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재 자치와 중재의 준거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09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재합의의 준거법, 중재적격성의 준거법, 중재절차의 준거법 및 중재실체의 준거법 등 중재에서 문제되는 각 준거법을 어떻게 볼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들은 중재 자치와 분쟁의 적정하고도 신속한 해결이라는 중재의 본질과 존재의의에 비추어 탐구되어야 한다. 중재지법과 집행국법을 중심으로 하는 종래의 중재의 준거법 결정이론은 새로운 국면에 봉착하였다. 중재 자치는 중재합의의 법적 성격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요구한다. 우리는 중재합의(좁게는 중재조항)의 실체계약적 성격을 승인함으로써 중재합의의 준거법을 결정함에 있어 중재 자치를 관철할 수 있다.
      중재의 준거법 결정에 있어서는 중재 당사자 자치에 기한 준거규범 결정의 자유 뿐 아니라 중재인 자치에 기한 준거규범 결정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뉴욕협약 등 중재의 준거법 결정에 관한 기존규범에 대한 시급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나아가 준거법 내용조사의 주체와 그 방법을 국제중재실무에 비추어 고찰함으로써 결정된 준거법에 따라 용이하게 중재인이 그 내용을 판단하고 당사자들이 그에 따른 판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중재합의의 준거법, 중재적격성의 준거법, 중재절차의 준거법 및 중재실체의 준거법 등 중재에서 문제되는 각 준거법을 어떻게 볼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들은 중재 자치와 분쟁...

      중재합의의 준거법, 중재적격성의 준거법, 중재절차의 준거법 및 중재실체의 준거법 등 중재에서 문제되는 각 준거법을 어떻게 볼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들은 중재 자치와 분쟁의 적정하고도 신속한 해결이라는 중재의 본질과 존재의의에 비추어 탐구되어야 한다. 중재지법과 집행국법을 중심으로 하는 종래의 중재의 준거법 결정이론은 새로운 국면에 봉착하였다. 중재 자치는 중재합의의 법적 성격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요구한다. 우리는 중재합의(좁게는 중재조항)의 실체계약적 성격을 승인함으로써 중재합의의 준거법을 결정함에 있어 중재 자치를 관철할 수 있다.
      중재의 준거법 결정에 있어서는 중재 당사자 자치에 기한 준거규범 결정의 자유 뿐 아니라 중재인 자치에 기한 준거규범 결정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뉴욕협약 등 중재의 준거법 결정에 관한 기존규범에 대한 시급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나아가 준거법 내용조사의 주체와 그 방법을 국제중재실무에 비추어 고찰함으로써 결정된 준거법에 따라 용이하게 중재인이 그 내용을 판단하고 당사자들이 그에 따른 판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an important question to decide the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agreement, arbitrability, arbitration procedure and substance of arbitration. These questions should be discussed in view of the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and the nature and raison d"etre of arbitration as an appropriate and speedy resolution of disputes. The older theory of deciding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that focuses on the law of the place of arbitration and the law of enforcement has encountered a new situation.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requires a new look at the legal nature of arbitration agreement. We can enforce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in determining the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agreement, by recognizing the nature of arbitration agreement(or arbitration clause) as a substantive contract.
      In deciding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recognition should be given not only to the freedom to choose the applicable law based on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but also to the freedom to decide the applicable law based on arbitrator autonomy. In this perspectiv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norms on deciding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such as the New York Conventio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e subject and method of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applicable law in view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ractice and thereby facilitate arbitrators"determination of its contents and issuance of awards to the parties.
      번역하기

      It is an important question to decide the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agreement, arbitrability, arbitration procedure and substance of arbitration. These questions should be discussed in view of the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and the nature and r...

