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승, "金洙暎의 詩的 位置, In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2 이광운, "휘트먼의 시적 상상력" 정림사 2007
3 홍기돈, "현대의 순교와 부호라하는 사랑-김수영 문학에 대하여" (여름) : 2004
4 김용권, "한국문학에 끼친 미국의 영향과 그 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0 (10): 1967
5 월트 휘트먼, "풀잎" 혜원 1987
6 황준걸, "일본 논어 해석학" 성균관대 출판부 2011
7 랄프 왈도 에머슨, "위인이란 무엇인가/자기신념의 철학" 동서문화사 2010
8 월트 휘트먼, "월트 휘트먼" 이담 2012
9 정과리, "왜 김수영인가?" (188) : 2005
10 랄프 왈도 에머슨, "에머슨 수상록" 청아출판사 1985
1 김현승, "金洙暎의 詩的 位置, In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2 이광운, "휘트먼의 시적 상상력" 정림사 2007
3 홍기돈, "현대의 순교와 부호라하는 사랑-김수영 문학에 대하여" (여름) : 2004
4 김용권, "한국문학에 끼친 미국의 영향과 그 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0 (10): 1967
5 월트 휘트먼, "풀잎" 혜원 1987
6 황준걸, "일본 논어 해석학" 성균관대 출판부 2011
7 랄프 왈도 에머슨, "위인이란 무엇인가/자기신념의 철학" 동서문화사 2010
8 월트 휘트먼, "월트 휘트먼" 이담 2012
9 정과리, "왜 김수영인가?" (188) : 2005
10 랄프 왈도 에머슨, "에머슨 수상록" 청아출판사 1985
11 김명인, "살아있는 김수영" 2005
12 이승훈, "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 작가 2002
13 유종호, "다채로운 레파토리-洙暎, In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14 월트 휘트먼, "나 자신의 노래"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15 조현일, "김수영의 모더니티관과 파르티잔 리뷰, In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16 허윤회, "김수영 지우기" 상허학회 14 : 103-132, 2005
17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2" 민음사 2005
18 장석원, "김수영 시의 수사학" 청동거울 2005
19 배개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양가적 의식" 우리말글학회 36 : 263-296, 2006
20 신형철, "김수영 시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1 박주현,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내면적 자유 연구: 죽음과 사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2 박지영, "김수영 문학과 ‘번역’" 민족문학사학회 (39) : 200-228, 2009
23 황동규, "良心과 自由, 그리고 사랑, In 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24 랄프 왈도 에머슨, "文化․ 政治․ 藝術: R.W. 에머슨 論全集" 中央文化 社 1956
25 조연정, "‘번역체험’이 김수영 시론에 미친 영향 - ‘침묵’을 번역하는 시작 태도와 관련하여" 한국학연구소 (38) : 459-490, 2011
26 John Townsend Trowbridge, "Reminiscences of Walt Whitman"
27 Walt Whitman, "Notebooks and Unpublished Prose Manuscripts 1"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4
28 Walt Whitman, "Francis Murphy, In The Complete Poems" Penguin Books 2004
29 조규택, "19세기 미국 초절주의 시" 신영어영문학회 11 : 1998
30 박연희, "1950-60년대 냉전문화의 번역과 ‘김수영’"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101-13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