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류자명의 항일 의열활동 연구 = A Study on Rye, Ja-myeong’s Heroic Struggle against Imperial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5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류자명은 1922년부터 의열단에서 연락사무와 교육 ․ 홍보의 책임을 맡고, 직접 의열투쟁의 현장을 지도한 독립운동가이다. 나아가 그는 1930년대에도 국제적 규모의 의열단체를 창립해 꾸준히 암살 ․ 파괴운동을 지도한 투쟁가로서 널리 알려졌다.
      의열단에서 ‘참모장’ 역할을 맡은 류자명의 생애와 의열투쟁사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류자명은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들 중 가장 먼저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신념으로 정착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그는 1919년 중국 망명 이후 사상적 스승으로부터 공산주의 사상을 사사받았지만, 마르크스의 학설에 동의하지 않고 대신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통독하면서 아나키즘을 받아들였다.
      둘째, 류자명은 1922년 김원봉 단장을 통해 뒤늦게 의열단에 가입했지만, 1930년대 중반까지 민중폭력혁명 노선을 끝까지 견지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류자명은 1924년 이후 김원봉 단장을 비롯한 대다수 단원들이 폭력노선을 포기하고 체계적인 군사교육을 받기위해 중국 군대에 입교한 이후에도 홀로 상해의 의열단에 남아 의열투쟁 노선을 고수했다.
      셋째, 류자명은 의열단의 연락업무와 교육 ․ 홍보업무를 담당하면서 의열단의 투쟁이념을 정립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1922년 겨울 존경하던 신채호 선생을 찾아가 의열단 선언문을 작성하도록 요청해 ‘파괴와 건설론’, ‘민중의 폭력혁명노선’ 등 단의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그는 1926년 12월 광주에서 열린 의열단 간부회의에 참석해 민족독립과 반봉건 민주정책에 의한 ‘진정한 민주국’ 건설을 추구한다는 20개조에 걸린 강령을 제정하도록 했다.
      번역하기

      류자명은 1922년부터 의열단에서 연락사무와 교육 ․ 홍보의 책임을 맡고, 직접 의열투쟁의 현장을 지도한 독립운동가이다. 나아가 그는 1930년대에도 국제적 규모의 의열단체를 창립해 꾸준...

      류자명은 1922년부터 의열단에서 연락사무와 교육 ․ 홍보의 책임을 맡고, 직접 의열투쟁의 현장을 지도한 독립운동가이다. 나아가 그는 1930년대에도 국제적 규모의 의열단체를 창립해 꾸준히 암살 ․ 파괴운동을 지도한 투쟁가로서 널리 알려졌다.
      의열단에서 ‘참모장’ 역할을 맡은 류자명의 생애와 의열투쟁사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류자명은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들 중 가장 먼저 아나키즘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신념으로 정착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그는 1919년 중국 망명 이후 사상적 스승으로부터 공산주의 사상을 사사받았지만, 마르크스의 학설에 동의하지 않고 대신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통독하면서 아나키즘을 받아들였다.
      둘째, 류자명은 1922년 김원봉 단장을 통해 뒤늦게 의열단에 가입했지만, 1930년대 중반까지 민중폭력혁명 노선을 끝까지 견지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류자명은 1924년 이후 김원봉 단장을 비롯한 대다수 단원들이 폭력노선을 포기하고 체계적인 군사교육을 받기위해 중국 군대에 입교한 이후에도 홀로 상해의 의열단에 남아 의열투쟁 노선을 고수했다.
      셋째, 류자명은 의열단의 연락업무와 교육 ․ 홍보업무를 담당하면서 의열단의 투쟁이념을 정립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1922년 겨울 존경하던 신채호 선생을 찾아가 의열단 선언문을 작성하도록 요청해 ‘파괴와 건설론’, ‘민중의 폭력혁명노선’ 등 단의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그는 1926년 12월 광주에서 열린 의열단 간부회의에 참석해 민족독립과 반봉건 민주정책에 의한 ‘진정한 민주국’ 건설을 추구한다는 20개조에 걸린 강령을 제정하도록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Ryu, Ja-myeong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Contact affairs and education romotion in Uiyeoldan since 1922,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field of direct uiyeol struggle. Furthermore, he is widely known as Fighter also led the movement to continue assassinations in the 1930s.
      In fact, can be seen through are view of the life and struggle ‘Chief of Staff’ role in charge of the kind apparent in uiyeold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He is the first systematic study of Korean an anarchists as a person settled in their convictions. He received the judges from the communist ideology and ideological mentor exile since 1919 in China,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Kropotkin rather than Marx’s theory does not agree with the accepted anarchism.
      Second, He into the uiyeoldan the late than leader Kim Won-bong in 1922, until the mid-1930s, to asses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tgetda one aspect violent revolution to end the people’s line. Ryu is apparent even after the majority section are including Kim, Won-bong refurbished since 1924 joined the Chinese army to renounce violence and to receive systematic military training routes were alone adhere to uiyeol struggle line remain in uiyeoldan.
      Third, the error is obvious and can be responsible for liaison officer with education to promote the work of uiyeoldan assess the ideological struggle of the uiyeoldan to establish a person. He visited the Shin, Chae-ho respected teacher who asked to create a winter 1922 uiyeoldan Declaration‘Destruction and Construction’ Theory, ‘violent revolution line of the people’,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ideology.
      Furthermore, he took on 20 renovation to establish a Code of pursuing a ‘true Democracy state’ construction due to nation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policy uiyeoldan attending the caucus held in Guangzhou in December 1926.
      번역하기

      Ryu, Ja-myeong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Contact affairs and education romotion in Uiyeoldan since 1922,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field of direct uiyeol struggle. Furthermore, he is widely known as Fighter also led the movement to co...

