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16년도에 개봉한 한국 재난영화 〈부산행〉(2016)과 〈터널〉(2016)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의 국가적 트라우마를 들여다보고 이 두 영화가 어떠한 비판적인 시선으로 이 트라우마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14939
2020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229-259(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이 논문은 2016년도에 개봉한 한국 재난영화 〈부산행〉(2016)과 〈터널〉(2016)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의 국가적 트라우마를 들여다보고 이 두 영화가 어떠한 비판적인 시선으로 이 트라우마들...
이 논문은 2016년도에 개봉한 한국 재난영화 〈부산행〉(2016)과 〈터널〉(2016)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의 국가적 트라우마를 들여다보고 이 두 영화가 어떠한 비판적인 시선으로 이 트라우마들과 이를 둘러싼 사회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그려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두 영화는 최근 한국에서 일어난 인재를 소재화했는데, 부조리한 사회 제도와 해당 국가기관 및 담당자에 대한 자체비판뿐만 아니라 이 사건들이 일어나게 된 이유와 그 해결책을 찾으려고 애쓰는 대중들 사이에서 폭넓은 토론을 이끌어냈다. 특히 본 논문은 사회문제에 기반을 둔 재난영화들이 어떤 배경에서 제작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이유로 한국관객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게 됐는지에 대해 영화 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블록버스터 영화 장르에도 속하는 한국의 재난영화가 관객을 “즐겁게” 해주는 역할만 하고 있지 않는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현대 한국사회의 트라우마를 담고 있는 이 영화들은 해당 사건을 보도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기능하여 집단적 공감을 얻으면서 현 사회를 비판한다.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물리적 및 영화적 리얼리티 사이의 안전거리가 깨진 트라우마들은 관객들에게 이 충격적인 경험들이 영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관객들에게 이 재난영화들은 이 사건들이 잊혀지거나 침묵을 강요당하거나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재난영화를 향한 관객들의 의도는 어쩌면 위급한 상황에 대한 비판을 넘어 인류의 윤리적 태도를 재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로 태어나는 것을 기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ewly introduced Korean national trauma and the country’s cinematic criticism of society and people from different social groups, as they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recent releases of Korean disaster films, Train to Bu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ewly introduced Korean national trauma and the country’s cinematic criticism of society and people from different social groups, as they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recent releases of Korean disaster films, Train to Busan (2016) and Tunnel (2016). Both films depict manmade disasters which happened in modern South Korean society characterized with an absence of justice and are remembered as traumatic by South Korean citizens. They led to a wide discussion in the public that tried to find the reasons and solutions related to such issues, as well as to a self-criticism revolving around the social system and authoritie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question of which background these socially based disaster films are produced in and how/why they have received the enthusiastic support of the Korean audience, from a film sociological perspectiv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at the Korean disaster film belonging to the blockbuster film plays a role not only as one of the important entertainment film genres which aim is to make the audience ‘pleasant.’ Depicting traumas of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these films serve also to criticize society, ‘using a powerful method for reporting and getting collective empathy.’ The traumas based on the real events the safe distance between physical and cinematic reality is broken, the films remind the audience of the traumatic experiences which don’t exist only in the film, but also could be theirs. For the audience these disaster films show that their subjects should not be forgotten, silenced or repeated. The audience’s intention toward these disaster films may be to reconfirm the ethical attitudes of humanity, beyond the criticism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ticipate are a reborn n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은우, "한국 재난영화의 탄생과 국가적 트라우마의 반복: 위기영화로서의 <해운대>의 판타지 분석" 한국이론사회학회 (33) : 45-106, 2018
2 한송희,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7 (27): 98-166, 2019
3 이윤종, "좀비는 정동될 수 있는가?: 「부산행」에 나타난 신자유주의 시대의 정동과 여성 생존자의 미래" 한국여성문학학회 (39) : 67-100, 2016
4 이철, "좀비가 자본주의를 만났을 때- 영화 〈부산행〉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78) : 201-243, 2017
