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하운(1919-75)은 나환자로서의 위치를 직접 드러내면서 시, 산문, 소설 등 여 러 형식의 글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발언한 인물이다. 그의 자전(自傳) 은 그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73086
2012
Korean
나환(한센병) ; 한하운 ; 고백 ; 자전(自傳) ; 우생학 ; 민족주의 ; 멜랑콜리 ; 반공주의 ; 낙인 ; 정치적 무의식 ; Leprosy(Hansen`s disease) ; Han Ha-un ; confession ; autobiography ; eugenics ; Nationalism ; melancholy ; anticommunism ; Stigma ; political unconsciousness
331
KCI등재
학술저널
297-332(36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하운(1919-75)은 나환자로서의 위치를 직접 드러내면서 시, 산문, 소설 등 여 러 형식의 글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발언한 인물이다. 그의 자전(自傳) 은 그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
한하운(1919-75)은 나환자로서의 위치를 직접 드러내면서 시, 산문, 소설 등 여 러 형식의 글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발언한 인물이다. 그의 자전(自傳) 은 그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일제 식민지배에서 유신독재를 내리긋는 비극적 연대 기이며 그것은 또 한국 나환자들의 슬픈 역사가 새겨진 문신(紋身)이다. 한하운(의 자전)을 ‘역사적 신체’로 부른 것은 그런 그(의 자전)의 특수하면서도 보편적인 위 치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하운의 삶과 문학이 갖는 의미는 나환자로서의 고통과 한(恨)을 문학적으로 승화시켰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엇보다 그에게 ‘문학’이 어떤 무엇을 ‘고백’하기 위한 장치였다는 점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 점에 방점을 두면서, 이 글에서는 한하운의 산문집 『나의 슬픈 반생기(半生記)』(1958)와 소설 「사랑은 슬 픈 것인가」(1977)를 주요 대상으로 삼아 그 이면에 흐르는 고백의 욕망, 즉 그는 무엇을 고백하는지(아니 무엇을 고백하고자 하는지), 그리고 그의 고백에서 무엇이 말해지고 있는지를 읽음으로써 서러움의 정치적 무의식에 다가서고자 했다. 한하운의 고백에서 서러움의 감정은 일제와 히틀러가 패망하는 상황 속에서 민족과 국가 전체를 가리키는 환유적 감정으로 확장된다. 그것을 이 글에서는 신체 서사, 민족 서사, 사랑 서사로 구분하여 읽었다. 한하운의 민족의식과 신체론은 근대 의학담론의 제국주의적 시선과 개발근대의 논리와 맥을 같이한다. 나병 치유 에 대한 그의 확신은 ‘우생학’에 기초한 식민규율과 사회적 약자의 해방을 추구했던 나치의 파시즘과 맞닿아 있다. 한편 멜랑콜리한 사랑의 서사는 해방공간을 전후한 시기를 거쳐 월남에 이르는 동안 ‘반공주의’라는 새로운 대상을 발견하면서 점차 희미해진다. 한하운의 자전적 고백은 그가 ‘서러운 조국’인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편입되고자 했던 흔적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we know, Han Ha-un(1919-1975) made ‘speeches’ about his position positively through his poems, proses, novels, and other genre and forms, manifesting his situation as a leper. His autobiography is a tragic chronicle running from Japanese coloni...
As we know, Han Ha-un(1919-1975) made ‘speeches’ about his position positively through his poems, proses, novels, and other genre and forms, manifesting his situation as a leper. His autobiography is a tragic chronicle running from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o Yushin dictatorship, and it’s not limited to himself, but expanded to a tattoo of the history of Korean lepers. The reason he or his autobiography is called as a ‘historical body’ is derived from such a s pe cial a nd u nive rsal p osition. The me aning of H an H a-un’s l ife and his lite rature can n ot be shown enough by simply mentioning that he sublimated the pain and ‘Han’ (kind of sorrow and regret in Korean) as a leper literally. Above all, it is remarkable that ‘Literature’ for him is a device to ‘confess’ something. Marking the point, this paper studied Han Ha-un’s collection of prose, _An account of my sad half life_(1958) and his novel, _Love is something sad_(1977). We can get closer to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sorrow by reading the desire of confession hidden in the lines, that is, what he confesses (or what he intends to confess) and ‘what’ is said in his confession. The guilt is developed to ‘the brevity of it’ with the collaps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Nazism, and his sorrow turns to metonymic feeling, extending to ethenic and national sense. It is read, divided to body narrative, national narrative, love narrative. Han Ha-un’s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ory of the body are in the same context as the imperial perspective of modern medical discourse s and the l ogic o f de ve lopme nt m ode rnity. T he narrative of colonial regulations and his confidence of a recovery from leprosy based on ‘Eugenics’ is quite close to the logic of Nazism that pursue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s liberation. At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of melancholy love becomes dim, finding a new object called ‘Anti-communism’, passing through the times of Pacific War. Through the confession of his half life, he tried to be a member of society, a citizen of his ‘sad country’,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우,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정재석, "해방기의 귀환 서사, 결속의 상상력과 균열의 시학" (2) : 2007
