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업방식에 따른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융합 교과 검토: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중요항목과 수행 정도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7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디자인기반의 효율적인 창의융합 교육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강사를 대상으로 동서대학교 1학년 필수교과목인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수업의 ...

      본 논문은 디자인기반의 효율적인 창의융합 교육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강사를 대상으로 동서대학교 1학년 필수교과목인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수업의 교재를 분석하고,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방식에 따른 중요항목과 수행한 정도를 확인하여 수업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교재에 대한 교강사들의 공통적 의견은 디자인사고를 통해 육성할 수 있는 다양한 시점에서의 관찰, 시각적 표현, 그리고 문제해결의 세 가지 역량이 수업 주차에 따라 점진적 단계로 구성이 잘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업 후반부에 진행되는 문제해결 과제를 위해 수업 초, 중반부에 단계별 집중학습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높이 평가했다.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교육에서 교강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은 ‘학생과의 소통’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 모두에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대면 수업에서는 학생과 원활한 소통으로 ‘과제피드백’이나 ‘개인과제와 협업과제의 비율’의 수행 정도가 높았으나, 비대면 수업에서는 대면 수업에 비해 수행 정도가 대부분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교육에서는 교안의 선별이나 과제의 표현방식보다 교사와 학생의 소통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소통역량을 포함한 창의융합 교육이 비대면으로 진행되려면 협업과제를 고려한 교육 플랫폼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itiated to present effective design-based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a teaching method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in the mandatory 〈Design and Creative Thinkin...

      This study is initiated to present effective design-based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a teaching method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in the mandatory 〈Design and Creative Thinking〉 course. To identify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entire course,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Thinking and Creativity textbook with all instructors teaching this course, and confirmed key points and levels of adherence to the face-to-face and contact-free teaching methods.
      The shared opinions of the instructors on the textbook indicated that it presented a good composition of competency stages for each week of the course for improving competency such as visual expression and problem-solving. Particularly, the instructors highly valued the textbook being composed in a way that enabled step-by-step intensive learning in the early and middle phases of the course, leading up to problem-solving assignments in the later stages of the course.
      The instructors foun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was important in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The results were the same for both face-to-face and contact-free courses. The performance levels for assignment feedback an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and group assignments were high for face-to-face education with regard to healthy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However, performance levels for these items were low in contact-free cour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structor-student communication was more influential compared to lesson plans or methods of expression in assignments in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for an education platform that takes into account collaborative assignments to engage in creativity edu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융합 교육
      • Ⅲ. 『디자인사고와 창의성』교재 검토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융합 교육
      • Ⅲ. 『디자인사고와 창의성』교재 검토
      • Ⅳ.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교육에서 수업방식에 따른 중요항목과 수행 정도 비교
      • Ⅴ. 수업피드백 방식 및 평가방법
      • Ⅵ. FGI를 통한 시사점
      • Ⅶ.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조연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3 송영은,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창의융합교육 모델 개발 및 검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241-254, 2018

      4 이현아, "창의 융합적 역량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과정 수업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145-178, 2016

      5 태진미,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인문학연구소 (26) : 241-273, 2010

      6 송만용, "언택트 시대 대학 창의융합 교과목『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수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223-237, 2021

      7 성은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적 창의성의 통합 모형 탐구"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43-61, 2009

      8 이민하,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8 : 195-206, 2017

      9 구자준,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창의성 기법이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끼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 (20): 115-131, 2017

      10 변현정,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49-167, 2015

      1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조연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대한사고개발학회 9 (9): 1-22, 2013

      3 송영은,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창의융합교육 모델 개발 및 검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241-254, 2018

      4 이현아, "창의 융합적 역량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과정 수업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0 (30): 145-178, 2016

      5 태진미,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인문학연구소 (26) : 241-273, 2010

      6 송만용, "언택트 시대 대학 창의융합 교과목『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수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223-237, 2021

      7 성은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적 창의성의 통합 모형 탐구" 한국영재교육학회 8 (8): 43-61, 2009

      8 이민하,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8 : 195-206, 2017

      9 구자준,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창의성 기법이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끼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 (20): 115-131, 2017

      10 변현정,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149-167, 2015

      11 이미나,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전공계열별 인식 비교"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353-376, 2012

      12 하석영, "대학생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연구동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9 (19): 87-102, 2019

      13 이화선, "대학교양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방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4 (14): 1-17, 2014

      14 "www.kbanker.co.kr"

      15 Beghetto, R. A.,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 creativity" 1 (1): 2007

      16 Smith, J. K.,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7 Barron, F.,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98, 1988

      18 Sternberg, R. J.,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5, 1999

      19 Stein, Morris I., "Creativity and Culture" 36 (36): 311-322, 1953

      20 Guilford, J. P., "Creativity" 5 (5): 444-454, 1950

      21 Heinelt, G., "Creative teachers-creative students" Herder 1974

      22 Kim, Wangdong, "Challenges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t Convergence(STEAM)" 67 : 2011

      23 Tishman. S., "Artful thinking: stronger thinking and learning through the power of art: final report"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6

      24 Daniel H. Pink, "A Whole New Mind" Putnam Pub Group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