사학회 (34) : 267-30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