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자기평정척도의 응답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역량검사를 3가지 형식(normative, random ipsative, fixed ipsative)으로 제작하여 각 검사형식별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77616
2008
Korean
tele-marketer ; normative measure ; ipsative measure ; faking good ; competency ; 텔레마케터 ; 규준적 측정 ; 선택형 측정 ; 긍정응답왜곡 ; 역량
KCI등재
학술저널
411-428(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기평정척도의 응답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역량검사를 3가지 형식(normative, random ipsative, fixed ipsative)으로 제작하여 각 검사형식별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자...
본 연구에서는 자기평정척도의 응답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역량검사를 3가지 형식(normative, random ipsative, fixed ipsative)으로 제작하여 각 검사형식별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국내 L기업에 근무하는 여성 텔레마케터 272명이다. 3가지 검사 형식과 긍정응답왜곡(faking good)간의 상관분석 결과, 규준적 형식에서는 모든 역량이 응답왜곡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두 가지 선택형 형식에서는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상관이 .10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두 가지 선택형 형식의 신뢰도는 규준적 형식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하나의 역량을 제외하고는 수용할만한 신뢰도를 보였고 타당도는 규준적 형식(.18)보다 다소 높게(.23, .31) 나타났다. 선택형 형식에서 모든 역량은 응답왜곡 경향이 사라짐과 동시에 신뢰도와 타당도는 수용할 만하게 나타나 현장에서 확대 적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족친화적 경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가설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