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수행정법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335303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출판부, 2007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44 판사항(21)

      • ISBN

        9788986922615 93360: ₩15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특수행정법론 / 김규하 저.

      • 기타서명

        법학박사 김규하

      • 형태사항

        9, 305 p. : 삽도 ; 23 cm.

      • 일반주기명

        색인수록: p.299-305
        참고문헌: p.297-298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序章 특수행정법의 과제
      • 제1절 근대행정법과 현대행정법
      • [1] 근대행정법 = 1
      • [2] 현대행정법 = 2
      • 목차
      • 序章 특수행정법의 과제
      • 제1절 근대행정법과 현대행정법
      • [1] 근대행정법 = 1
      • [2] 현대행정법 = 2
      • [3] 이 책의 내용과 구성 = 3
      • 제2장 경찰 및 방위(군사)
      • 제1절 경찰의 개념
      • [4] 연혁 = 5
      • [5] 제 외국의 실정법상의 개념 = 5
      • [6] 개념 = 6
      • [7] 경찰의 목적 및 수단 = 7
      • [8] 경찰의 기초 = 8
      • [9] 우리나라 실정법상의 개념 = 8
      • 제2절 경찰의 영역
      • 一 경찰의 종별
      • [10] 사법경찰과 행정경찰 = 11
      • [11] 보안경찰과 협의의 행정경찰 = 11
      • [12] 국가경찰과 지방경찰 = 11
      • [13] 고등경찰과 보통경찰 = 12
      • 二 경찰조직
      • [14] 보통경찰기관 및 협의의 행정경찰기관 = 12
      • [15] 비상경찰기관 = 13
      • 三 경찰작용의 제 영역
      • [16] 보안경찰 = 14
      • [17] 행정경찰 = 23
      • 제3절 경찰작용의 형태
      • [18] 경찰명령 = 31
      • [19] 경찰허가 = 33
      • [20] 경찰강제 = 34
      • [21] 비권력적 작용 = 35
      • [22] 경찰벌 = 36
      • 제4절 경찰재량
      • [23] 개설 = 37
      • [24] 협의의 경찰재량 = 39
      • [25] 개인의 권리와 권리구제 = 43
      • 제5절 방위(군사)
      • [26] 개설 = 45
      • [27] 방위(군사)의 개념 및 기초 = 45
      • [28] 방위행정 = 46
      • [29] 군사부담 = 47
      • [30] 외국과의 방위조약 = 52
      • 제3장 공공시설과 생활환경의 정비
      • 제1절 공공시설
      • 一 공공시설의 의의 및 종류
      • [31] 공공시설의 의의 = 55
      • [32] 공공시설의 종류 = 56
      • 二 공공시설의 설치ㆍ관리ㆍ폐지
      • [33] 공공시설의 설치 = 58
      • [34] 공공시설의 관리 = 59
      • [35] 공공시설의 폐지 = 59
      • 三 공공시설의 이용
      • [36] 자유사용 = 60
      • [37] 허가 사용 = 61
      • [38] 특허사용 = 61
      • [39] 계약체결 등에 의한 사용관계 설정 = 62
      • [40] 공공시설이용의 일반원칙 = 63
      • [41] 손해배상청구 = 63
      • [42] 사용료의 징수 = 63
      • 제2절 국토개발과 토지이용규제
      • [43] 개설 = 65
      • 一 국토의 계획적이용에 관한 제 계획
      • [44] 국토개발계획 = 66
      • [45] 국토의 계획적인 이용에 관한 기본계획 = 67
      • [46] 도시 및 주거 환경 개선 = 73
      • [47] 농촌개발계획 = 74
      • [48] 수도권 정비계획 = 75
      • [49]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 = 76
      • 二 지가공시제도 및 개발이익환수
      • [50] 부동산가격공시 및 평가제도 = 79
      • [51] 개발이익환수제도 = 80
      • 제3절 공용부담
      • 一 공용부담의 의의 및 종류
      • [52] 공용부담의 의의 = 83
      • [53] 공용부담의 종류 = 84
      • 二 인적공용부담
      • [54] 부담의 내용에 의한 종류 = 85
      • 三 물적 공용부담
      • [55] 공용제한 = 87
      • [56] 공용수용 = 89
      • [57] 공용권리변환 = 94
      • 제4장 공해방지 및 환경보전
      • 제1절 개설