3 최명표, "한하운 시의 정치시학적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6집) : 345-365, 2005
4 서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2005
5 국사편찬위원회, "한센병, 고통의 기억과 질병 정책, In 구술사료선집 1" 2005
6 정근식, "한국에서의 근대적 나 구료의 형성" (창간) : 1997
7 대한나관리협회, "한국나병사"
8 여인석, "한국근대 선교의료기관의 형성과 성격" 국학연구원 (139) : 105-136, 2007
9 신동원, "한국 근대성 연구의 길을 묻다" 돌베개 2006
10 인천문화재단 한하운전집 편집위원회, "하운 전집" 문학과지성사 2010
1 박진우, "호모 사케르 :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정재석, "해방기의 귀환 서사, 결속의 상상력과 균열의 시학" (2) : 2007
3 최명표, "한하운 시의 정치시학적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6집) : 345-365, 2005
4 서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2005
5 국사편찬위원회, "한센병, 고통의 기억과 질병 정책, In 구술사료선집 1" 2005
6 정근식, "한국에서의 근대적 나 구료의 형성" (창간) : 1997
7 대한나관리협회, "한국나병사"
8 여인석, "한국근대 선교의료기관의 형성과 성격" 국학연구원 (139) : 105-136, 2007
9 신동원, "한국 근대성 연구의 길을 묻다" 돌베개 2006
10 인천문화재단 한하운전집 편집위원회, "하운 전집" 문학과지성사 2010
11 Kevin Passmore, "파시즘" 뿌리와이파리 2007
12 김윤식, "천형과 시인―한하운론, In 한국현대시론비판" 일지사 1975
13 정근식, "질병공동체의 해체와 이주의 네트웍: 두 정착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9) : 41-79, 2006
14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한의사학회 12 (12): 2-128, 2003
15 Dominik LaCapra, "정전, 텍스트, 콘텍스트, In 치유의 역사학으로" 푸른역사 2008
16 Hannah Arendt, "전체주의의 기원2" 한길사 2006
17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0
18 김예림, "전시기 오락정책과 '문화'로서의 우생학" 역사문제연구소 (73) : 325-350, 2005
19 崔晶基, "일제하 조선의 나(癩)환자 통제에 대한 일연구 : 나환자 관리조직을 중심으로"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4
20 박윤재, "일제의 한의학 정책과 조선 지배" 대한의사학회 17 (17): 75-86, 2008
21 정근식, "일제 말기 소록도갱생원과 이춘상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72) : 330-359, 2005
22 박유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23 문화/과학편집위원회, "역사적 파시즘과 ‘파시즘 X’" (여름) : 2009
24 이명호, "역사적 외상의 재현(불가능성): 홀로코스트 담론에 대한 비판적 읽기" 한국비평이론학회 10 (10): 125-154, 2005
25 Dominik LaCapra, "역사 쓰기, 트라우마 쓰기, In 치유의 역사학으로" 푸른역사 8-, 2008
26 林鐘明, "여순사건의 再現과 暴力" 한국근현대사학회 (32) : 103-132, 2005
27 조형근, "식민지체제와 의료적 규율화, In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28 정근식, "식민지지배, 신체규율, ‘건강’, In 생활 속의 식민지주의" 도서출판 산처럼 2007
29 정근식, "식민지적 근대’와 신체의 정치―일제하 나(癩) 요양원을 중심으로" 51 : 1997
30 Erving Goffman, "스티그마: 장애의 세계와 사회적응" 한신대학교출판부 2009-, 1986
31 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록도 한센병환자의 강제노역에 관한 조사"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6
32 김기주, "소록도 자혜의원 나환자정책의 성격" 호남사학회 (44) : 221-274, 2011
33 심전황, "소록도 반세기" 전남매일출판국 1979
34 Michel Paul Foucault,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 나남 2004
35 水野直樹, "생활 속의식민지주의" 도서출판 산처럼 2007-, 2004
36 류시현,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역사문제연구소 (74) : 311-314, 2006
37 정근식, "사회적 타자의 자전문학과 몸- 심승의 '나문학'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23) : 323-351, 2004
38 김행선, "박정희와 유신체제" 선인출판사 2006
39 성기조, "문둥이가 아니란 한하운의 절규―한국문단, 남기고 싶은 이야기 6" 2006
40 정근식, "또 하나의 고향 우리들의 풍경" 국립소록도병원 2011
41 정근식, "동아시아 한센병사 연구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학회 12 : 5-41, 2002
42 한순미, "나환의 기억과 서사적 욕망:맥락과 징후" 국어국문학회 (155) : 357-384, 2010
43 한순미, "나환과 소문, 소록도의 기억 - 나환 인식과 규율체제의 형성에 관한 언술 분석적 접근" 역사문화학회 13 (13): 441-476, 2010
44 이종협, "나는 나는 죽어서 파랑새되리" 도서출판 부름 1984
45 홍일표,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 1997
46 Jacques Derrida, "그라마톨로지" 민음사 1996
47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 서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2005
48 정근식, "구술사로 본 한국 한센인의 경험과 고통, In 한센병, 고통의기억과 질병 정책??(구술사료선집 1)" 국사편찬위원회 2005
49 김신정, "고통의 객관화와 “인간”을 향한 희구―한하운의 삶과 시" 한국문학연구학회 7 : 1996
50 小森陽一, "감성의 근대, 1870-1910년대 Ⅱ" 소명출판 2011-, 2002
51 최정기, "감금의 정치" 책세상 2005
52 김창직, "가도 가도 황톳길: 비운의 시인 한하운의 시와 생애" 지문사 1982
53 鄭根埴, "植民地主義の日常支配―朝鮮ハンセン病の二十世紀ㆍ十枚 の写真から" 1 (1): 2007
54 Fredric Jameson, "On Interpretation: Literary as a Socially Symbolic Act, In The Political Unconscious: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55 정근식, "20세기 한국사회의 변동과 근대성" 10 : 1999
56 이승원, "20세기 초 위생담론과 근대적 신체의 탄생" (여름) : 2001
57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선인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11 | 1.71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