      It is an important question to decide the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agreement, arbitrability, arbitration procedure and substance of arbitration. These questions should be discussed in view of the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and the nature and raison d"etre of arbitration as an appropriate and speedy resolution of disputes. The older theory of deciding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that focuses on the law of the place of arbitration and the law of enforcement has encountered a new situation.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requires a new look at the legal nature of arbitration agreement. We can enforce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in determining the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agreement, by recognizing the nature of arbitration agreement(or arbitration clause) as a substantive contract.
      In deciding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recognition should be given not only to the freedom to choose the applicable law based on party autonomy in arbitration but also to the freedom to decide the applicable law based on arbitrator autonomy. In this perspectiv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norms on deciding applicable law to arbitration such as the New York Conventio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e subject and method of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applicable law in view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practice and thereby facilitate arbitrators"determination of its contents and issuance of awards to the par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중재 자치와 준거법선택에 있어서의 당사자 자치의 원칙
      • Ⅲ. 중재 자치와 중재합의의 준거법
      • Ⅳ. 중재 자치와 중재적격성의 준거법
      • Ⅴ. 중재 자치와 중재절차의 준거법
      • Ⅰ. 서론
      • Ⅱ. 중재 자치와 준거법선택에 있어서의 당사자 자치의 원칙
      • Ⅲ. 중재 자치와 중재합의의 준거법
      • Ⅳ. 중재 자치와 중재적격성의 준거법
      • Ⅴ. 중재 자치와 중재절차의 준거법
      • Ⅵ. 중재 자치와 중재의 실체준거법
      • Ⅶ. 중재의 준거법간의 관계
      • Ⅷ. 중재 자치와 준거법 내용의 조사
      • Ⅸ. 결론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1968

      2 177 (177):

      3 489 : 468-479, 1989

      4 "헌법재판소 2003. 5. 15. 선고 2001헌바98 결정"

      5 "한국중재법 제29조 제1항 2문"

      6 "한국중재법 제21조 제1항"

      7 "한국 지적재산 국제소송원칙 제20조 제1항 참조"

      8 "한국 중재법 제3조 제1호 참조"

      9 "한국 중재법 제36조 제2항 제1호 가목"

      10 "한국 중재법 제2조, 참조"

      1 1968

      2 177 (177):

      3 489 : 468-479, 1989

      4 "헌법재판소 2003. 5. 15. 선고 2001헌바98 결정"

      5 "한국중재법 제29조 제1항 2문"

      6 "한국중재법 제21조 제1항"

      7 "한국 지적재산 국제소송원칙 제20조 제1항 참조"

      8 "한국 중재법 제3조 제1호 참조"

      9 "한국 중재법 제36조 제2항 제1호 가목"

      10 "한국 중재법 제2조, 참조"

      11 "한국 중재법 제29조 제3항"

      12 "한국 중재법 제29조 제1항"

      13 "한국 중재법 제21조 제2항 참조"

      14 "한국 중재법 제20조 제2항"

      15 "한국 중재법 제12조 제2항"

      16 "한국 대법원 1990.4.10.선고 89다카20252판결"

      17 "한국 대법원 1990.2.13.선고 88다카23735 판결"

      18 "한국 국제사법 제5조"

      19 "한국 국제사법 제25조, 제33조, 제38조 및 제49조"

      20 "한국 국제사법 제25조 제4항 등"

      21 "한국 국제사법 제11조, 제13조 제1항, 제16조"

      22 "프랑스 개정민소법 제1522조"

      23 강수미, "중재합의의 성립 내지 효력에 관한 준거법" 한국중재학회 16 (16): 89-120, 2006

      24 손경한, "중재합의" 123-, 1983

      25 오석웅, "중재절차법과 당사자자치의 원칙" 280-,

      26 "중국 섭외사법 제27조"

      27 "일본중재법 제36조 제3항"

      28 "일본중재법 제36조 제1항 후단"

      29 "일본중재법 제36조 제1항"

      30 "일본 중재법 제36조 제2항도 동지"

      31 "일본 중재법 제36조 제2항"

