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 40년사", 국가기록원 40년사, 2009
2 윤영진, 이종수, "공저,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2010
3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용어사전", 역사비평사, 2008
4 정연경, "지식정보분류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5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9 BRM 교육교재」", 「BRM 교육교재」, 2019, 2019
6 국가기록원, "「기록물관리지침」", 「기록물관리지침」, 2019
7 내무부, "「시군읍면 직제준칙」", 「시군읍면 직제준칙」, 1961
8 충청북도, "지방행정조직제도사", 우아당출판사, 1992
9 박지태, "기록관리법령 따라읽기", 선인, 2007
10 한국기록관리학회,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조은글터, 2018
11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국가기록관리혁신로드맵」", 「국가기록관리혁신로드맵」, 2005
12 행정안전부, "「온나라시스템사용자지침서」", 미상, null
1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이양완료사무 효과분석」", 「지방이양완료사무 효과분석」, 2016
14 조영삼, "「'구기록물' 재편철 방안의 모색」", 기록학연구 5, , pp.87-109, 2002
15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기록물분류기준표」", 「지방자치단체 기록물분류기준표」, ~2013, 2007
16 박유진,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운영과 과제」", 기록학연구 8, , pp.57-95, 2003
17 김태웅,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정과 전망」", 기록보존 12, , pp.159-173, 1999
18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BRM시스템 교육교재」", 「지방자치단체 BRM시스템 교육교재」, 2008
19 김은주, 김화경, "「BRM 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 pp.199-219, 2014
20 내각사무처, "「정부문서 분류표에 대한 제정 건의」", 「정부문서 분류표에 대한 제정 건의」, 1962
21 김정남,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 pp.43-63, 2006
22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표준」",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표준」, 2014
23 Terry Eastwood, "Heather MacNeil 저,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2nd", Libraries Unltd Inc, 2017
24 한국기록관리학회,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3판)", 성남: 아세아문화사, 2013
25 국가기록원, "「국가기록관리혁신추진단워크숍 자료」", 「국가기록관리혁신추진단워크숍 자료」, 2018
26 행정안전부, "「중앙행정기관 정부기능분류체계(2014년)」", 「중앙행정기관 정부기능분류체계년)」, 2014, 2014
27 설문원,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 pp.203-232, 2012
28 경상남도, "「군직제 및 실과 직제 개정직제 준칙 시달」", 「군직제 및 실과 직제 개정직제 준칙 시달」, 1972
29 국가기록원, ", 「기록분류체계 혁신 관련 설문조사 결과보고」", 「기록분류체계 혁신 관련 설문조사 결과보고」, 2018
30 이주연, 최정태, "「한국 공문서분류의 변천과 기록물분류기준표」", 기록보존 16, , pp.239-263, 2003
31 정상희,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9, , pp.327-359, 2016
32 박성우, 정대근, "「5 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8(2), , pp.373-403, 2017
33 국가기록원,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NAK 4 2012(v2.1)」",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NAK 4 (v2.1)」, 2012, 2012
34 국가기록원,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조정 지침(NAK-P-2007-08)」",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조정 지침(NAK-P--08)」, 2007, 2007
35 서울특별시, "「2017 소통하는 열린 서울을 위한 기록관리 안내서」", 「소통하는 열린 서울을 위한 기록관리 안내서」, 2017, 2017
36 이승일, "기록의 역사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 서울: 혜안, 2011
37 이윤정, "업무와 기록의 속성 조화를 위한 기록분류표의 개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기록관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38 박민영, 황진현, 현문수, 정상희, 이소연,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연구」", 기록학연구 51, , pp.279-306, 2017
39 김용찬,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의 기록관리기준표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 학회지 19(1), , pp.95-115, 2019
40 총무처, "「정부공문서분류표 및 문서보존기간종별책정기준표 정비」", 「정부공문서분류표 및 문서보존기간종별책정기준표 정비」, 1978
41 정부기록보존소 기록물분류기준표 제정팀, "「기록물분류기준표 제정절차와 제정원리」, 기록보존 16", 정부기록보존소, , pp.7-10, 2003
