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교 경전에 나타난 마음챙김의 요소와 치유 = A Study of factors and materials of Mindfulness in Unification Church can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2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인들은 심리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우울감, 상실감 등 정신적인 질병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심인성에 의한 질병들은 약물치료로 완화되기도 하지만 근원적인 치료는 쉽지 않다. 이러한 질병들의 치료는 먼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안정과 치료를 위한 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 날 심리치료를 위해 심리학에 기반을 둔 여러 치료법들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불교 심리학에 기반을 둔 마음챙김을 기초로 한 치료기법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서양에서는 정신분석, 인지행동, 게슈탈트 등의 기존 심리치료 기법들에 불교 위빠사나 명사에 근원을 둔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하여 심리치료의 새로운 기재로 삼고 있다. 마음챙김은 불교 핵심용어 사티(sati)의 한국어 번역어인데 의도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대상과 현상을 분별없이 주시하므로 자각과 통찰력이 강화되어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마음챙김을 통해서 집착과 인지 오류에서 일어나는 정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교 경전에 나타나는 마음 작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그 메커니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마음챙김의 적용과 치유의 기재를 고찰하고자 한다. 즉 통일교 관점에서 인간의 구원을 위한 교리와 사역에서 어떤 마음챙김의 요인과 기재가 있고 그 기재가 어떻게 치유에 적용되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현대인들은 심리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우울감, 상실감 등 정신적인 질병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심인성에 의한 질병들은 약물치료로 완화되기도 하지만 근원적인 치료는 쉽지 않다. ...

      현대인들은 심리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우울감, 상실감 등 정신적인 질병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심인성에 의한 질병들은 약물치료로 완화되기도 하지만 근원적인 치료는 쉽지 않다. 이러한 질병들의 치료는 먼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안정과 치료를 위한 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 날 심리치료를 위해 심리학에 기반을 둔 여러 치료법들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불교 심리학에 기반을 둔 마음챙김을 기초로 한 치료기법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서양에서는 정신분석, 인지행동, 게슈탈트 등의 기존 심리치료 기법들에 불교 위빠사나 명사에 근원을 둔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하여 심리치료의 새로운 기재로 삼고 있다. 마음챙김은 불교 핵심용어 사티(sati)의 한국어 번역어인데 의도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대상과 현상을 분별없이 주시하므로 자각과 통찰력이 강화되어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마음챙김을 통해서 집착과 인지 오류에서 일어나는 정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교 경전에 나타나는 마음 작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그 메커니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마음챙김의 적용과 치유의 기재를 고찰하고자 한다. 즉 통일교 관점에서 인간의 구원을 위한 교리와 사역에서 어떤 마음챙김의 요인과 기재가 있고 그 기재가 어떻게 치유에 적용되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people in these days suffer from psychogenic pain associated with emotional distress. They confront feelings of sadness, emptiness and anxiety in a highly tense and competitive situation. These mental illnesses cause emotional pain as well as physical pain. Some medications can help relieve the psychogenic pain temporarily but it may not completely alleviate the pain. People with psychogenic pain need to feel stable emotionally, physically, and socially. The psychogenic disease can be alleviated by both psychotherapy and medication. Psychogenic treatment should be combined with psychological therapy and physiological therapy. Therefore, it should be a priority to fin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illness. Nowadays, various psychotherapy techniques based on psychology are being used.
      After 1970s, meditation is used for psychotherapy techniques. In western, the treatment based on meditation for psychoanalysis, cognitive behavior and Gestalt is generalized. The meditation psychotherapy based on ‘sati’ which is a key factors of vipassana. pāli ‘sati’ is translated into ‘mindfulness’ in English. ‘Mindfulness’ is not intentionally judging but focusing the moment of present. Thus, vipassana refers to look objectively on the subject without discernment. If we observe objectively between the subject and phenomenon without discernment, the perception and the insight will be reinforced to accept the moment of present unjudgmentally. Sense and mindfulness of sense target is freed from the pain which is caused by discrimination and obsession. This article review the mechanism of treatment, the understanding of mind works mechanism and the factor of ‘mindfulness’ in Unification church canon.
      Unification church at also as the religion is oriented for the purpose of man’s salvation, other words freedom and liberations. This paper is to study the factors materials of mindfulness in Unification canons.
      번역하기

      Most people in these days suffer from psychogenic pain associated with emotional distress. They confront feelings of sadness, emptiness and anxiety in a highly tense and competitive situation. These mental illnesses cause emotional pain as well as phy...

