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쌀 포장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63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쌀산업은 농민의 가장 큰 소득원이며 국민경제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다. 그러나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 1인당 쌀 소비량 감소, 과잉생산에 따른 재고누적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쌀소비시장도 노령인구 증가, 건강지향적인 소비자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양"보다는 "질"로 변화하는 소비 전환점에 서 있으며 유통 서비스장 개방과 함께 외국 선진 유통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쌀가게 등 전문소매점을 찾기보다는 수퍼마켓이나 대형 할인점에서의 일괄구매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의 등장은 생산자가 생산, 보관, 가공, 유통 등 전과정에 참여하게 되었고 년중 균일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품질관리기술과 유통관리기술, 브랜드관리기술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유통, 판매, 소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포장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과거 정부주도의 유통에서 포장디자인의 가치란 거의 없었다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그러나 1994년 우르과이 라운드에서 다른 농산물과 함께 쌀이 일부 수입되면서부터 시장경쟁체제의 변화를 가져왔다.
      농협이나 작목반, 미곡처리장(RPC), 영농법인에서도 기능성 쌀과 고품질 쌀의 생산과 함께 고급화, 차별화 방안으로 포장디자인 개발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장디장인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미비한 상태에서 포장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가 매일 먹는 식품이면서도 그동안 유통구조의 특별함때문에 제대로 연구가 되지 않고 있던 쌀 포장디자인에 대하여 세부적인 연구보다는 전반적인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쌀포장의 성향분석을 위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농협쌀 중 20개 브랜드의 쌀포장에 대하여 브랜드 로고(Brandloge), 색체(Color system),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타이포그라피(Typography)등 시각적 조형요소와 포장형태, 포장재료 등 구조적 조형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의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대전에 거주하는 주부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통시장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습과, 구매방법, 저장방식, 소비습과, 기능성 쌀제품에 대한 인식도, 쌀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재조명해보고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경재력있는 쌀 포장디자인 개선방법을 다각적으로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국내 쌀시장은 생산자지향에서 소비자지향으로 변화되고 있고 소비계층도 세분화되는 차별화, 고급화시대로 흘러가고 있는데 반하여 국내쌀 포장 디장인은 마케팅적 측면, 시각디자인적 표현양식, 포장구조, 인쇄기법 등이 타 가곡 식품포장에 비하여 낙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구조적 개선, 심미적 개선, 사회적 개선의 3가지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접근하게 되었다.
      번역하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쌀산업은 농민의 가장 큰 소득원이며 국민경제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다. 그러나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 1인당 쌀 소비량 감소, 과잉...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쌀산업은 농민의 가장 큰 소득원이며 국민경제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다. 그러나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 1인당 쌀 소비량 감소, 과잉생산에 따른 재고누적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쌀소비시장도 노령인구 증가, 건강지향적인 소비자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양"보다는 "질"로 변화하는 소비 전환점에 서 있으며 유통 서비스장 개방과 함께 외국 선진 유통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쌀가게 등 전문소매점을 찾기보다는 수퍼마켓이나 대형 할인점에서의 일괄구매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의 등장은 생산자가 생산, 보관, 가공, 유통 등 전과정에 참여하게 되었고 년중 균일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품질관리기술과 유통관리기술, 브랜드관리기술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유통, 판매, 소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포장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과거 정부주도의 유통에서 포장디자인의 가치란 거의 없었다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그러나 1994년 우르과이 라운드에서 다른 농산물과 함께 쌀이 일부 수입되면서부터 시장경쟁체제의 변화를 가져왔다.