      Ryu, Ja-myeong is responsible for the apparent Contact affairs and education romotion in Uiyeoldan since 1922,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field of direct uiyeol struggle. Furthermore, he is widely known as Fighter also led the movement to continue assassinations in the 1930s.
      In fact, can be seen through are view of the life and struggle ‘Chief of Staff’ role in charge of the kind apparent in uiyeold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He is the first systematic study of Korean an anarchists as a person settled in their convictions. He received the judges from the communist ideology and ideological mentor exile since 1919 in China,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Kropotkin rather than Marx’s theory does not agree with the accepted anarchism.
      Second, He into the uiyeoldan the late than leader Kim Won-bong in 1922, until the mid-1930s, to asses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tgetda one aspect violent revolution to end the people’s line. Ryu is apparent even after the majority section are including Kim, Won-bong refurbished since 1924 joined the Chinese army to renounce violence and to receive systematic military training routes were alone adhere to uiyeol struggle line remain in uiyeoldan.
      Third, the error is obvious and can be responsible for liaison officer with education to promote the work of uiyeoldan assess the ideological struggle of the uiyeoldan to establish a person. He visited the Shin, Chae-ho respected teacher who asked to create a winter 1922 uiyeoldan Declaration‘Destruction and Construction’ Theory, ‘violent revolution line of the people’,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ideology.
      Furthermore, he took on 20 renovation to establish a Code of pursuing a ‘true Democracy state’ construction due to nation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policy uiyeoldan attending the caucus held in Guangzhou in December 1926.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성장과정과 중국 망명
      • 3. 의열단 활동
      • 4. 남화한인청년연맹 활동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성장과정과 중국 망명
      • 3. 의열단 활동
      • 4. 남화한인청년연맹 활동
      • 5.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식,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2 류연산, "행동하는 지식인-유자명평전" 예성문화연구회 2004

      3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운동편" 지식산업사 2015

      4 무정부주의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아나키즘운동사" 형설출판사 1978

      5 한상도, "한국독립운동의 시대인식 연구" 경인문화사 2011

      6 김영범, "한국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7 박걸순, "충북의 독립운동과 독립운동가" 국학자료원 2012

      8 염인호, "조선의용대․조선의용군"

      9 김영범, "의열투쟁1-1920년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0 유자명자료집간행위원회, "유자명자료집1-독립운동 편"

      1 이정식,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2 류연산, "행동하는 지식인-유자명평전" 예성문화연구회 2004

      3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운동편" 지식산업사 2015

      4 무정부주의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아나키즘운동사" 형설출판사 1978

      5 한상도, "한국독립운동의 시대인식 연구" 경인문화사 2011

      6 김영범, "한국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7 박걸순, "충북의 독립운동과 독립운동가" 국학자료원 2012

      8 염인호, "조선의용대․조선의용군"

      9 김영범, "의열투쟁1-1920년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0 유자명자료집간행위원회, "유자명자료집1-독립운동 편"

      11 한상도, "유자명의 아나키즘 이해와 한∙중 연대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7 (7): 139-160, 2008

      12 류자명, "유자명 수기-한 혁명자의 회억록"

      13 이규창, "운명의 여신" 보연각 1992

      14 이정규, "우관문존" 삼화인쇄 1984

      15 정화암, "어느 아나키스트의 몸으로 쓴 근세사" 자유문고 1992

      16 박환, "식민지시대 한인아나키즘운동사" 선인 2005

      17 이강훈, "민족해방운동과 나" 제삼기획 1994

      18 이호룡, "류자명의 아나키스트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53) : 221-253, 2004

      19 류자명연구회, "류자명의 독립운동과 한․중연대" 경인문화사 2015

      20 박태원, "若山과 義烈團" 깊은샘 2000

      21 安奇, "戴願章的園藝學家-柳子明傳" 中國農業出版社 2004

      22 유기석, "30년 방랑기-유기석 회고록"

      23 심극추, "20세기 중국조선족역사자료집" 중국조선민족문화예술출판사 2002

      24 조세현, "1930년대 한중 아나키스트의 반파시즘 투쟁과 국제연대 - 巴金과 柳子明을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27-355, 2008

      25 김명섭, "1920년대 전반기 북경지역 한인들의 아나키즘 수용과정과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69) : 68-10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