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수출ㆍ입관리제도의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mport-export Management System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7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characteristics of Import-export management system and foreign trade policy in China and the presentation of our defense measures against these policies. China’s foreign trade management systems include a pre-permission syste...

      This article focuses on characteristics of Import-export management system and foreign trade policy in China and the presentation of our defense measures against these policies. China’s foreign trade management systems include a pre-permission system of trade items, a quota system which limits the quantity of trade items and foreign investment regulation, foreign exchange control of regular trade, customs proceeds and duties.
      From the position of our country we need to consider implementing possible counter measures to those of China. Many Korean companies have opened businesses in China for simple trade or the assembling of parts. China’s customs clearance, however, is very complicated and to clear customs is very time consuming. Customs duties are also higher than in Korea on electronic and other general goods. Therefore this duty must be decreased and custom clearance simplified to enhanc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ean companies must try to expand investment to other regions in China and not only focus on the eastern coast but also on central or west inland areas. The companies must further change from a simple process trade system of using “cheap labor”, to the sale of high-valued items such as electronic goods or semi-condu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중국의 수출관리제도
      • Ⅲ. 중국의 수입관리제도
      • Ⅳ. 중국의 수출ㆍ입관리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 Abstract
      • Ⅰ. 서론
      • Ⅱ. 중국의 수출관리제도
      • Ⅲ. 중국의 수입관리제도
      • Ⅳ. 중국의 수출ㆍ입관리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 Ⅴ. 결론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예리, "중국통상법의 접근방법과 교육" 한국동북아학회 14 (14): 5-24, 2009

      2 이덕무, "중국의 투자환경에 따른 효율적인 현지법인 설립방안" 한국무역학회 2004

      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국의 유통시장 현황" 2002

      4 정재열, "중국의 무역 및 통관관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37 (37): 2004

      5 이정표, "중국 대외무역법 개정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0 (20): 17-36, 2005

      6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감"

      7 國家信息中心, "十五기간國民經濟證長格國豫測分析, “十五” 規劃戰略硏究(上)" 中國人民出版社 2000

      8 "中華人民共和國對外貿易法"

      9 耿慶式, "中國區域經濟發展" 壹灣: 聯經 2002

      10 "http://stat.kita.net/top/state"

      1 유예리, "중국통상법의 접근방법과 교육" 한국동북아학회 14 (14): 5-24, 2009

      2 이덕무, "중국의 투자환경에 따른 효율적인 현지법인 설립방안" 한국무역학회 2004

      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국의 유통시장 현황" 2002

      4 정재열, "중국의 무역 및 통관관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37 (37): 2004

      5 이정표, "중국 대외무역법 개정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0 (20): 17-36, 2005

      6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감"

      7 國家信息中心, "十五기간國民經濟證長格國豫測分析, “十五” 規劃戰略硏究(上)" 中國人民出版社 2000

      8 "中華人民共和國對外貿易法"

      9 耿慶式, "中國區域經濟發展" 壹灣: 聯經 2002

      10 "http://stat.kita.net/top/state"

      11 전정기, "WTO 가입에 따른 중국의 대외무역제도개편과 우리나라의 대중국 통상정책에 관한 연 구" 한국무역학회 2002

      1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2세계비즈니스정보-중국"

      1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2WTO 이후 최신 중국경제법경집" 2002

      14 중국경제문제연구소, "2004 중국비즈니스백서" 2004

      15 國家統計局, "2002 中國國家統計摘要" 中國統計出版社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6 0.52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