      농협이나 작목반, 미곡처리장(RPC), 영농법인에서도 기능성 쌀과 고품질 쌀의 생산과 함께 고급화, 차별화 방안으로 포장디자인 개발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장디장인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미비한 상태에서 포장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가 매일 먹는 식품이면서도 그동안 유통구조의 특별함때문에 제대로 연구가 되지 않고 있던 쌀 포장디자인에 대하여 세부적인 연구보다는 전반적인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쌀포장의 성향분석을 위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농협쌀 중 20개 브랜드의 쌀포장에 대하여 브랜드 로고(Brandloge), 색체(Color system),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타이포그라피(Typography)등 시각적 조형요소와 포장형태, 포장재료 등 구조적 조형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의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대전에 거주하는 주부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통시장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습과, 구매방법, 저장방식, 소비습과, 기능성 쌀제품에 대한 인식도, 쌀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재조명해보고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경재력있는 쌀 포장디자인 개선방법을 다각적으로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국내 쌀시장은 생산자지향에서 소비자지향으로 변화되고 있고 소비계층도 세분화되는 차별화, 고급화시대로 흘러가고 있는데 반하여 국내쌀 포장 디장인은 마케팅적 측면, 시각디자인적 표현양식, 포장구조, 인쇄기법 등이 타 가곡 식품포장에 비하여 낙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구조적 개선, 심미적 개선, 사회적 개선의 3가지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접근하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in which rice is a staple food, rice farming is the biggest source of in come for farmers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and geavily influential to the national economy. Lately, however, the rice farmong mdustry has been seriously suffering from the aftermath of opened import of agriclu\tural products, decreasing per capita consumption of rice, increasing population of the old and accumlated stock following excess cultivation of rice. In this respect, it may be said that the rice farming sector in Korea is now standing at the turning point from which 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ut prnority on "quality" instead on "quantity" of rice in a bid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ing market demands like, for instance, decreasing consumption of rice, increasing number of old population and health-oriented requests of consumers. Besidesm, there are even tendencies that more and more consumers prefer one-stop buying at supermarkets or large-size discount stores to conventional rice shops since aggressive inroads of advanced foreign distributors into Korea after the opening of domestic service and distribution markets. The emergence of mammoth stores allowed participation of producers in the whole processes from production to storage, to processing and to distribution of products, thus rapidly upgrading the marketing system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by supplying commodities of uniform quality throughout the year, in spring awareness of quality control, distribution management and brand strategies and, furthermore, intensifying gradually the significance of parking design which has a deep bearing on districution, sale and consumption of goods. Under the government-initiated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past, packing was virtually of no concern. Since, however, certain amounts of rice started to be imported in 1994 along with other agricultural products within the framework of Uruguay Roung,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market competition structure. Agricultural cooperatives, farming groups, RPC(Rice Processing Complex) and farming corporations were motivated to actively develop packing design with competitive edge in a neasure of approaches to levelling up and differentiation of rice, together with production of functional and high-quality rice. In fact, howeve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for packing design of rice has been impossible due to small scalle and lack of concern and financial support to this oin dust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rom multilateral standpoints practical measures to design competitive packing for rice in a move to review and positively cope with changes in perception and view of consumers on rice industry which is a sector producing and wupplying daily necessities for this purpose, an analusis was conducted to structural formative elements such as types and materials of packing and visual elements such as brand logos, color systems, illustration and typography of packing for rice brands ranked within 20 among rice sold through channels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circulated mostly in the donestic marke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on functional rice and rice derivatives and changes in their ways and habits of buying, keeping and consuming goods since introduction of big changes in distribution market.
      from the present study, it became evident that the domestic rice market is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producer-oriented toward consumer-oriented one and the stratum of consumption is being divided into sub-divisions by means of diggerentiation and high quaipped compared to other processed goods in terms of marketing, visual design and expression, packing format, printing techniques, etc.
      In conckusion, it may be suggested that emphasis should be laid on structural, sesthetic and social aspects in improving the packing design of rice.
      번역하기

      In Korea in which rice is a staple food, rice farming is the biggest source of in come for farmers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and geavily influential to the national economy. Lately, however, the rice farmong mdustry has been seriously suffering fr...

