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공동체의식과 토론참여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57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sense of community and learners' participations in online discussions and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satisfactions in 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sense of community and learners' participations in online discussions and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satisfactions in a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for facilitating learners' sense of community wer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sense of community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ypes of messages which learners wrote in online discussion bulletin boards showed that the percentage for each type of the messages in two groups with relatively high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as approximately 30% for social messages, 30% for interactive messages, 30% for cognitive messages, and 10% for meta-cognitive messag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operating online collaborative courses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훈, "인터넷을 활용한 가상수업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및 교육 효과 연구" 14 (14): 103-136, 1998

      2 임규연,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 정영숙, "웹 기반 강좌에서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51-75, 2006

      4 김정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73-92, 2009

      5 윤순경,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토론 메시지와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11-135, 2008

      6 이동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0 (20): 51-71, 2004

      7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8 정민승, "사이버 공간과 평생학습" 교육과학사 2002

      9 정혜선, "메시지 내용분석을 통한 전자우편의 교육적 활용연구" 14 (14): 167-186, 1998

      10 Cadieux, C. P., "Variables associated with a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and academic persistence in an urban community college online setting" Old Dominion University 2002

      1 임정훈, "인터넷을 활용한 가상수업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및 교육 효과 연구" 14 (14): 103-136, 1998

      2 임규연,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 정영숙, "웹 기반 강좌에서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51-75, 2006

      4 김정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73-92, 2009

      5 윤순경,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토론 메시지와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11-135, 2008

      6 이동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0 (20): 51-71, 2004

      7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8 정민승, "사이버 공간과 평생학습" 교육과학사 2002

      9 정혜선, "메시지 내용분석을 통한 전자우편의 교육적 활용연구" 14 (14): 167-186, 1998

      10 Cadieux, C. P., "Variables associated with a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and academic persistence in an urban community college online setting" Old Dominion University 2002

      11 Sarason, S. B.,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erspectives for community psychology" Jossey-Bass 1974

      12 Ungerm D. C., "The importance of neighbors: The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of neighboring" 13 : 139-169, 1985

      13 Lee, D., "Students' sense of community for promoting interactions among studen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2 (2): 139-155, 2006

      14 Chapman, D., "Strong community, deep learning: Exploring the link" 42 (42): 217-230, 2005

      15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14): 6-23, 1986

      16 Misanchuk, M. G.,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distance education program" Indiana University 2003

      17 Rovai, A. P., "Sense of community, perceived cognitive learning and persistence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 : 319-332, 2002

      18 Lee, D., "Sense of co-accomplishment in collaborative work as threshold in establishing a sense of community in an online course"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4

      19 Perkins, D. D.,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of residential blocks: Crime and community context" 18 (18): 83-115, 1990

      20 Jarvenpaa, S. L., "Is anybody out there? Antecedents of trust in global virtual teams" 14 (14): 29-64, 1998

      21 Ke, F.,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948-949, 2006

      22 Moller, L. A., "Identifying factors that effect learn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a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1 (1): 293-305, 2000

      23 Henri, F., "Computer Conferencing and Content Analysis. in: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Spinger-Verlag 116-136, 1992

      24 Berg, G. A., "Community in distance learning through virtual teams" 12 : 23-29, 1999

      25 Haythornthwaite, C., "Community development among distance learners: Temporal and technological dimensions" 6 (6): 2000

      26 이미혜,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 ions) 토론학습에서 나타난 학습자 유형별 메시지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7 Herrmann, F., "Building on-line communities of practice: An example and implications" 38 (38): 16-23, 1998

      28 Stein, J. J., "Asynchrou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Wayne State University 1997

      29 Rovai, A. P., "An examination of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and learning among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graduate students" 9 (9): 77-9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송통신교육연구소 -> 원격교육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4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