      32 "일본 중재법 제36조 제1항 참조"

      33 "일본 중재법 제26조 제2항"

      34 "일본 중재법 제13조 제1항은"

      35 "영국 1966년 중재법 제69조 제1항"

      36 "스위스국제사법 제187조 제1항, ICC 중재규칙 제17조의 제3항 및 AAA국제중재규칙 제28조 제3항은"

      37 "스위스 국제사법 제192조 제1항"

      38 "모델중재법 제28조 제2항"

      39 "모델중재법 제19조 제2항"

      40 "독일 중재법 제1051조 제1항"

      41 "독일 중재법 제1025조"

      42 "독일 민사소송법 제1051조 제2항"

      43 "뉴욕협약 제5조 제1항 가목"

      44 석광현, "국제상사중재법연구 제1권" 41-231, 2007

      45 목영준, "국제상사중재법론" 박영사 60-, 2001

      46 "국제사법 제25조 제2항"

      47 손경한, "강행법규상 청구의 중재적격성-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하)" (173) : 10-,

      48 "http://books.google.co.kr/books?id=7M0mVFiO5DUC&pg=PA234&dq=%22Paris+Chamber+of+Commerce+and+Industry%22&hl=ko&source=gbs_toc_r&cad=3#v=onepage&q=%22Paris%20Chamber%20of%20Commerce%20and%20Industry%22&f=false"

      49 "Zell, 542 F.2d at 37"

      50 "XL Insurance Ltd v Owens Corning"

      51 "United States Federal Arbitration Act, United States Code Title 9, enacted February 12"

      52 "Union of India v McDonnell Douglas Corp [1993] 2 Lloyd’s Rep 48"

      53 "UNCITRAL모델중재법 제28조 제1"

      54 "Turkey: Court of Appeals, 15th Legal Division, 1 February 1996 (Osuuskunta METEX Andelslag V.S. v. Türkiye Electrik Kurumu Genel Müdürlügü General Directorate, Ankara) Yearbook Commercial Arbitration XXII"

      55 Julian DM Lew, "The law applicable to the form and substance of the arbitration clause" Paris 1998

      56 "Sumitomo Heavy Industries v Oil and Natural Gas Commission"

      57 "Steel Corp of the Philippines v International Steel Services 354 Fed. Appx. 689"

      58 "Scherk, 417 U.S. at 520, 94 S.Ct. at 2457; Rhone Mediterranee Compagnia, 712 F.2d at 54"

      59 "Scherk v Alberto-Culver Company 417 US 506"

      60 "Revue del’Arbitrage 310-316, note B. Hanotiau CA Bruxelles, 7 February 2002"

      61 "Revue Belge de Droit Commercial 889, note L. Mertens"

      62 "Restatement (Second) of Conflict of Laws S.186, Chapter 8"

      63 "Redfern and Hunter, Law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Sweet and Maxwell, 5th Ed, 2009, 3.09 내지 3.33"

      64 Berger, Klaus Peter, "Re-examining the Arbitration Agreement: Applicable Law: Consensus or Confusion" 2006

      65 "REGULATION (EC) No 593/2008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7 June 2008 on the law applicable to contractual obligations (Rome I) 제1조 2(e) http://eur-lex.europa.eu/LexUriServ/LexUriServ.do?uri=OJ:L:2008:177:0006:0016:En:PDF"

      66 Berger, Klause Peter, "Private Dispute Resolution in International Business: Negotiation, Mediation, Arbitration, 2nd ed" Wolters Kluwer 405-535, 2010

      67 Engle, Rachel, "Party Autonomy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Where Uniformity Gives Way to Predictability" 15 : 323-, 2002

      68 James Miller, "Partners Ltd. v Whitworth Street Estates(Manchester) Ltd.[1970] 1 Lloyds Rep. 269"

      69 Article IX, "Para.1, Europea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of 1961 Done at Geneva" 484 (484): 364-, 1961

