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 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7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paper are the employee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five-star hotels in Seoul. I try to find out about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n the job performance. I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c work abilit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the staff.
      First of all, I examine the self-leadership recognized by the staff,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ith the help of former research.
      Secondly, by the examined self-leadership,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I try to find ou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se variables.
      Thirdly, af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 give some suggestions how to improve the organic work ability,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performance of the staff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five-star hotels.
      This research is limited to wine & dining restaurants of five-star hotels in Seoul. I focus on the employees in these hotels. My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etween October 1st and October 25th in 2008. I focused on the employees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16 five-star hotels and prepared 420 questionnaires from which I could use 356.
      I took statistics of this material with the help of the statistic package of SPSS for Window Version 15.0 and AMOS 7.0. I mainly us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mpatibility of the general model of self-leadership and team-work,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showed the following values: x2=88.190(df=23, p=.000), Normed x2=3.834, GFI=.953, AGFI=.886, RMR=.010, NFI=.975, CFI=.981, RMSEA=.089. The AGFI value is a bit lower than the recommended value of 0.886, but compared to the general index it is in harmony with the norm. That means that these values can be used to explain the influence between each other.
      The results of my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I found out that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as positive, while there could not be observed an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self-efficacy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irdly, self-efficacy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hile there could not be observed an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ly, job satisfac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Fifthly,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my suggestions are as following.
      I advise to intensify the education of self-leadership in hotel restaurant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leadership of the staff. The result would be a more efficient working atmosphere.
      Secondly, team-work should be intensified by giving mor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mployees. This could be achieved by shared activities.
      Thirdly, employees with high self-efficacy should be promoted because they have great influence on other employees.
      Finally, I suggest to improve the eduction of self-leadership, team-work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reach the highest aim of management, namely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
      번역하기

      The object of this paper are the employee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five-star hotels in Seoul. I try to find out about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n the job perfo...

      The object of this paper are the employee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five-star hotels in Seoul. I try to find out about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n the job performance. I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c work abilit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the staff.
      First of all, I examine the self-leadership recognized by the staff,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ith the help of former research.
      Secondly, by the examined self-leadership,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I try to find ou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se variables.
      Thirdly, af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 give some suggestions how to improve the organic work ability,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performance of the staff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five-star hotels.
      This research is limited to wine & dining restaurants of five-star hotels in Seoul. I focus on the employees in these hotels. My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etween October 1st and October 25th in 2008. I focused on the employees of wine & dining restaurants in 16 five-star hotels and prepared 420 questionnaires from which I could use 356.
      I took statistics of this material with the help of the statistic package of SPSS for Window Version 15.0 and AMOS 7.0. I mainly us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mpatibility of the general model of self-leadership and team-work,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showed the following values: x2=88.190(df=23, p=.000), Normed x2=3.834, GFI=.953, AGFI=.886, RMR=.010, NFI=.975, CFI=.981, RMSEA=.089. The AGFI value is a bit lower than the recommended value of 0.886, but compared to the general index it is in harmony with the norm. That means that these values can be used to explain the influence between each other.
      The results of my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I found out that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team-work,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as positive, while there could not be observed an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self-efficacy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irdly, self-efficacy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hile there could not be observed an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ly, job satisfac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Fifthly,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my suggestions are as following.
      I advise to intensify the education of self-leadership in hotel restaurant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leadership of the staff. The result would be a more efficient working atmosphere.
      Secondly, team-work should be intensified by giving mor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mployees. This could be achieved by shared activities.
      Thirdly, employees with high self-efficacy should be promoted because they have great influence on other employees.
      Finally, I suggest to improve the eduction of self-leadership, team-work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reach the highest aim of management, namely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에서의 직원들 간의 유기적인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 달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급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 선행연구 된 설문문항을 적용하여 측정한다.
      둘째, 측정된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 통하여 각 변수들 상호간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한다.
      셋째,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각 변수간의 관계를 통해 유의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직원들 간의 유기적인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달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공간적으로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 으로 한정하여 여기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08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16개 특급 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420부의 설문지를 준비하여 진행하였다. 382부(91.5%)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중 불성실하게 답한 26부의 설문을 제외한 356부(93.2%)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sion 15.0 통계패키지와 AMOS 7.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주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전반적인 모형에 대해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x2=88.190(df=23, p=.000), Normed x2=3.834, GFI=.953, AGFI=.886, RMR=.010, NFI=.975, CFI=.981, RMSEA=.089의 값이 도출 되었다. AGFI 값이 0.886으로 권고하는 0.90이상보다는 약간 작은 값이지만 위와 같은 지수는 일반적인 지표들과 비교할 때, 대체로 기준을 만족함으로 전반적으로 연구 개념들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기에 타당하다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일하게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웍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다섯째,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텔의 레스토랑 직원들에게 셀프리더십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면 직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증진되며, 효율적인 임무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특급호텔의 교육실무자는 셀프리더십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향후 교육계획에 추가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호텔에서는 레스토랑 직원들의 팀웍 강화를 위한 방안마련을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자면 직원 상호간 활발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부여하고, 상하 직원 간에 격의 없는 대화, 조직의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 활동으로 회사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고, 직원들의 친목도모와 팀웍 향상을 위한 소규모 취미활동과 동아리 활동, 체육활동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직원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본인 업무에 적극적이고, 고객서비스에 열정을 가지며, 회사에 대한 업무 기여도가 높을 것 이라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특급호텔 최고의 경영목표가 고객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만족 경영을 통해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높이는데 있다. 이러한 호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시킬 수 있는 방안은 본 연구에서 진행했던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전환 및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관련자들 모두의 공동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본 연구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에서의 직원들 간의 유기적인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 달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급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 선행연구 된 설문문항을 적용하여 측정한다.