5 성경숙, "“The Truth Shall Not Sink”: Korean Documentary Film and the Fall of Park Geun-hye"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Plus 사업단 11 (11): 83-103, 2018
6 Luckhurst, Roger, "Zombies: A Cultural History" Reaction Books 2015
7 Borowiec, Steven, "The South Korean Ferry Tragedy has Exposed a Bitter Political Divide"
8 Santas, Constantine, "The Epic in Film: From Myth to Blockbuster"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8
9 The Guardian, "South Korean Ferry in Which Hundreds Died Raised after Three Years"
10 Utin, Pablo, "Sliding Through Genres: The Slippery Structure in South Korean Films" 8 (8): 45-58, 2016
1 주은우, "한국 재난영화의 탄생과 국가적 트라우마의 반복: 위기영화로서의 <해운대>의 판타지 분석" 한국이론사회학회 (33) : 45-106, 2018
2 한송희,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7 (27): 98-166, 2019
3 이윤종, "좀비는 정동될 수 있는가?: 「부산행」에 나타난 신자유주의 시대의 정동과 여성 생존자의 미래" 한국여성문학학회 (39) : 67-100, 2016
4 이철, "좀비가 자본주의를 만났을 때- 영화 〈부산행〉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78) : 201-243, 2017
5 성경숙, "“The Truth Shall Not Sink”: Korean Documentary Film and the Fall of Park Geun-hye"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Plus 사업단 11 (11): 83-103, 2018
6 Luckhurst, Roger, "Zombies: A Cultural History" Reaction Books 2015
7 Borowiec, Steven, "The South Korean Ferry Tragedy has Exposed a Bitter Political Divide"
8 Santas, Constantine, "The Epic in Film: From Myth to Blockbuster"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8
9 The Guardian, "South Korean Ferry in Which Hundreds Died Raised after Three Years"
10 Utin, Pablo, "Sliding Through Genres: The Slippery Structure in South Korean Films" 8 (8): 45-58, 2016
11 Quarantelli, E. L., "Realities and Mythologies in Disaster Films" 11 (11): 31-44, 1985
12 Kim, Dong-chun, "Reading Korea with trauma" Historical Criticism 2015
13 Yu, In-kyoung, "People met by Yu In-kyoung: ‘Dr. Woo, Seok-hoon of 『An unloadable boat』,’ Park Geun-hye’s government after the sinking of Sewol ferry, ‘capitalist property’ has become apparent"
14 Angeliki Katsarou, "Notes on a Korean Scandal: The Blockbuster Social Critique of Veteran"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Plus 사업단 11 (11): 41-62, 2018
15 Neal, Arthur G., "National Trauma and Collective Memory: Extraordinary Events in the American Experience" M.E. Sharpe 2005
16 "National Trauma Institute"
17 Choi, Nam-ju, "MERS Shock: Mischievous government... The silent Blue House, the acting Prime Minister goes abroad, and the Ministry of Welfare insists that hospitals cannot be released"
18 "Korean Film Council"
19 Lewis, Simon, "Hundreds of South Korean victims of Toxic Disinfectant File Lawsuit"
20 Lee Seung-gu, "Glossary of film term" Korean Film Council 2015
21 Kroner, Marion, "Film-Spiegel der Gesellschaft? Inhaltanalyse des jungen deutschen Films von 1962 bis 1969" Quelle & Meyer 1973
22 Baek, Seung-chan, "Fever of social-critical films: Is it the commercialization of justice or the recall of justice?"
23 Kim, Gooyong, "Eros Effect as Emergency Politics: Affective and Networked Politics of Agonistic Humanism in South Korea’s Sewol Ferry Disaster" 38 (38): 160-177, 2016
24 Keane, Stephen, "Disaster Movies: The Cinema of Catastrophe" Wallflower 2001
25 Morin, Edgar, "Der Mensch und das Kino. Eine anthropologische Untersuchung" Ernst Klett 1958
26 Erll, Astrid,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Handbook" Walter de Gruyter 2008
27 Jenkins, Nash, "Charges Filed after a Branded Disinfectant is Linked to at least 70 Deaths in South Korea"
28 McGee, Patrick, "Bad History and the Logics of Blockbuster Cinema: Titanic, Gangs of New York, Australia, Inglorious Basterds" Palgrave Macmillan 2012
29 Woo, Seok-hoon, "An unloadable boat" Woongjin Knowledge House 2014
화양연화:불충족의 욕망과 불가능한 욕망의 어긋남에 대하여
<비무장지대>(1965)에서 나타난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북한 전쟁영화와 기록영화 속 미국(군) 표상 연구: 6⋅25 전쟁과 그 전후(前後) 시기를 중심으로
간격의 영화와 소수자 정체성 번역하기: 트린 민하의 <재집합>과 <그녀의 이름은 베트남>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9-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6-04-0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영화연구외국어명 : Film Studies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58 | 0.58 | 0.59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58 | 0.55 | 1.055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