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렙의 업무영역 확대가 온라인 광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n-line Advertising about Changing Media Representativ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미디어렙의 업무영역이 온라인 광고 등 뉴미디어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국내 방송광고판매 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한 사회적 상황에서,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판매 방식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탐색했다. 미디어렙과 관련된 정책방향은 향후 국내 미디어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렙 도입 방식이 어떻게 결정되는가가 중요하지만, 미디어렙의 업무영역에 관한 논의 역시 매우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광고판매방식의 변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던 그 변화는 궁극적으로 전체 광고 산업뿐만 아니라 새로운 광고 매체로 부각되고 있는 온라인 광고영역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미디어 환경 변화 상황에서 방송과 신문 등 기존 매체뿐만 아니라 온라인 광고 역시 국내 광고산업의 발전을 기인할 수 있는 매체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국내 미디어 업계가 상호 성장 및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최근 미디어렙의 업무영역이 온라인 광고 등 뉴미디어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국내 방송광고판매 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한 사회적 상황에서,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판매 방식...

      최근 미디어렙의 업무영역이 온라인 광고 등 뉴미디어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국내 방송광고판매 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한 사회적 상황에서,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판매 방식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탐색했다. 미디어렙과 관련된 정책방향은 향후 국내 미디어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렙 도입 방식이 어떻게 결정되는가가 중요하지만, 미디어렙의 업무영역에 관한 논의 역시 매우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광고판매방식의 변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던 그 변화는 궁극적으로 전체 광고 산업뿐만 아니라 새로운 광고 매체로 부각되고 있는 온라인 광고영역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미디어 환경 변화 상황에서 방송과 신문 등 기존 매체뿐만 아니라 온라인 광고 역시 국내 광고산업의 발전을 기인할 수 있는 매체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국내 미디어 업계가 상호 성장 및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important issues in a few years in the media environment was Media Representative System. According to a recent discussion, it is inevitable that Media Representative System would be changing. Based on understanding, this paper was going to review recent discussions about Media Representative System and establish a better model for it, in particular, on-line advertising. Ultimately, Progress in changing Media Representativ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dvertising industry and growing on-line advertising, In other word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discussions about the Media Representative System so far, it was found that the desirable Media Representative System is based on local advertising industry, Because all local media industry that can develop mutual growth and means that measures must be sought.
      번역하기

      One of important issues in a few years in the media environment was Media Representative System. According to a recent discussion, it is inevitable that Media Representative System would be changing. Based on understanding, this paper was going to rev...

      One of important issues in a few years in the media environment was Media Representative System. According to a recent discussion, it is inevitable that Media Representative System would be changing. Based on understanding, this paper was going to review recent discussions about Media Representative System and establish a better model for it, in particular, on-line advertising. Ultimately, Progress in changing Media Representativ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dvertising industry and growing on-line advertising, In other word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discussions about the Media Representative System so far, it was found that the desirable Media Representative System is based on local advertising industry, Because all local media industry that can develop mutual growth and means that measures must be sough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범, "헌재 위헌판결 후, 방송광고 판매제도 재구성 방안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2 김동준, "헌재 위헌 판결 후, 방송광고 판매제도 재구성 방안. 방송법, 무엇이 문제인가?" 2009

      3 이수범, "지상파 방송산업의 재원구조와 미디어렙"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4 박찬표, "주요국의 미디어렙 제도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4

      5 공정거래위원회, "인터넷포털사업의 특성과 경쟁정책적 시사점" 2008

      6 고영구, "인터넷 시대의 인터넷 광고" 연학사 2000

      7 한국인터넷 광고심의기구, "인터넷 광고산업 동향 리포트, 제2호" 2010

      8 한국방송광고공사, "유럽 주요 국가별 미디어렙 제도 분석" 2009

      9 이수범, "외국 미디어렙 제도의 쟁점 분석" 2010

      10 이시훈, "온라인 광고의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6

      1 김기범, "헌재 위헌판결 후, 방송광고 판매제도 재구성 방안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2 김동준, "헌재 위헌 판결 후, 방송광고 판매제도 재구성 방안. 방송법, 무엇이 문제인가?" 2009

      3 이수범, "지상파 방송산업의 재원구조와 미디어렙"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4 박찬표, "주요국의 미디어렙 제도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4

      5 공정거래위원회, "인터넷포털사업의 특성과 경쟁정책적 시사점" 2008

      6 고영구, "인터넷 시대의 인터넷 광고" 연학사 2000

      7 한국인터넷 광고심의기구, "인터넷 광고산업 동향 리포트, 제2호" 2010

      8 한국방송광고공사, "유럽 주요 국가별 미디어렙 제도 분석" 2009

      9 이수범, "외국 미디어렙 제도의 쟁점 분석" 2010

      10 이시훈, "온라인 광고의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6

      11 한은영, "온라인 광고 확대에 따른 매체별 광고비 변화" 20 (20): 54-59, 2008

      12 "엔톰애드 홈페이지"

      13 이은민, "소셜미디어 광고의 확산과 전망" 23 (23): 28-37, 2011

      14 신태섭, "방송광고판매제도개선방향에 대한연구- 완전경쟁론과제한경쟁론간의쟁점분석을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54 : 55-75, 2002

      15 박원기, "방송광고제도 변화에 따른 매체별 광고비 영향 분석"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

      16 이수범, "바람직한 미디어렙 재편방안: 지역방송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09

      17 김해룡, "미래의 광고동향과 미디어 플랫폼간 교차광고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

      18 양문석, "미디어렙 쟁점사항 법제화 방향, 헌재 판결에 따른 방송광고 판매제도 어떻게 할것인가?" 2009

      19 이수범, "미디어렙 경쟁체제의 주요 쟁점과 운영방안"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20 동양일보, "미디어렙 개편 정부안 내용"

      21 정부연, "미국 온라인 광고시장의 성장과 Google" 18 (18): 51-54, 2006

      22 "메조미디어 홈페이지"

      23 김국진,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광고시장 전망"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24 홍원의, "디지털 환경에서의 온라인 미디어렙의 구조, 행동, 성과에 대한 연구" 212-216, 2010

      25 정두남,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하의 미디어렙 구조와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8

      26 아시아투데이, "디브로스, 메이저 미디어렙사들과 독점 파트너십 체결"

      27 서울신문, "네이버 광고시장 독식… 닷컴업계 수익성 한계"

      28 "나스미디어 홈페이지"

      29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내외 인터넷 광고 유통환경 분석 보고서" 2009

      30 전자신문, "NHN, 새 광고 플랫폼 도입"

      31 PcW,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10~2014" 2010

      32 "DMC미디어 홈페이지"

      33 박진한, "2011년 온라인 광고/마케팅 시장전망" 46-50, 2011

      34 미래미디어연구소, "2010 미디어산업 포럼. 12"

      35 Comscore, "2010 U.S. Digital Year in Review, 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 2.393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