      In Korea in which rice is a staple food, rice farming is the biggest source of in come for farmers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and geavily influential to the national economy. Lately, however, the rice farmong mdustry has been seriously suffering from the aftermath of opened import of agriclu\tural products, decreasing per capita consumption of rice, increasing population of the old and accumlated stock following excess cultivation of rice. In this respect, it may be said that the rice farming sector in Korea is now standing at the turning point from which 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ut prnority on "quality" instead on "quantity" of rice in a bid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ing market demands like, for instance, decreasing consumption of rice, increasing number of old population and health-oriented requests of consumers. Besidesm, there are even tendencies that more and more consumers prefer one-stop buying at supermarkets or large-size discount stores to conventional rice shops since aggressive inroads of advanced foreign distributors into Korea after the opening of domestic service and distribution markets. The emergence of mammoth stores allowed participation of producers in the whole processes from production to storage, to processing and to distribution of products, thus rapidly upgrading the marketing system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by supplying commodities of uniform quality throughout the year, in spring awareness of quality control, distribution management and brand strategies and, furthermore, intensifying gradually the significance of parking design which has a deep bearing on districution, sale and consumption of goods. Under the government-initiated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past, packing was virtually of no concern. Since, however, certain amounts of rice started to be imported in 1994 along with other agricultural products within the framework of Uruguay Roung,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market competition structure. Agricultural cooperatives, farming groups, RPC(Rice Processing Complex) and farming corporations were motivated to actively develop packing design with competitive edge in a neasure of approaches to levelling up and differentiation of rice, together with production of functional and high-quality rice. In fact, howeve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for packing design of rice has been impossible due to small scalle and lack of concern and financial support to this oin dust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rom multilateral standpoints practical measures to design competitive packing for rice in a move to review and positively cope with changes in perception and view of consumers on rice industry which is a sector producing and wupplying daily necessities for this purpose, an analusis was conducted to structural formative elements such as types and materials of packing and visual elements such as brand logos, color systems, illustration and typography of packing for rice brands ranked within 20 among rice sold through channels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circulated mostly in the donestic marke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on functional rice and rice derivatives and changes in their ways and habits of buying, keeping and consuming goods since introduction of big changes in distribution market.
      from the present study, it became evident that the domestic rice market is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producer-oriented toward consumer-oriented one and the stratum of consumption is being divided into sub-divisions by means of diggerentiation and high quaipped compared to other processed goods in terms of marketing, visual design and expression, packing format, printing techniques, etc.
      In conckusion, it may be suggested that emphasis should be laid on structural, sesthetic and social aspects in improving the packing design of r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국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3
      • 목차 = ⅰ
      • 국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3
      • Ⅱ. 쌀산업의 이론적 고찰 = 5
      • 1. 쌀산업의 역사와 의의 = 5
      • (1) 쌀재배의 역사 = 5
      • (2) 쌀의 문화적의미 = 6
      • 2. 쌀의 종류 및 구성요소 = 9
      • (1) 쌀의 종류 = 9
      • (2) 쌀의 구성요소 = 10
      • 3. 쌀산업과 유통현황 = 11
      • (1) 국내 쌀산업과 소비현황 = 11
      • (2) 해외 쌀 생산현황 = 13
      • (3) 쌀의 유통체계 = 14
      • (4) 쌀 유통환경의 변화 = 16
      • 4. 기능성 쌀의 증가 = 18
      • Ⅲ. 쌀 포장디자인의 현황 및 분석 = 20
      • 1. 포장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 20
      • (1) 포장디자인의 개념 = 20
      • (2) 포장디자인의 요소 = 22
      • 2. 국내 쌀 포장디자인의 현황 = 24
      • (1) 쌀 포장의 역사 = 24
      • (2) 쌀 포장재질의 종류 = 27
      • 3. 해외 쌀 포장디자인의 경향 = 31
      • (1) 일본 쌀 포장디자인 경향 = 31
      • (2) 미국 쌀 포장디자인 경향 = 32
      • 4. 쌀 포장의 특성 = 34
      • 5. 쌀 포장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분석 = 36
      • (1) 브랜드 로고 (Brand logo) = 37
      • (2) 일러스트레이션 (Illustration) = 40
      • (3) 색채 (Color system) = 42
      • (4) 타이포그라피 (Tapography) = 47
      • Ⅳ. 쌀 포장디자인의 소비자의식 조사분석 = 50
      • 1. 조사개요 = 50
      • 2. 조사대상 선정 및 조사방법 = 50
      • 3. 현황조사 및 분석 = 51
      • Ⅴ. 문제점 및 개선방안 = 63
      • 1. 문제점 = 63
      • 2. 쌀포장의 재료와 구조 제안 = 65
      • 3. 쌀 포장의 시각적 요소 제안 = 66
      • Ⅵ. 결론 = 68
      • 참고문헌 = 70
      • ABSTRACT = 72
      • 부록 =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