      • 一 개설
      • [58] 국가이성의 병리현상 = 100
      • [59] 국익적 공리주의 이념의 전환 = 104
      • [60] 포스트ㆍ모던法理의 전망 = 106
      • 二 환경관계법의 생성 및 발전
      • [61] 공해방지법의 제정 = 108
      • [62] 환경정책기본법의 제정 = 111
      • 제2절 환경보호의 이념 및 법익과 권리론
      • 一 환경보호의 기초이념
      • [63]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대응 = 115
      • [64] 환경보호의 이념 = 116
      • [65] 보호법익론 = 122
      • [66] 환경에 관한 권리론 = 124
      • 제3절 환경법의 체계와 수단
      • [67] 국제 환경법 = 129
      • [68] 국내 환경법 = 129
      • [69] 자연환경보전법제= 139
      • [70] 공해피해구제제도 및 비용부담 = 147
      • [71] 환경기술개발 및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 151
      • [72] 환경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별조치법 = 153
      • 제5장 사회보장
      • 一 개설
      • [73] 사회보장의 개념 = 156
      • [74] 사회보장의 법체계 = 157
      • 二 노동보호
      • [75] 근로기준제도 = 161
      • [76]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제도 = 163
      • [77] 고용제도 = 171
      • [78] 산업안전 및 재해보상제도 = 178
      • 三 사회보험
      • [79] 국민연금 및 건강보호제도 = 181
      • 四 공공부조
      • [80] 생활보장제도 = 185
      • 五 사회복지
      • [81] 사회복지제도 = 189
      • 제6장 경제활동의 규제
      • 一 개설
      • [82] 경제규제행정의 발전 = 211
      • [83] 경제규제행정과 사유재산권 = 212
      • [84] 경제활동규제의 개념 = 213
      • [85] 경제활동규제의 목적 = 213
      • [86] 경제활동규제행정의 수단과 내용 = 214
      • 二 경제활동 규제의 종류
      • [87] 경제질서의 규제= 215
      • [88] 경제활동(협의)의 규제= 224
      • [89] 공기업의 규제= 238
      • 三 경제활동규제의 수단 = 245
      • 四 경제활동규제에 관한 문제점
      • [90] 광범한 행정재량 = 247
      • [91] 행정절차의 적정화 = 248
      • 제7장 재정
      • 제1절 개설
      • [92] 재정의 개념 = 251
      • [93] 재정법의 기본원칙 = 251
      • [94] 재정법의 구성 = 254
      • 제2절 예산
      • [95] 예산의 의의 및 내용 = 255
      • [96] 예산의 종류 = 256
      • [97] 예산의 편성과 성립 = 258
      • [98] 예산의 집행 = 259
      • [99] 수입 = 260
      • [100] 지출 = 261
      • [101] 결산 = 263
      • [102] 시효 = 264
      • [103] 국고금과 유가증권 = 264
      • [104] 기록과 보고 = 265
      • 제3절 채권회계
      • [105] 채권의 의의 = 267
      • [106] 채권관리기관 및 관리 = 267
      • [107] 채권의 내용변경 및 면제 = 268
      • 제4절 기업예산회계
      • [108] 총칙 = 271
      • [109] 자본 및 부채 = 272
      • [110] 자산 = 272
      • [111] 자금 = 272
      • [112] 예산 = 273
      • [113] 결산 = 274
      • 제5절 동산회계(물품관리)
      • [114] 동산회계의 의의 = 275
      • [115] 물품의 분류ㆍ표준화 및 관리기관 = 275
      • [116] 물품의 관리 = 276
      • 제6절 국유재산회계
      • [117] 개설 = 281
      • [118] 국유재산의 의의 = 281
      • [119] 총칙 = 282
      • [120] 총괄청 = 283
      • [121] 행정재산과 보존재산 = 284
      • [122] 잡종재산 = 285
      • [123] 대장과 보고 = 288
      • [124] 보칙 = 289
      • 제7절 財源
      • [125] 개설 = 291
      • [126] 조세의 의의 및 분류 = 291
      • [127] 세무행정청 = 294
      • [128] 조세의 납부와 징수 = 294
      • [129] 기타 수입원 = 296
      • 참고문헌
      • 찾아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