      Most people in these days suffer from psychogenic pain associated with emotional distress. They confront feelings of sadness, emptiness and anxiety in a highly tense and competitive situation. These mental illnesses cause emotional pain as well as physical pain. Some medications can help relieve the psychogenic pain temporarily but it may not completely alleviate the pain. People with psychogenic pain need to feel stable emotionally, physically, and socially. The psychogenic disease can be alleviated by both psychotherapy and medication. Psychogenic treatment should be combined with psychological therapy and physiological therapy. Therefore, it should be a priority to fin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illness. Nowadays, various psychotherapy techniques based on psychology are being used.
      After 1970s, meditation is used for psychotherapy techniques. In western, the treatment based on meditation for psychoanalysis, cognitive behavior and Gestalt is generalized. The meditation psychotherapy based on ‘sati’ which is a key factors of vipassana. pāli ‘sati’ is translated into ‘mindfulness’ in English. ‘Mindfulness’ is not intentionally judging but focusing the moment of present. Thus, vipassana refers to look objectively on the subject without discernment. If we observe objectively between the subject and phenomenon without discernment, the perception and the insight will be reinforced to accept the moment of present unjudgmentally. Sense and mindfulness of sense target is freed from the pain which is caused by discrimination and obsession. This article review the mechanism of treatment, the understanding of mind works mechanism and the factor of ‘mindfulness’ in Unification church canon.
      Unification church at also as the religion is oriented for the purpose of man’s salvation, other words freedom and liberations. This paper is to study the factors materials of mindfulness in Unification can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마음챙김과 치유
      • Ⅲ. 마음챙김을 통한 심정의 회복과 치유
      • Ⅳ. 맺음말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마음챙김과 치유
      • Ⅲ. 마음챙김을 통한 심정의 회복과 치유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일사상연구원, "통일사상요강" 성화출판사 1993

      2 정준영, "초기불교의 사띠(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2, 2010

      3 붓다고사, "청정도론 Ⅰ·Ⅱ·Ⅲ" 초기불전연구원 2009

      4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천성경" ㈜성화출판사 2013

      5 이만, "유식학개론" 민족사 2005

      6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원리강론" 성화사 1994

      7 대림스님, "아비담마길라잡이 상·하" 초기불전연구원 2004

      8 Jon Kabat-Zinn, "마음챙김명상과 자기 치유 상·하" 학지사 2005

      9 각묵스님, "네가지 마음챙기는 공부" 초기불전연구원 2008

      10 대한성서공회, "관주 성경전서" 보진재 1962

      1 통일사상연구원, "통일사상요강" 성화출판사 1993

      2 정준영, "초기불교의 사띠(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2, 2010

      3 붓다고사, "청정도론 Ⅰ·Ⅱ·Ⅲ" 초기불전연구원 2009

      4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천성경" ㈜성화출판사 2013

      5 이만, "유식학개론" 민족사 2005

      6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원리강론" 성화사 1994

      7 대림스님, "아비담마길라잡이 상·하" 초기불전연구원 2004

      8 Jon Kabat-Zinn, "마음챙김명상과 자기 치유 상·하" 학지사 2005

      9 각묵스님, "네가지 마음챙기는 공부" 초기불전연구원 2008

      10 대한성서공회, "관주 성경전서" 보진재 1962

      11 Tse-fu Kuan, "Mindfulness in Early Buddhism" Routledge 2008

      12 Christopher K. Germer,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Yhe Gulford Press 2005

      13 Fabrizio Didonna, "Clinical Handbook of Mindfulness" Springer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