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 실과 지도를 위한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실과교육 운영 방안 모색- 현상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Teaching Practical Arts at Special Schools - Based on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1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at special schools from 2009, it is required to operate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us, this study designed a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be used in the practical arts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1st semester of 2009. First, we interpreted special school practical arts from a phenomenological viewpoint, and made a 15-week lecture plan based on the viewpoint. The 15-week lecture plan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which wer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and teacher education methods were designed for each stage. Considering that practical arts is an integrated subject, we presented illustratively methods of analyzing relevancy to other subjects and unit themes. As a whole, we aimed to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aching training at special schools.
      번역하기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at special schools from 2009, it is required to operate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us, this study designed a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at special schools from 2009, it is required to operate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us, this study designed a practical arts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be used in the practical arts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1st semester of 2009. First, we interpreted special school practical arts from a phenomenological viewpoint, and made a 15-week lecture plan based on the viewpoint. The 15-week lecture plan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which wer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and teacher education methods were designed for each stage. Considering that practical arts is an integrated subject, we presented illustratively methods of analyzing relevancy to other subjects and unit themes. As a whole, we aimed to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aching training at special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부터 특수학교 실과 교과가 신설되면서 교사양성과정에서 실과 교사교육과정 운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2009년 1학기에 특수아 실과 지도 강좌를 개설하여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먼저 특수학교 실과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였고 그 관점을 바탕으로 15주간의 강의 계획을 수립하였다. 15주의 강의 계획은 크게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간 단계별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구안하였다. 실과가 통합교과인 점을 감안하여 타교과와의 관련성 분석과 단원 주제에 대한 분석 방법을 예시적으로 소개하였다. 전체적으로는 갓 시작된 특수학교 실과교육 및 양성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하였다.
      번역하기

      2009년부터 특수학교 실과 교과가 신설되면서 교사양성과정에서 실과 교사교육과정 운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2009년 1학기에 특수아 실과 지도 ...

      2009년부터 특수학교 실과 교과가 신설되면서 교사양성과정에서 실과 교사교육과정 운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2009년 1학기에 특수아 실과 지도 강좌를 개설하여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먼저 특수학교 실과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였고 그 관점을 바탕으로 15주간의 강의 계획을 수립하였다. 15주의 강의 계획은 크게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간 단계별로 교사교육의 방법을 구안하였다. 실과가 통합교과인 점을 감안하여 타교과와의 관련성 분석과 단원 주제에 대한 분석 방법을 예시적으로 소개하였다. 전체적으로는 갓 시작된 특수학교 실과교육 및 양성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시원, "홀리스틱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실과교육의 성찰"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267-286, 2009

      2 고진호, "학생의 생활세계와 학교교육과정 지식이 연관 탐색" 12 : 174-187, 1993

      3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현상" 문예 1993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5 국립특수교육원,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학교 교육과정(고시 제2008-3호)"

      7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8 최유현, "초등 실과 교육의 정체성과 당위성에 관한 이론적 탐색" 9 (9): 1-30, 1996

      9 van Manen,M, "체험연구" 동녘 1994

      10 박희찬, "직업 교육과정 해설서의 체제 및 활용" 국립특수교육원 37-53, 2009

      1 이시원, "홀리스틱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실과교육의 성찰"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267-286, 2009

      2 고진호, "학생의 생활세계와 학교교육과정 지식이 연관 탐색" 12 : 174-187, 1993

      3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현상" 문예 1993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5 국립특수교육원,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학교 교육과정(고시 제2008-3호)"

      7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8 최유현, "초등 실과 교육의 정체성과 당위성에 관한 이론적 탐색" 9 (9): 1-30, 1996

      9 van Manen,M, "체험연구" 동녘 1994

      10 박희찬, "직업 교육과정 해설서의 체제 및 활용" 국립특수교육원 37-53, 2009

      11 주형일, "직관의 사회학, 나의 사회학 그리고 현상학적 방법" 한국언론학회 4 (4): 77-113, 2008

      12 김형균, "주 5일제 수업에 대비한 실과교과의 주제 중심 통합 운영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1-32, 2003

      13 Heidegger,M, "존재와 시간" 까치 2003

      14 박인철, "인문학과 생활세계" 12 : 393-417, 2007

      15 박행모, "실과교육에서의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31-254, 2008

      16 정모근, "실과 학문적 구조의 통합을 위한 주제 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4 (14): 1-1, 2001

      17 김용익, "실과 전담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6 (16): 69-90, 2001

      18 전세경,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주제와 계획의 표준안 및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2-2, 2005

      19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1

      20 이대은, "노작교육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정신지체 아동의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201-216, 2002

      21 이진경, "노마디즘 I" 휴머니스트 2002

      22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실과(교사용 지도서)"

      23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실과"

      24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사회"

      25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국어"

      26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과학"

      27 정범모,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1997

      28 김용준, "과학과 종교사이에서" 돌베개 2006

      29 김자경,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초등실과교육에서의 학업기술 및 학습전략 교수" 36 (36): 96-122, 2001

      30 Soostmeyer,M, "Zur Sache Sachunterricht" Lang 1998

      31 Popper,Kar.R,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Princeton U. Press 1950

      32 Husserl.E, "Phänomenologie der Lebenswelt" Reclam 1986

      33 PONS, "PONS Wörterbuch für Schule und Studium/Latein-Deutsch"

      34 Adler,A, "Lebenskenntnis" Fischer 1978

      35 Kahlert,J, "Grundlegende Bildung im Spannungsfeld zwischen Lebensweltbezug und Sachanforderungen. In Grundlegende Bildung im Sachunterricht" Klinkhardt 67-81, 1998

      36 Heursen,G, "Fachdidaktik. In Ziele und Inhalte der Erziehung und des Unterrichts" Klett-Cotta 427-439, 1986

      37 Peters,R.S, "Ethics and education" GAU 1970

      38 Kroh,O, "Entwicklungspsychologie des Grundschulkindes als Grundlage völkischer Jugenderziehung" Beyer & Söhne 1935

      39 Berger,P., "Die gesellschaftliche Konstruktion der Wirklichkeit" Fischer 1984

      40 Mayer,W.G, "Der Sachunterricht Teil II" Agentur Dieck 1993

      41 Welter,P, "Der Begriff Lebenswelt-Theorien vortheoretischer Erfahrungswelt" Fink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