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뇌 겉질에서 미세혈관 내피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영태학적, 기능적 관찰을 통해 생체외 혈액뇌관문 모델을 확립하였다. 배양을 시작한 후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는 방추모양으로 자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91170
2003
Korean
51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57-265(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의 뇌 겉질에서 미세혈관 내피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영태학적, 기능적 관찰을 통해 생체외 혈액뇌관문 모델을 확립하였다. 배양을 시작한 후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는 방추모양으로 자랐...
소의 뇌 겉질에서 미세혈관 내피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영태학적, 기능적 관찰을 통해 생체외 혈액뇌관문 모델을 확립하였다. 배양을 시작한 후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는 방추모양으로 자랐으며 배양 후 6-7일 경에 세포들이 소용돌이치는 형태의 특정적인 단층을 형성하였다. 내피세포사이에는 생체내에서와 같이 치밀이음부가 행성되어 있었으며 내피세포 단층의 전기저항은 배양 후 11일 경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γ GTP 활성도 (1791.5±397.8nmol/min/mg protein)는 높은 연이었다. 형광면역염색에서 anti-vWF, anti-Zo-lanti-vimentin anti-fibronectin 항체에 대한 반응이 있었으나 별아교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신경세포에 각각 특정적 A로 반응하는 anti-GFAP, anti-GalC, anti-neurofilament l60/200kD 항체에 대한 면역반응은 없었다. 세포간이 동모델약물의 이동도는 mannitol> sucrose> PEG-4000 순이었으며 세포막 이동모델약물인 progesterone 과 propranolol 의 이동도는 10-5cm/sec 대의 높은 이동도를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다공막에 배양된 소의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의 단층이 생체외 혈액뇌관문 모델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 약물의 개발이나 혈액뇌관문을 통한 약물의 이동 기전을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 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 Vitro blood-brain barrier (BBB) model was established with bovine brain iniciovessel endothelial cells (BBMECs) The charactenstics of BBMEC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studies BBMECs began to grow as spindle shaped cells an...
The In Vitro blood-brain barrier (BBB) model was established with bovine brain iniciovessel endothelial cells (BBMECs) The charactenstics of BBMEC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studies BBMECs began to grow as spindle shaped cells and distinctly formed the monolayer of whirling appearance by 6 to 7 days after plating
Trans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of the monolayer increased through 11 days and then started to decrease
The Y-GTP activity (1791.5±397.8 nmol/min/mg of protei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15.0±7.8 μmol/mm/mg of piotein) were high BBMECs in culture were characterized by the binding of anti-vWF anti-Z0-1, anti-vimentin, and anti-fibronectin antibodies They failed to react with anti-GFAP, anti-Gaic, and anti-neuiofilament l60/200kD antibodies markers for astrocyte oligodendrocyte and neuron respectively Decreasing older of the permeability through the BBMEC monolayers of paracellular transprt model drugs was mannitol, suciose, and PEG-4000 The permeability of transcellular transport model drugs, progesterone and propranolol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paracellular transpoit model drugs
The BBMECs cultured on porous membrane have been qualified as an In Vitro BBB model and also can be used for the BBB transport study m the drug development and for the BBB transport mechanism of drugs
흰쥐 사이뇌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관한 연구
허혈후 재관류된 흰쥐의 앞정강근과 가자미근에서 주령에 따라 관찰되는 Bcl-2와 Bax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한국인 시신 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연계연구
흰쥐 대뇌의 국소허혈로 유발되는 신경세포의 세포사멸사(apoptosis)와Apoptosis Inducing Factor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