      둘째, 측정된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 통하여 각 변수들 상호간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한다.
      셋째,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각 변수간의 관계를 통해 유의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직원들 간의 유기적인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달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공간적으로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 으로 한정하여 여기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08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16개 특급 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420부의 설문지를 준비하여 진행하였다. 382부(91.5%)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중 불성실하게 답한 26부의 설문을 제외한 356부(93.2%)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sion 15.0 통계패키지와 AMOS 7.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주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전반적인 모형에 대해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x2=88.190(df=23, p=.000), Normed x2=3.834, GFI=.953, AGFI=.886, RMR=.010, NFI=.975, CFI=.981, RMSEA=.089의 값이 도출 되었다. AGFI 값이 0.886으로 권고하는 0.90이상보다는 약간 작은 값이지만 위와 같은 지수는 일반적인 지표들과 비교할 때, 대체로 기준을 만족함으로 전반적으로 연구 개념들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기에 타당하다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일하게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웍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다섯째,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텔의 레스토랑 직원들에게 셀프리더십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면 직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증진되며, 효율적인 임무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특급호텔의 교육실무자는 셀프리더십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향후 교육계획에 추가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호텔에서는 레스토랑 직원들의 팀웍 강화를 위한 방안마련을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자면 직원 상호간 활발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부여하고, 상하 직원 간에 격의 없는 대화, 조직의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 활동으로 회사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고, 직원들의 친목도모와 팀웍 향상을 위한 소규모 취미활동과 동아리 활동, 체육활동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직원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본인 업무에 적극적이고, 고객서비스에 열정을 가지며, 회사에 대한 업무 기여도가 높을 것 이라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특급호텔 최고의 경영목표가 고객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만족 경영을 통해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높이는데 있다. 이러한 호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시킬 수 있는 방안은 본 연구에서 진행했던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전환 및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관련자들 모두의 공동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5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6
      • 1.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6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5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6
      • 1.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 8
      • 제 1 절 Wine & Dining Restaurant = 8
      • 1. Wine & Dining Restaurant의 개념 = 8
      • 제 2 절 셀프리더십 = 9
      • 1. 셀프리더십의 개념 = 9
      • 2. 셀프리더십의 중요성 = 12
      • 3. 셀프리더십의 선행연구 = 14
      • 4. 셀프리더십과 변수들과의 관계 = 18
      • 제 3 절 팀웍 = 19
      • 1. 팀웍의 개념과 구성요소 = 19
      • 2. 팀웍의 선행연구 = 20
      • 3. 팀웍과 변수들과의 관계 = 24
      • 제 4 절 자기효능감 = 25
      • 1. 자기효능감의 개념과 선행연구 = 25
      • 2. 자기효능감과 변수들과의 관계 = 30
      • 제 5 절 직무만족 = 32
      • 1. 직무만족의 개념과 선행연구 = 32
      • 2. 직무만족과 변수들과의 관계 = 34
      • 제 6 절 조직몰입 = 35
      • 1. 조직몰입의 개념과 선행연구 = 35
      • 2. 조직몰입과 변수들과의 관계 = 37
      • 제 7 절 직무성과 = 39
      • 1. 직무성과의 개념 = 39
      • 2. 직무성과의 선행연구 = 40
      • 제 3 장 연구 설계 = 42
      •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42
      • 1. 연구모형 = 42
      • 2. 연구가설 = 43
      • 제 2 절 조사 설계 = 48
      • 1. 표본설계와 조사방법 = 48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 49
      • 3. 변수의 속성추출 및 설문지 구성 = 52
      • 4. 분석방법 = 60
      • 제 4 장 실증분석 = 62
      • 제 1 절 표본의 인구통계학적특성 = 62
      •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특성 = 62
      • 제 2 절 실증분석 결과 = 64
      • 1. 확인요인분석 = 64
      • 2.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분석 = 71
      • 제 3 절 모형의 평가 및 가설검증 = 72
      • 1.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 73
      • 2. 가설검증 = 73
      • 3. 가설검증 및 요약 = 77
      •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 83
      •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 83
      • 1. 연구결과 요약 = 83
      • 2. 연구의 시사점 = 86
      •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89
      • 부록 = 91
      • 1. 참고문헌 = 91
      • 2. 설문지 = 109
      • 3. ABSTRACT = 1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