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모델구상 및 적용방안 연구 = A Case Study on Carbon Reduction Plan for Urban Initiative and Application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realized that the existing urban planning should be converted to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to cope with recent climate change issues, and mapped out a model that can be used in terms of present map of urban general plan in applying and establishing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which fits to state of Korean urban planning. As a result, in order to realize an applicable model for Korea, the model was formulated based on urban characteristic indexes and regression model that are being used the most up to date to analyze greenhouse-gas emission of the future and effects of reduction. The model classified based on the size of population, and it is planned through greenhouse-gas emissions per capita, and urban planning-related indicators betwee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 that the greenhouse-gas emission can be predictable in the future.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a basic model design for founding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ethodologies or recast drawn indexes. By referring to diverse foreign models hereafter, it is judged that it needs unceasing efforts to utilize and establish urban planning based on developing a model for establishing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that fits to state of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realized that the existing urban planning should be converted to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to cope with recent climate change issues, and mapped out a model that can be used in terms of present map of urban general plan in applying an...

      This study realized that the existing urban planning should be converted to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to cope with recent climate change issues, and mapped out a model that can be used in terms of present map of urban general plan in applying and establishing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which fits to state of Korean urban planning. As a result, in order to realize an applicable model for Korea, the model was formulated based on urban characteristic indexes and regression model that are being used the most up to date to analyze greenhouse-gas emission of the future and effects of reduction. The model classified based on the size of population, and it is planned through greenhouse-gas emissions per capita, and urban planning-related indicators betwee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 that the greenhouse-gas emission can be predictable in the future.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a basic model design for founding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ethodologies or recast drawn indexes. By referring to diverse foreign models hereafter, it is judged that it needs unceasing efforts to utilize and establish urban planning based on developing a model for establishing carbon reduction urban planning that fits to state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계획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저감 도시계획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도시계획 실정에 맞는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현재 도시기본계획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상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구상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 중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효과를 분석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도시특성지표와의 회귀모형을 기반으로 모델을 구상하였으며, 인구규모에 따라 유형화를 하고,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과 도시계획 관련 지표들 간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 예측이 가능하도록 구상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가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모델구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를 재구성하거나, 다양한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외국의 다양한 모델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시계획 수립에 활용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계획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저감 도시계획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도시계획 실정에 맞는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계획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저감 도시계획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도시계획 실정에 맞는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현재 도시기본계획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상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구상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 중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효과를 분석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도시특성지표와의 회귀모형을 기반으로 모델을 구상하였으며, 인구규모에 따라 유형화를 하고,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과 도시계획 관련 지표들 간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 예측이 가능하도록 구상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가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모델구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를 재구성하거나, 다양한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외국의 다양한 모델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탄소저감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시계획 수립에 활용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선철,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 구축 및 도시계획과정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1

      2 유선철, "탄소저감 계획지원시스템을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연구: 미국 California Texas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 46 (46): 375-387, 2012

      3 변병설, "지속가능한 생태도시계획" 국토지리학회 39 (39): 491-500, 2005

      4 정광섭,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평가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0

      5 국토해양부, "제26회 한ㆍ일 도시개발협력회의자료집" 국토해양부 2011

      6 이승일, "저탄소‧에너지절약도시 구현을 위한 우리나라 대도시의 토지이용-교통모델 개발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65-281, 2010

      7 왕광익, "저탄소 녹색도시 도성을 위한 도시계획 수립기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9 (29): 65-88, 2009

      8 유선철, "저탄소 녹색국토 조성을 위한 도시정책 사례연구 - 일본과 영국을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43 (43): 471-483, 2009

      9 김홍배,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35-48, 2010

      10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9

      1 유선철,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 구축 및 도시계획과정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1

      2 유선철, "탄소저감 계획지원시스템을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연구: 미국 California Texas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 46 (46): 375-387, 2012

      3 변병설, "지속가능한 생태도시계획" 국토지리학회 39 (39): 491-500, 2005

      4 정광섭,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평가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0

      5 국토해양부, "제26회 한ㆍ일 도시개발협력회의자료집" 국토해양부 2011

      6 이승일, "저탄소‧에너지절약도시 구현을 위한 우리나라 대도시의 토지이용-교통모델 개발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65-281, 2010

      7 왕광익, "저탄소 녹색도시 도성을 위한 도시계획 수립기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9 (29): 65-88, 2009

      8 유선철, "저탄소 녹색국토 조성을 위한 도시정책 사례연구 - 일본과 영국을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43 (43): 471-483, 2009

      9 김홍배,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35-48, 2010

      10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9

      11 염인섭, "기후변화 대응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체계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12 Waddell, P, "UrbanSim: Modeling Urban Development for Land Use,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Planning" 68 (68): 297-314, 2002

      13 Blakely, E. J, "Urban Planning for Climate Change" Lincon Institute 2007

      14 Zhou, B, "Transportation and Land Use Policy Analysis Using Integrated Transportation and Gravity- Based Models" 2008

      15 Douglas Farr, "Sustainable Urbanism: Urban Design with Nature”" 2008

      16 Wegener, M, "Overview of Land-Use Transport Models, In Transport Geography and Spatial systems, Handbook 5 of the Handbook in Transport" Kidlington 2004

      17 Newman, P, "Gasoline consumption and cities: A comparision of US cities with a global survey" 55 (55): 24-37, 1989

      18 Gordon, P, "Gasolin consumption and cities: A reply" 55 : 342-346, 1989

      19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 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