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S. 엘리엇은 20세기 현대 문학 이론과 비평의 큰 분기점이 된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몰개성화 과정을 통한 유기적으로 통합된 문학적 전통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71959
김경미 (경동대학교)
2019
Korean
T. S. Eliot ; D. H. Lawrence ; tradition ; individual talent ; depersonalization ; otherness ; fluidity ; T. S. 엘리엇 ; D. H. 로렌스 ; 전통 ; 개인의 재능 ; 개체성 ; 몰개성화 ; 타자성 ; 유동성
KCI등재
학술저널
29-49(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T. S. 엘리엇은 20세기 현대 문학 이론과 비평의 큰 분기점이 된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몰개성화 과정을 통한 유기적으로 통합된 문학적 전통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론...
T. S. 엘리엇은 20세기 현대 문학 이론과 비평의 큰 분기점이 된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몰개성화 과정을 통한 유기적으로 통합된 문학적 전통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론을 바탕으로 그는 D. H. 로렌스와 인간 존재라는 책의 서문에서, 로렌스가 작가로서의 자질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에 대해 변덕스럽고 논리적이지 못하다고 혹평한다. 즉 로렌스는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그로 인한 “무지와 편견”으로 인해서 작가로서의 임무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의 위험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리엇의 로렌스 비판과는 대조적으로, F. R. 리비스와 레이몬드 윌리엄스는 로렌스가 당시 학계의 주류를 이루던 교육의 편협함에서 벗어나 오히려 탁월한 내면적 통찰력과 “우월한 지성”으로써, 당시 영국의 사회와 앞으로의 미래 그리고 그 이면의 본질을 포착하여 작품 속에 훌륭히 형상화하고 있다고 극찬한다. 본 논문은 이들의 의견에 공감하면서, 엘리엇의 「전통과 개인의 재능」의 문학적 전통과 몰개성화 이론을 바탕으로 엘리엇과 로렌스의 사상과 문학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금 더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섭, "전통과 감수성: T. S. 엘리엇과 F. R. 리비스" 한국T.S.엘리엇학회 22 (22): 109-133, 2012
2 이철희, "엘리엇의 『네 사중주』와 다른 시들 읽기" 동인출판사 2018
3 권승혁, "모더니스트 미학: 파운드의 미학과 엘리엇의 미학 비교" 한국T.S.엘리엇학회 28 (28): 1-25, 2018
4 김경미, "『연애하는 여인들』에 나타난 D. H. 로렌스의 수사학" 한국로렌스학회 21 (21): 25-42, 2013
5 윤영필, "「국화향기」의 예술적 성취와 타자성의 주제" 한국로렌스학회 14 (14): 167-185, 2006
6 Bachman, Maria K., "“Book Review” of The World Broke in Two: Virginia Woolf, T. S. Eliot, D. H. Lawrence, and E. M. Forster, and the Year That Changed Literature written by Bill Goldstein" 61 (61): 536-542, 2018
7 Lawrence, D. H, "Women in Love" Cambridge UP 1987
8 Lawrence, D. H., "The Symbolic Meaning: The Uncollected Versions of Studies in Classic American Literature" Centaur P 1962
9 Lawrence, D. H, "The Rainbow" Penguin 1949
10 Williams, Raymond, "The English Novel: From Dickens to Lawrence" Paladin 1974
1 이홍섭, "전통과 감수성: T. S. 엘리엇과 F. R. 리비스" 한국T.S.엘리엇학회 22 (22): 109-133, 2012
2 이철희, "엘리엇의 『네 사중주』와 다른 시들 읽기" 동인출판사 2018
3 권승혁, "모더니스트 미학: 파운드의 미학과 엘리엇의 미학 비교" 한국T.S.엘리엇학회 28 (28): 1-25, 2018
4 김경미, "『연애하는 여인들』에 나타난 D. H. 로렌스의 수사학" 한국로렌스학회 21 (21): 25-42, 2013
5 윤영필, "「국화향기」의 예술적 성취와 타자성의 주제" 한국로렌스학회 14 (14): 167-185, 2006
6 Bachman, Maria K., "“Book Review” of The World Broke in Two: Virginia Woolf, T. S. Eliot, D. H. Lawrence, and E. M. Forster, and the Year That Changed Literature written by Bill Goldstein" 61 (61): 536-542, 2018
7 Lawrence, D. H, "Women in Love" Cambridge UP 1987
8 Lawrence, D. H., "The Symbolic Meaning: The Uncollected Versions of Studies in Classic American Literature" Centaur P 1962
9 Lawrence, D. H, "The Rainbow" Penguin 1949
10 Williams, Raymond, "The English Novel: From Dickens to Lawrence" Paladin 1974
11 Eliot, T. S., "The Complete Prose of T. S. Eliot: The Critical Edition. 6 vols"
12 Booth, Wayne C., "The Challenge of D. H. Lawrence" Wisconsin UP 1990
13 김양순, "T. S. 엘리엇과 엘리자베스 비숍: 전통과 그/그녀 개인의 재능" 한국T.S.엘리엇학회 28 (28): 25-51, 2018
14 Eliot, T. S., "Selected Essays 1917-1932" Harcourt, Brace and Company 1932
15 Lawrence, D. H., "Selected Essays" Penguin 1950
16 Lodge, David, "Rethinking Lawrence" Open UP 1990
17 Lawrence, D. H., "Psychoanalysis and the Unconscious & Fantasia of the Unconscious" Dover P 2005
18 Lawrence, D. H., "Lawrence on Education" Penguin 1973
19 Leavis, F. R., "D. H. Lawrence: Novelist" Penguin 1978
20 Bell, Michael, "D. H. Lawrence: Language and Being" Cambridge UP 1991
21 Fernihough, Anne, "D. H. Lawrence: Aesthetics and Ideology" Oxford UP 1993
22 Hardy, Barbara, "D. H. Lawrence in the Modern World" Macmillan P 1989
23 Eliot, T. S., "D. H. Lawrence and Human Existence" Chip’s Bookshop 1971
24 Lawrence, D. H., "Complete Poems" Penguin 1993
T. S. 엘리엇의 주요 작품에 나타난 운명론적 인식 ―황무지와 네 사중주를 중심으로
The Journey towards Bethlehem: T. S. Eliot’s Four Quartets
T. S. Eliot and James Joyce: 1923-192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2 | 0.12 | 0.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1 | 0.36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