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본 연구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에서의 직원들 간의 유기적인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 달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급호텔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 선행연구 된 설문문항을 적용하여 측정한다.
둘째, 측정된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를 통하여 각 변수들 상호간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한다.
셋째,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각 변수간의 관계를 통해 유의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직원들 간의 유기적인 업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달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공간적으로는 서울시내 특급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 으로 한정하여 여기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08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16개 특급 호텔의 wine & dining restaurant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420부의 설문지를 준비하여 진행하였다. 382부(91.5%)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중 불성실하게 답한 26부의 설문을 제외한 356부(93.2%)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Version 15.0 통계패키지와 AMOS 7.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주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전반적인 모형에 대해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x2=88.190(df=23, p=.000), Normed x2=3.834, GFI=.953, AGFI=.886, RMR=.010, NFI=.975, CFI=.981, RMSEA=.089의 값이 도출 되었다. AGFI 값이 0.886으로 권고하는 0.90이상보다는 약간 작은 값이지만 위와 같은 지수는 일반적인 지표들과 비교할 때, 대체로 기준을 만족함으로 전반적으로 연구 개념들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기에 타당하다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일하게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웍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다섯째,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텔의 레스토랑 직원들에게 셀프리더십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면 직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증진되며, 효율적인 임무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특급호텔의 교육실무자는 셀프리더십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향후 교육계획에 추가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호텔에서는 레스토랑 직원들의 팀웍 강화를 위한 방안마련을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자면 직원 상호간 활발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부여하고, 상하 직원 간에 격의 없는 대화, 조직의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 활동으로 회사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고, 직원들의 친목도모와 팀웍 향상을 위한 소규모 취미활동과 동아리 활동, 체육활동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높은 직원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본인 업무에 적극적이고, 고객서비스에 열정을 가지며, 회사에 대한 업무 기여도가 높을 것 이라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특급호텔 최고의 경영목표가 고객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만족 경영을 통해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높이는데 있다. 이러한 호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시킬 수 있는 방안은 본 연구에서 진행했던 셀프리더십과 팀웍, 자기효능감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전환 및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관련자들 모두의 공동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