4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새로운 판별기준에 따른 국가 총사무 재배분 조사표 작성」", 「새로운 판별기준에 따른 국가 총사무 재배분 조사표 작성」, 2014
43 오진관, "「정부산하공공기관의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 연구」", 기록학연구 53, , pp.201-228, 2017
44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기록관리기준표」(행정자치부 고시 제2015-10호).", 「행정자치부 기록관리기준표」(행정자치부 고시 제-10호), 2015
45 국가기록원, "「건설교통부 기록물분류기준표」(국가기록원 고시 제2005-1호).", 「건설교통부 기록물분류기준표」(국가기록원 고시 제-1호), 2005
46 강혜원,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를 위한 기능분류체계 운영실태 연구", 부산대 학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2013
47 김수정, 임지훈, 박태연, "「재난안전정보의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을 위한 패싯 분류체계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 , pp.375-399, 2017
48 양기근, "「정부기능연계모델(BRM)을 통한 특정관리대상시설의 안전점검 개선방안」", 위기관리이론과실천 1(2), , pp.45-60, 2005
49 국가기록원, "「기록관리기관의 BRM “단위과제” 관리권한 확보 방안(연구세미나 자료」", 「기록관리기관의 BRM “단위과제” 관리권한 확보 방안(연구세미나 자료」, 2019
50 국가기록원, "「학교 공통 단위과제 분류기준 및 보존기간 책정기준(공공표준 NAK 28:2018(v1.1)", 「학교 공통 단위과제 분류기준 및 보존기간 책정기준(공공표준 NAK 28:(v1.1)」, 2018, 2018
51 이상훈, "「한국정부 수립 이후 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년~64년)」", 기록학연구 21, 2009, pp.169-246, 1948
52 이주연, "「정부기능연계모델(Business Reference Model) 분류체계와 기록분류체계의 통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 년도 추계학술발표논집, 2006, pp.43-60, 2006
53 이호중, "이호중, 과학사 사전,(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0012&cid=60 277&categoryId=60277)", 2001
54 설문원, 우지원, "「학교 기록물 분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교 기록관리기준표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8, , pp.299-332, 2018
55 고경훈, 임채홍,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적합성에 관한 연구:BRM(Business Reference Model)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1(1), , pp.147-171, 2010
56 성효주, 이해영, "「기록물의 검색 향상을 위한 패싯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통령 기록물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 pp.165-188, 2017
57 이희준, 정연경,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설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 pp.5-25, 2016
58 유환석, "「공문서 편철방식 개선과제」, 기록보존 10, , pp.119-130. 이귀복, 「기록물편철개선」", 기록보존 12, 1999, pp.149-158, 1997
59 남서진, 임진희, "「정부기능분류체계(BRM)의 재정비를 위한 사례연구 -‘문화재’ 정책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 pp.129-163, 2017
60 설문원,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구조 및 운용 분석 – 중앙행정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 pp.23-51, 2013
61 이재인, "이재인,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 3580048&cid=58765&categoryId=58768", null
62 김화경, 이세진,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서울시 BRM 및 기 록관리기준표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0, , pp.273-309, 2016
63 문찬일,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BRM)의 단위과제 구축사례: 서울특별시 강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9, , pp.247-275, 2016
64 이승억, "「한국 공공분야 ‘기록보유(Recordkeeping)’ 체제 전망 -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도적 의의와 특성」", 기록학연구 4, , pp.31-62, 2001
65 강주연, 한희정, "명현, 오효정, 「재난안전 분야 기능분류체계(BRM) 개발을 위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SOP) 기반 공통업무 분석」", 기록학연구 58, , pp.191-224, 2018
66 설문원, 조지영, "「복합적 기록 생산 환경에서의 평가를 위한 기록관리기준표 개 선방안: A구 ‘공장설립 및 등록’ 업무를 사례로」", 기록학연구 제58호, , pp.147-190, 2018
67 김정현, 전상식,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6대 광역시의 대기능 ‘문화재보존정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8(2), , pp.39-6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