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체구성 및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장기간의 기능성 맞춤운동이 외반슬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외반슬의 개선이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01779
서울 :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학위논문(박사) -- 국민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스포츠자연과학전공 , 2013.02
2013
한국어
796.07 판사항(21)
서울
(The) Effect of Functional Exercise for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tudents with Genu Valgum
ix, 116p. : 삽도, 도표 ; 26 cm.
지도교수: 이기광
부록으로 '누적 표준 정규 분포표' 수록
참고문헌: p.102-1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구성 및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장기간의 기능성 맞춤운동이 외반슬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외반슬의 개선이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구성 및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장기간의 기능성 맞춤운동이 외반슬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외반슬의 개선이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변인 간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여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병이 없고 Morley의 외반슬 분류법에서 Grade2 이상 외반슬을 가진 만 8세부터 18세까지의 남녀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1년 이상 기능성 맞춤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외반슬에 따른 체구성, 신체기능 및 성장발달 요인과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반슬을 가지는 학생들의 사전 BMI 수준은 표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정된 사후 BMI 표준화 점수와 체지방률이 외반슬 개선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외반슬이 과체중 및 비만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연성과 무릎 및 허리의 신전과 굴곡 시 최대 등속성 근력은 사전 측정 대비 사후측정에서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였으며, 외반슬 개선 정도에 따른 사전을 통제한 교정된 사후 유연성과 좌우측 무릎 및 허리의 신전과 굴곡 시 최대 등속성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볼 때, 장기간 규칙적인 기능성 맞춤운동의 참여를 통한 신체기능의 향상이 외반슬의 개선과 비례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외반슬 개선 정도에 따른 사전을 통제한 교정된 사후 신장의 표준화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장단계에 따른 외반슬의 정도는 사전을 통제한 교정된 사후 외반슬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과 사전 외반슬 수준(Morley’s scale)에 따른 외반슬 개선량에서 성별과 사전 외반슬 수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볼 때, 사춘기 이내 성장단계에서 외반슬 개선을 위한 노력은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외반슬 개선량이 클 수 있으나, 남녀 모두 외반슬의 수준이 심할수록 더 큰 개선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외반슬 문제가 인식이 된다면 가능한 빨리 적극적인 외반슬 개선에 대한 노력이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장기간의 규칙적인 기능성 맞춤운동을 통한 체구성, 신체기능과 신체 발달적인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수용된 ‘외반슬-키성장’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한 결과, 모델적합도에서 모델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기능과 체구성이 키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반슬의 간접효과가 신체기능에서 완전매개의 형태로, 체구성에서 부분매개의 형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외반슬의 개선과 성장기에 일어나는 성숙, 성장, 발육, 발달적인 부분이 직, 간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외반슬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신체기능 측정을 통한 과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신체적인 기능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규칙적인 기능성 맞춤운동 프로그램과 식습관 및 성장환경의 개선에 대한 교육을 통한 올바른 체중관리는 외반슬의 개선 뿐 아니라 성장기라는 중요한 시점을 볼 때, 키성장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외반슬-키성장’ 구조방정식 모델은 광범위하거나 추상적인 변인에 대한 복잡한 인과관계를 자연과학적인 실측 가능한 여러 가지 변인을 가지고 적합 타당성을 한번에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유사연구에서도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