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9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자료 중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로 조사되는 취업선호도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대적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위해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군집분석 결과에 따라 분류된 취업선호도 유형의 특성 및 취업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은 근무환경, 소득 및 안정성, 성장가능성, 업무량 및 난이도의 4개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취업선호도를 반영하여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성장가능성 중시형’, ‘소득 및 안정성 미중시형’, ‘업무량 및 난이도 미중시형’ 그리고 ‘취업선호 미결정형’이었다. 각 유형별로 주요 취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취업 전 직업선택동기에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유형들의 취업 성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대학 재학 중 취업지도 및 상담 제공 시 학생들의 상대적 취업선호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미취업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대한 측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 및 심리적 측정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S, the job preference data surveyed as important when applying for a job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outcom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mployment preference of yout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orking environment, income and s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job characteristics. Seconds,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by reflecting the comparativ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s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wth potential-oriented type’, ‘Income and stability not-oriented type’, ‘Workload & Difficulty not-oriented type’ and ‘job preference undeci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employment outcomes for each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before employment is more excellen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roviding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attending university or colleg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measuring job preferences. Fi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definition of the criteria for decent job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숙,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17 (17): 79-102, 2006

      2 유홍준, "청년층의 취업선호도 변화와 영향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19, 2016

      3 최율,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잠재집단분석과 생존분석을 통한 접근" 한국사회학회 49 (49): 1-44, 2015

      4 오호영, "청년층 취업난과 미스매치" 15 (15): 6-35, 2012

      5 김용성, "청년실업의 원인 : 직업탐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09

      6 송영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20): 61-88, 2017

      7 박성준, "청년 대졸자의 일자리 선호 특성에 따른 잠재유형분석" 한국공공사회학회 7 (7): 5-35, 2017

      8 이병희,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한국산업노동학회 17 (17): 71-94, 2011

      9 조대연,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29-56, 2016

      10 신승원,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대학졸업자의 취업 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4 (24): 93-113, 2015

      1 김정숙,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17 (17): 79-102, 2006

      2 유홍준, "청년층의 취업선호도 변화와 영향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19, 2016

      3 최율,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잠재집단분석과 생존분석을 통한 접근" 한국사회학회 49 (49): 1-44, 2015

      4 오호영, "청년층 취업난과 미스매치" 15 (15): 6-35, 2012

      5 김용성, "청년실업의 원인 : 직업탐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09

      6 송영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20): 61-88, 2017

      7 박성준, "청년 대졸자의 일자리 선호 특성에 따른 잠재유형분석" 한국공공사회학회 7 (7): 5-35, 2017

      8 이병희,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한국산업노동학회 17 (17): 71-94, 2011

      9 조대연,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29-56, 2016

      10 신승원,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대학졸업자의 취업 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4 (24): 93-113, 2015

      11 김안국, "우리나라 고등교육 수급 불일치 규모 추정" 한국사회경제학회 28 (28): 39-63, 2015

      12 조선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결정요인 연구: 충남지역 입소시설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2 (32): 1199-1215, 2012

      13 오세근,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1 (11): 101-136, 2010

      14 안진아, "사회계층 및 학벌에 따른 제약과 괜찮은 일간 관계: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20 (20): 133-153, 2019

      15 김민영, "비영리조직(NGO) 관리자들의 직업선택 동기에 대한 실증 분석: 공식화와 멘토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2 (22): 1-33, 2012

      16 김강호, "마이스터고 교육의 취업효과: 특성화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20): 1-23, 2017

      17 문순영, "돌봄노동 일자리의 일자리 질(quality of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207-237, 2008

      18 박연복,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20): 1-27, 2017

      19 하문선, "대학생의 직업가치 잠재프로파일 분류: 내적 보상, 외적 보상, 환경적 보상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7 (27): 1-21, 2014

      20 이영민,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취업준비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337-374, 2014

      21 장기영,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성과 결정요인" 한양대학교 2008

      22 정영근,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한국질서경제학회 14 (14): 19-39, 2011

      23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5 (5): 1-42, 2005

      24 윤영모,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를 찾아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3

      25 이필남, "고졸취업 확대 정책 전후 고졸취업자 일자리의 질 비교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49-74, 2014

      26 방하남, "고용의 질 : 거시․기업․개인 수준에서의 지표개발과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07

      27 손지아,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고용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1 (11): 131-166, 2011

      28 Hoffmann, P., "Weather pattern classification to represent the urban heat island in present and future climate" 52 (52): 2699-2714, 2013

      29 Blustein, D. L., "The psychology of working:A new perspective for career development, counseling, and public policy" Routledge 2006

      30 Duffy, R. D., "The development and inital validation of the decent work scale" 64 (64): 206-221, 2017

      31 Makles, A., "Stata tip 110 : How to get the optimal k-means cluster solution" 12 (12): 347-351, 2012

      32 Anker, R.,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142 (142): 147-177, 2003

      33 Schwarz, A., "Lokale Scoring-Modelle" Eul Verlag 2008

      34 Johnson, M. K., "Educational pathways and work value trajectories" 45 (45): 113-138, 2002

      35 Hackman, J. 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60 (60): 159-, 1975

      36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tor-General to the 87th Sess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1999

      37 신명호, "4년제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따른 잠재집단분석과 취업소요기간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19): 173-201, 2016

      38 통계청, "2019년 사회조사 결과(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 노동)"

      39 최희경,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의 노인 돌봄 서비스직에 대한 적용" 사회복지연구소 21 : 27-5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