      70 "Moses H. Cone Memorial Hospital, 460 U.S. at 24, 103 S.Ct. at 941"

      71 "Missouri Steamship Company (1889) 42 Ch.D 321, 326"

      72 "Matermaco SA v PPM Cranes Inc (2000) XXV Yearbook Comm Arb"

      73 "Lloyd’s Rep 45; Peterson Farms Inc v C&M Breeding Ltd [2004]"

      74 Redfern, A., "Law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Sweet Maxwell, 4th Ed" 106-, 2004

      75 "LCIA 중재규칙 제 2.1.조 (c) 참조"

      76 "Karaha Bodas Co, v Perusahan Pertambang Minyak Dam Gas Bumi Negara, 364 F 3d 274 (5th Cir. 2004)"

      77 Langton, William, "Is Delocalised Arbitration a Viable Option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78 Geimer, Reinhold, "Internationales Zivilprozeßrechet" 5 : 3831-, 2005

      79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 (ILA) draft report on ascertaining the contents of the applicable law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Rio de Janeiro on 18-21 August 2008)"

      80 Reisman, W.M.,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Cases, Materials and Notes on the Resolution of the Business Disputes" The Foundation Press 691-, 1997

      81 "ICC중재규칙 제28조 제6항"

      82 "ICC중재규칙 제17조 제1항 2문과 AAA국제중재규칙 제28조 제1항 2문"

      83 "ICC중재규칙 제11조"

      84 "ICCA’s Guid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1958 New York Convention. 2011, 63, 64"

      85 "ICC 중재규칙 제14.1조"

      86 "Gutbrot v. Usinorpdecision, 1988 참조"

      87 "Explanatory Note by the UNCITRAL Secretariat on the 1985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as amended in 2006, Para. 35"

      88 "European Convention of 1961, Article 6"

      89 "EWHC 957 (Comm), C v D [2007] EWCA Civ 1282"

      90 "EWHC 481 (Comm), at paragraph 32 and Final Award in ICC Case No 6850, XXIII YB Comm Arb 37"

      91 "EWHC 121 (Comm) Sonatrach Petroleum Corporation (BVI) v Ferrell International Ltd [2001]"

      92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93 "Com. Bruxelles, 5 October 1994, Van Hopplynus Instruments S.A. v Coherent Inc. [1995]"

      94 "Christoph Reithmann/Dieter Martiny(Hrsg.) Das Internationale Vertragsrecht 7. Aufl (2010)"

      95 Karton, Joshua D. H., "Choice of Law: Is International Arbitration Leading the Way or Marching to the Beat of its Own Drummer" U of New Brunswick L. J 2010

      96 "Cass., 16 November 2006, Van Hopplynus Instruments S.A. v Coherent Inc. [2007]"

      97 "C v D [2007] EWCA Civ 1282"

      98 "Bulgarian Foreign Trade Bank Ltd v Al Trade Finance Inc (2001) XXVI Ybk Comm Arb 291"

      99 "Braes of Doune Wind Farm (Scotland) v Alfred McAlpine Business Services [2008] APP.L.R. 03/13 TCC"

      100 山本和彦, "ADR仲裁法" 日本評論社 354-, 2008

      101 Derains & Schwartz, "A Guide to the ICC Rules of Arbitration, 2nd Ed" 235-236, 2005

      102 안건형, "2011 프랑스 개정 민사소송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국제중재법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5 (15): 93-121, 2011

      103 "2009 U.S. App. LEXIS 25404 (3d Cir. 2009)"

      104 "1996년 영국중재법 제66조 제2항 참조"

      105 "1996년 영국중재법 제34조 제1항, 제2항 (g)"

      106 Yusuf Ahmed Alghanim, "126 F 3d 15, 22-23 (2d Cir 1997)"

      107 "1 All ER (Comm) 530, Shashoua and others v Sharma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64 0.958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